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박산향로를 통해 본 백제금동대향로의 양식적 위치 고찰
A Study on the Style of Baekje Incense Burner in the Viewpoint of Boshan Xianglu

美術史學硏究 =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no.249, 2006년, pp.141 - 162  

김자림

초록

본 논문에서는 중국 박산향로의 시대별 전개양상을 통해 그 상징적 의미와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백제금동대향로가 가지는 양식적 위치와 영향관계를 가늠해 보았다. 이를 통해 백제금동대향로가 제작된 시기를 추정하고, 남북조 박산향로와 구분되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중국에서 漢 황실과 제후왕실의 禮器로 조형된 박산향로는 용과 신산, 거북과 신산, 연화와 신산이라는 도상구조를 통해 내세를 형상화했다. 이는 당시의 내세관과 함께 내세와 현실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보여준다. 후한시기에 만들어진 박산향로는 동제보다 도제가 많으며, 선계 표현이 이전보다 단순화한다. 이는 묘실 내부를 장식하는 화상석이 증가함에 따라 박산향로에 구현되던 내세관이 분묘 내부로 옮겨갔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승과 사후를 별개로 구분하는 후한시기의 내세인식은 현실과 내세가 동일한 시공에 존재할 수 있다고 믿은 전한시기의 내세인식과 분명히 다르며, 이는 신산과 대좌도상의 연결구조가 사라지고 신산표현만이 중시되는 변화를 통해 드러난다.

이후 삼국과 오호십육국 난립의 시대를 거치면서 조형 수량이 현저히 줄어들지만 박산향로의 기형은 지속적으로 조형되었다. 이를 양식적 쇠퇴의 징후로 보기도 하지만, 이처럼 간략한 형식은 조형 초기부터 복잡한 도상구조의 박산향로와 공존하고 있었으므로 후원자나 장인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로 보는 편이 타당할 것이다. 남북조시대에 이르러 신상조각을 장엄하는 공양물이자 行像과 같은 대규모 종교의식에 사용된 법구로 재등장한 박산향로는 불교와 도교 조상 속에 편입되어 사후의 고통으로부터 구제되기를 바라는 인간의 기원을 신에게 전달하는 매개물이 되었다. 동시에 하계에 남은 중생에게까지 그 효험이 미치기를 바라는 쌍방향의 목적이 담겨 있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내세에 이르고자 하는 지향점이 신산세계에서 도솔천이나 아미타정토로 옮겨갔으며, 수미산은 단지 불교의 세계관을 이해하는 공간으로 인식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한편 기형과 문양에 새로운 요소가 도입되어 연화문 장식이 대좌와 몸체 곳곳에 배치되었다. 북위 중기에는 화염이, 북제-북주시기에는 화염보주가 신산세계를 대체하는 경향이 보이며, 기형 자체가 연화문처럼 변형되는 모습도 보인다. 이 같은 기형과 장식, 분향목적의 변화에는 漢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독자적으로 해석한 북위의 정책적 노력과 함께 불교의 지속적 영향이 관여했을 것이다.

백제금동대향로는 북위-북제 계열 박산향로와 기형 및 장식에서 친연성을 보인다. 용과 연화의 결합으로 이뤄진 대좌형식은 산동성 용흥사지 출토 동위-북제시기 불상의 대좌도상과, 신산세계를 구성하는 세부도상은 산동지역의 화상석 도안과 연결된다. 이는 산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백제와 북조 사이의 문물교류가 이 향로의 제작배경이 되었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포수문과 화염문으로 내세를 구획하고 그 안에 내세를 도해한 점은 동시기 중국 박산향로와 다른 부분으로 오히려 한대 박산향로의 종교적ㆍ정치적 성격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차이는 금동대향로의 제작과 분향 목적이 왕실 주도로 선왕을 추모하고 그 결과 정치적 안정과 권위를 확립하려는 데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 된다. 요컨대 동시대 중국 박산향로가 불교적인 공양구로 기능한 것과 달리 왕실의 기념비적 기물로써 제작되었던 것이다. 결국 금동대향로의 제작은 백제와 북제 사이의 사신교류가 이뤄지고, 아울러 남조와의 교류를 통해 얻은 한대 박산향로에 관한 다양한 문학적 표현이나 도안이 모델로서 제시된 6세기 후기에서 7세기 초기 정도에 이뤄졌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ype of Baekje incense burner (百濟金銅大香爐) belongs to Boshan xianglu (博山香爐) which has its origin in Han Dynasty (漢).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aekje incense burner with m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Boshanlu, me purpose and the function of burning incense with this burner included original ...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