$\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4, 2019년, pp.121 - 142  

김승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지홍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 연령이 30대인 경우, 근무학교의 규모가 작은 경우, 도서관 협력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에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협력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by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implement were set as attitudes, subjective norms, teacher efficacy, and p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종기(2009)는 인간수행공학(Human Performance Technology) 모형을 적용하여 도서관 활용수업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서관 활용수업이 이해부족, 지원체제 없음, 외적 동기 유인 체제의 결여, 교육자의 도서관 활용수업 원리 및 수업전개 방법 미숙, 교육자의 수업 동기 저조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밝히고, 각 요인의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용훈(2014)은 도서관 협력수업의 비활성화 요인을 공간 및 시설, 인식, 사서, 교과교사, 협력수업 방법 및 협력수업 자료의 6개 영역으로 나누어 교과교사와 사서의 인식을 비교했다.
  •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중·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하지만 교사의 행동의도에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선행연구들과 상이한 연구결과가 일부 나타났다.
  • 교사효능감은 교사 자신의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으로(김아영, 김미진 2004) 다수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사서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수업 영역 교사효능감으로 측정하였다.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가 도서관 협력수업 관련 외적 조건을 지각하는 정도로 정의하였다.
  • 그러나 도서관 협력수업을 사서교사의 실행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학교도서관 분야 지식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Ajzen의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 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 사서교사의 개인 및 근무학교 특성변인에 따라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각 특성변인에 따라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일원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으며, 집단 간 등분산 가정은 모든 분석에서 만족되었다.
  •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 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요인을 이론모형에 근거하여 탐색하고, 도서관 협력수업을 활성화하고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 수행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3. 사서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사서교사의 주관적 규범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사서교사의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사서교사의 태도는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협력수업은 어떠한 방법인가? 『학교도서관진흥법」(법률 제15368호)에 따르면 학교도서관은 학생과 교원의 학습과 교수활동을 지원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은 사서교사의 역할을 교사, 수업파트너, 정보전문가, 프로그램 경영자로 규정하고 있다(AASL 1998). 도서관 협력수업은 사서교사가 직접적으로 학교교육을 지원하고 교육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도서관 협력수업이란 각 교과에서 도서관 자료와 시설을 이용하여 교과의 학습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려는 교육활동으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수업 활동 계획에서 평가까지 협력하는 것을 의미한다(송기호 2012).
도서관 협력수업의 목적은? 도서관 협력수업은 정보자료를 활용하는 학습능력을 강조하는 정보활용교육으로,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 신장과 동시에 각 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노진영, 변우열, 이병기 2009).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강조되면서 주목받고 있는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프로젝트학습, 탐구수업 등의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습환경으로서의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과정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도서관 협력수업이 도서관 활용수업과 다른 점은? 도서관 협력수업은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협력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전개하고, 평가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전개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사서교사와의 협력이 전제된다는 점에서 학교도서관의 자원을 활용하는 교과 수업을 뜻하는 도서관 활용수업과의 차이점이 있다(이병기 2007).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협력할 때,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정보활용능력, 독서, 학습, 문제해결능력 및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 능력을 성취할 수 있다(IFLA and UNESCO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ang, Bong-Suk. 2013. " Qualitative Study on Benefits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Recogniz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4): 169-186. 

  2. Ki, Min-Jin and Song, Gi-Ho.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2): 123-142. 

  3. Kim, Boram and Cheon, Sung Hyeon. 2018.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eliefs about Collegiate Physical Education, Intention, and Leisure-Time Exercise Behavior: Theory of Planned Behavior's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7(1): 305-319. 

  4. Kim, Bo-Mi and Noh, Jeong-Hee. 2012. "A Study for the Effect about Learning Intention on the University Students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ing on the Learning Goals and the Job Search Related Stress." Korean Jouran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3): 1399-1418. 

  5. Kim, Su-In and Shin, Tacksoo. 2016. "Exploring the Path of Prosocial Behavior Us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3(2): 187-211. 

  6. Kim, Seung Hee.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 Librarians' Teacher Efficacy on Job Stress.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7. Kim, A Yeong and Kim, Mi Jin. 2004. "Validation of Teacher-Efficac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1): 37-58. 

  8. Kim, Young-Chun and Lee, Hyun-Chul. ed. 2017. Qualitative research 15 approaches. Paju: Academypress. 

  9. Kim, Ji-Hyun. 2017. "A Study on Comics Library User's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291-316. 

  10. Ro, Jin-Young, Byun, Woo-Yeoul and Lee, Byeong-Ki. 2009. "A Study on the Design of Inquiry Instruction Model b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471-492. 

  11.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9.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9-2023. (12-1371748-000011-01). 

  12. Park, meejin. 2007. The Prediction of Career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Adolescent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octorate thesis, Hongik University. 

  13. Park, Juhyeon. 2018. "Educational Effect of American School Libraries: An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1): 133-157. 

  14. Park, Ji-Hong. 2007. "Toward an Evaluation Framework of Library Services: Re-examination of LibQU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2): 5-27. 

  15. Bae, Jung Sup, Won, Do Yeon and Cho, Kwang Min. 2015. "A Study on the Spectator Behaviors of Professional Baseball Fans by Us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1): 47-65. 

  16. Shon, Youngkon and Lee, Byoungkwan. 2012.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Behavior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6(6): 127-161. 

  17. Song, Gi-Ho. 2012. School library management. Seoul: KLA. 

  18. Shin, Yoonjung and Kim, Giyeong. 2018.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School Libraries to Collaborative Instruction on the Willingness: Focusing on Seoul High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5(4): 237-261 

  19. Yang, Sora. 2010. Meta-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excellence of students through library-assisted instruction. M.A. thesis., Yonsei University. 

  20. Yeon, Jieun and Kim, Giyeong. 2018. "A Study for Identifying Affecting Factors on the Intention of Public Library Use: Based on Ajzen's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1): 401-423. 

  21. Lee, Deogju and Cho, Miah. 2012. "A Case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Focused on the Chinese Project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231-251. 

  22. Lee, Byeong-Ki. 2007. "Institutionaliz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Library Assited Instruction Considering National Leve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443-462. 

  23. Lee, Byeong-Ki. 2006. "A Study on the Model of Library Assited Instruction Based on Information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25-46. 

  24. Lee, Hyun Su, Yun, Seok Min and So, Ho Sung. 2007. "The Study of Physical Educators- Intention Toward Teach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Validity and Relationship of Factors about PEITID-2-PS."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5(3): 183-205. 

  25. Jung, Jong-Kee. 2009. "Analysis on Library-Aided Instruction's Obstacle Factors based o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Mode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433-449. 

  26. Jeong, Hanho. 2014. "An Analysis of the Intention to Utilize an Online Multimedia Contents for Teaching: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1(2): 5-31. 

  27. Choi, Yong-Hoon. 2014.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and Teachers for the Hindrance Factor in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Journal of the Reading Education Society, 2(1): 107-132. 

  28. AASL.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9. Ajzen, I. 200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2(4): 665-683. 

  30.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31. Cre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32. Fishbein, M. and Ajzen, I. 2010. Predicting and changing behavior: The reasoned action approach. New York: Psychology Press. 

  33. Lance, K., Rodney, M. and Hamilton-Pennell, C. 2000. How School Librarians Help Kids Achieve Standards: The Second Colorado Study. Colorado Department of Education. 

  34. IFLA, UNESCO. 1999. IFLA/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The School Library in Teaching and Learning for All. [online] [cited: 2019. 9. 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