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가정형태가 청소년의 비행 및 범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가정의 형태 중에서 결손가정에 초점을 두고 양친가정과 결손가정 자녀들의 비행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양친가정과 결손가정에서 청소년 비행에서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과정에 의한 것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결손가정과 청소년 비행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2001년 10월에 서울시내 11개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자는 1,004명의 일반 중·고등학생이다. 또한 결손가정이 가정의 양육방식 및 자녀의 비행에 미치는 인과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ANOVA),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경로분석(path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결손가정의 청소년들은 양친가정의 청소년에 비하여 비행을 많이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손가정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인 효과와 자녀양육을 매개로한 간접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결손가정으로 인하여 파생된 가정문제 및 적절한 자녀양육의 실패로 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결손가정 자체의 문제보다는 결손가정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자녀양육 및 사회화 등의 문제가 청소년 비행의 주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결손가정이라고 하더라도 가정의 역할을 충분하게 한다면 자녀의 비행이 줄어들 수 있으며, 또한 양친가정이라고 하더라도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면 자녀의 비행이 증가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가정형태가 청소년의 비행 및 범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가정의 형태 중에서 결손가정에 초점을 두고 양친가정과 결손가정 자녀들의 비행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양친가정과 결손가정에서 청소년 비행에서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과정에 의한 것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결손가정과 청소년 비행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2001년 10월에 서울시내 11개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자는 1,004명의 일반 중·고등학생이다. 또한 결손가정이 가정의 양육방식 및 자녀의 비행에 미치는 인과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ANOVA),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경로분석(path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결손가정의 청소년들은 양친가정의 청소년에 비하여 비행을 많이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손가정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인 효과와 자녀양육을 매개로한 간접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결손가정으로 인하여 파생된 가정문제 및 적절한 자녀양육의 실패로 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결손가정 자체의 문제보다는 결손가정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자녀양육 및 사회화 등의 문제가 청소년 비행의 주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결손가정이라고 하더라도 가정의 역할을 충분하게 한다면 자녀의 비행이 줄어들 수 있으며, 또한 양친가정이라고 하더라도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면 자녀의 비행이 증가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mpirically the effect of broken home on delinquency mediated through child rearing such as attachment and supervision.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broken home/delinquency relationship, there have been only a few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on this relationsh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mpirically the effect of broken home on delinquency mediated through child rearing such as attachment and supervision.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broken home/delinquency relationship, there have been only a few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on this relationship in Korea. Broadly defined, a broken home consists of a family in which at least one biological parent is absent through death, desertion, divorce, or separation. In this study, I measure broken home using dummy variable: it is coded "0" if it is intact home, and "1" if it is broken home. Child rearing is operationalized as a composite variable of four indicators: attachment, communication, supervision, and punishment. Delinquency is divided into two types: status delinquency and several delinquency. And I include sex, age and family income as control variables in a series of multi-variate analys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drawn from a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in Seoul, in 2000.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1,0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between 12 and 21.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oken home, child-rearing and self-reported delinquency, I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Overall,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juvenile from broken home are more prone to delinquency than are those from intact homes. And broken home has exerted a direct effect on delinqu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child rearing such as attachment and supervision. From my study, it is impli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attempt to develop a more refined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mpirically the effect of broken home on delinquency mediated through child rearing such as attachment and supervision.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broken home/delinquency relationship, there have been only a few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on this relationship in Korea. Broadly defined, a broken home consists of a family in which at least one biological parent is absent through death, desertion, divorce, or separation. In this study, I measure broken home using dummy variable: it is coded "0" if it is intact home, and "1" if it is broken home. Child rearing is operationalized as a composite variable of four indicators: attachment, communication, supervision, and punishment. Delinquency is divided into two types: status delinquency and several delinquency. And I include sex, age and family income as control variables in a series of multi-variate analys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drawn from a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in Seoul, in 2000.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1,0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between 12 and 21.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oken home, child-rearing and self-reported delinquency, I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Overall,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juvenile from broken home are more prone to delinquency than are those from intact homes. And broken home has exerted a direct effect on delinqu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child rearing such as attachment and supervision. From my study, it is impli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attempt to develop a more refined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crim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