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2.0 시대 언론 전문직 요건에 대한 재고찰 - ‘전문성’과 ‘지식’에 대한 저널리스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Speciality and Knowledge in Journalism Revisited:Current Trends in Professional Journalism in the Age of Web 2.0 원문보기

언론과학연구=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12 no.2, 2012년, pp.415 - 450  

이상기 ,  강민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한국의 언론인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과 훈련을 통해 오랜 시간 경험을 쌓고, 그로 인해 경제적 우위나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직종을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직업의 희소성 및 배타성을 전문직의 부수적인 특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스스로를 언론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는 기자가 PD보다 더 많이 동의하였다. 한편, 스스로를 전문직이 아니라고 답한 경우에도 동일 직종의 다른 동료들에 대해서는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기자, PD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경향이다. 이는 언론이라는 직종 자체는 전문직이지만 개인적으로 여러 가지 면에서 전문성을 더 갖추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를 통해 언론 전문직화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직화 강화 방안으로서 언론인들은 석?박사 이상의 전문 지식을 언급했지만 꼭 공식적인 학위일 필요는 없다고 했다. 한편, 웹2.0 환경에서 일반 시민들의 정보 생산은 신뢰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보았고, 전통적인 언론의 게이트 키핑 기능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그렇지만 정보의 확산에 있어서 웹2.0 환경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고, 블로그 등을 통한 비공식적 언론활동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plored how journalism can sustain a living in the age of Internet(Web 2.0) from a professional standpoint. Twenty journalists working in Busan area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focused on how they perceive their current role in journalism and the extent of identification as a pr...

주제어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