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의명분론(大義名分論)과 임진왜란(壬辰倭亂) - 명(明)왕조의 시각으로 본 임진왜란
Chinese historical records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8

社會科敎育 = Social studies education, v.51 no.4, 2012년, pp.15 - 26  

류보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삼국의 자료들은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이 너무 많이 달라서 서로 모순된 일이 많이 나타나므로 후세 연구자들을 의혹하게 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당시 삼국의 역사적 환경과 각자의 입장을 생각하면 文書記錄에 자기의 공을 확대하며 적을 낮게 평가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이 잘 되지 않은 시대에 勝負와 상관없는 기록 또한 상대국이나 제삼국에게 잘 못 기록될 수도 있다. 임진왜란에서 조선과 명나라는 비록 참전의 같은 편이라도 그에 대한 시각은 차이가 나타난다. 이 글은 지금까지 남아있는 명나라 때 중국인의 임진왜란 관련 기록을 기본 텍스트로 하여 명나라의 조선 派兵과 再造之恩을 중심으로 임란에 대한 명왕조의 역사시각과 기억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Japan and China, historical records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8 show so much difference and inconsistency, that the new generation of scholars cannot help but feel doubt about their credibility. At the same time it is obvious that in all these countries the documentati...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