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actors affecting the content of pentacyclic triterpenes in Centella asiatica raw materials

Pharmaceutical biology, v.50 no.12, 2012년, pp.1508 - 1512  

Puttarak, P. (Department of Pharmacognosy and Pharmaceutical Botany, Facul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Hat-Yai, Songkhla, Thailand) ,  Panichayupakaranant, P. (Department of Pharmacognosy and Pharmaceutical Botany, Facul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Hat-Yai, Songkhla, Thailand)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xt: Pentacyclic triterpenes, mainly,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asiaticoside, and madecassoside are the active constituents of Centella asitica (L.) Urban. (Apiaceae). These compounds posses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at have been shown to assist with wound healing and brain enri...

주제어

참고문헌 (19)

  1. Planta Med Bonte F 133 60 1994 10.1055/s-2006-959434 

  2. Life Sci Cheng CL 2237 74 2004 10.1016/j.lfs.2003.09.055 

  3. J Ethnopharmacol Djoukeng JD 283 101 2005 10.1016/j.jep.2005.05.008 

  4. Thai Medicinal Plants Recommended for Primary Health Care System Farnsworth RN 1992 

  5. J Chromatogr A Inamdar EK 127 742 1996 10.1016/0021-9673(96)00237-3 

  6. Kimura, Y., Sumiyoshi, M., Samukawa, K.i., Satake, N., Sakanaka, M.. Facilitating action of asiaticoside at low doses on burn wound repair and its mechanism.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584, no.2, 415-423.

  7. Int J Dermatol Lu L 801 43 2004 10.1111/j.1365-4632.2004.02047.x 

  8. 10.3109/03008209009152427 

  9. Quality Control and Standardization of Herbal Medicine Panichayupakaranant P. 2011 

  10. Nigerian J Nat Prod Med Panichayupakaranant P 1 10 2006 

  11.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Panichayupakaranant P 497 25 2003 

  12. Cancer Lett Park BC 81 218 2005 10.1016/j.canlet.2004.06.039 

  13.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Rafamantanana MH 2396 877 2009 10.1016/j.jchromb.2009.03.018 

  14. J Am Acad Dermatol Rougier A. AB144 58 2008 

  15. Phytomedicine Shinomol GK 971 15 2008 10.1016/j.phymed.2008.04.010 

  16. Exp Gerontol Subathra M 707 40 2005 10.1016/j.exger.2005.06.001 

  17. Planta Med Won JH 251 76 2010 10.1055/s-0029-1186142 

  18. Int Immunopharmacol Yun KJ 431 8 2008 10.1016/j.intimp.2007.11.003 

  19. J Chin Integr Med Zheng C 348 5 2007 10.3736/jcim2007032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