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식물심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U시에 거주하고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 1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8명과 실험군 8명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신발, 돌화분, 나무껍질, 수태, 우유팩, 재활용품 등 여러 종류의 용기를 이용하여 생명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좋으며 관리가 쉬운 식물들을 선택하여 심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식물심기도 단순히 심기만 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예기법을 활용하여 흥미를 유도하였고 새로운 원예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U발달장애운동센터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행 기간은 2010년 5월 2일부터 8월 10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각 회기 당 90분으로 총 15회기를 진행하였다. 특히 3회기, 6회기, 10회기는 야외에서 실행하였다. 평가도구는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예치료 실시 전과 후에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척도는 부모 및 가족 문제와 부모의 비관적 태도, 아동의 신체적 무능 및 특징 등의 하위요소들을 동시에 측정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부모효능감 척도를 원예치료 실시 전과 후에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중 부모 및 가족문제에서 대조군은 실시 전 3.38점에서 실시 후 6.75점으로 스트레스가 많아졌으며 유의성이 없었다(p=0.058). 반면에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2.75점에서 실시 후 0.88점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7). 그리고 부모의 비관적 태도에서 대조군은 실시 전 11.00점에서 실시 후 10.00점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스트레스가 낮아졌다(p=0.610). 또한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2.88점에서 실시 후 9.38점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스트레스가 줄었다(p=0.092). 아동의 신체적 무능 및 특징에서 대조군은 실시 전 9.63점에서 실시 후 9.63점으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0.88점에서 실시 후 6.63점으로 유의하게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p=0.023). 부모효능감은 점수가 높아질수록 개선되는 것으로 본다. 대조군의 경우 실시 전 31.38점에서 실시 후 30.00점으로 낮아져 유의차가 없었고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29.75점에서 실시 후 31.75점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부모효능감이 향상되었다(p=0.071). 이와 같이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식물심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원예치료가 일반가정과 다른 특수성을 지닌 현실적 어려움과 제약으로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심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U시에 거주하고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 1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8명과 실험군 8명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신발, 돌화분, 나무껍질, 수태, 우유팩, 재활용품 등 여러 종류의 용기를 이용하여 생명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좋으며 관리가 쉬운 식물들을 선택하여 심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식물심기도 단순히 심기만 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예기법을 활용하여 흥미를 유도하였고 새로운 원예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U발달장애운동센터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행 기간은 2010년 5월 2일부터 8월 10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각 회기 당 90분으로 총 15회기를 진행하였다. 특히 3회기, 6회기, 10회기는 야외에서 실행하였다. 평가도구는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예치료 실시 전과 후에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척도는 부모 및 가족 문제와 부모의 비관적 태도, 아동의 신체적 무능 및 특징 등의 하위요소들을 동시에 측정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부모효능감 척도를 원예치료 실시 전과 후에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중 부모 및 가족문제에서 대조군은 실시 전 3.38점에서 실시 후 6.75점으로 스트레스가 많아졌으며 유의성이 없었다(p=0.058). 반면에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2.75점에서 실시 후 0.88점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7). 그리고 부모의 비관적 태도에서 대조군은 실시 전 11.00점에서 실시 후 10.00점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스트레스가 낮아졌다(p=0.610). 또한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2.88점에서 실시 후 9.38점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스트레스가 줄었다(p=0.092). 아동의 신체적 무능 및 특징에서 대조군은 실시 전 9.63점에서 실시 후 9.63점으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0.88점에서 실시 후 6.63점으로 유의하게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p=0.023). 부모효능감은 점수가 높아질수록 개선되는 것으로 본다. 대조군의 경우 실시 전 31.38점에서 실시 후 30.00점으로 낮아져 유의차가 없었고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29.75점에서 실시 후 31.75점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부모효능감이 향상되었다(p=0.071). 이와 같이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식물심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원예치료가 일반가정과 다른 특수성을 지닌 현실적 어려움과 제약으로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planting on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As for the research method, we sampled 16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living in U City and divided them into a control group (n=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planting on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As for the research method, we sampled 16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living in U City and divided them into a control group (n=8) and an experimental group (n=8).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ed various types of containers including shoes, stone pots, bark, moss, milk pack, and recycled goods, and chose highly viable, prolific and easily manageable plants. In planting, various horticultural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stimulate the subjects’ interest and to help them acquire new hor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First, among the sub‐factor of stress in parents with a disabled child, the control group’s score of problems in the parents and family increased from 3.38 before the program to 6.7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75 before the program to 0.88 after. In addition, the control group’s score of pessimistic attitude decreased slightly from 11.00 before the program to 10.00 but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also decreased from 12.88 to 9.38 but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trol group’s score of the disabled child’s physical disability and characteristics was constant at 9.63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u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88 to 6.63. For parenting efficacy, a high score means high parenting efficacy.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 decreased from 31.38 before the program to 30.00 after and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ignificant,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enting efficacy was improved from 29.75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31.7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ignificant. As presented above, whe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mothers with disabled child who were stressed by practical difficulties and restrictions coming from their peculiar situation different from ordinary families, horticultural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ir stress and enhancing their parenting efficacy, which indicates efficiency in their performance of their role as par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planting on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As for the research method, we sampled 16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living in U City and divided them into a control group (n=8) and an experimental group (n=8).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ed various types of containers including shoes, stone pots, bark, moss, milk pack, and recycled goods, and chose highly viable, prolific and easily manageable plants. In planting, various horticultural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stimulate the subjects’ interest and to help them acquire new hor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First, among the sub‐factor of stress in parents with a disabled child, the control group’s score of problems in the parents and family increased from 3.38 before the program to 6.7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75 before the program to 0.88 after. In addition, the control group’s score of pessimistic attitude decreased slightly from 11.00 before the program to 10.00 but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also decreased from 12.88 to 9.38 but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trol group’s score of the disabled child’s physical disability and characteristics was constant at 9.63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u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88 to 6.63. For parenting efficacy, a high score means high parenting efficacy.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 decreased from 31.38 before the program to 30.00 after and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ignificant,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enting efficacy was improved from 29.75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31.7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howed significant. As presented above, whe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mothers with disabled child who were stressed by practical difficulties and restrictions coming from their peculiar situation different from ordinary families, horticultural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ir stress and enhancing their parenting efficacy, which indicates efficiency in their performance of their role as par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