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Archives of design research, v.26 no.1 = no.105, 2013년, pp.147 - 165
정용원
배경 2009년 11월 스마트폰이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커뮤니케이션 방법도 다양해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앱스토어라 불리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다양한 정보와 지식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개인은 물론 기업경영에 이르기까지 정보공유의 방식 또한 새로운 변환점을 맞이한 가운데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바로 QR코드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09년에서 2012년까지 QR코드를 표현요소로 활용한 국내․국외 광고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QR코드의 유형이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분석 결과 광고효과에는 QR코드의 유형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QR코드의 유형에서 정형화된 사각 형태를 벗어난 크리에이티브형 QR코드와 브랜드와 관련된 실제 이미지를 노출시킨 도상형 QR코드가 광고 주목도, 광고 호의도, 참여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의 로고나 심벌을 나타낸 로고형 QR코드는 일반형 QR코드에 비해 광고효과에서 높게 측정되었지만, 다른 디자인이 가미된 QR코드의 유형에 비해 광고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 그동안의 연구는 대부분 QR코드의 외부요인을 배제한 QR코드 그 자체로 한정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계에서 벗어나 매체에 속한 QR코드의 유형의 광고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실무의 제작자들이 QR코드의 역할과 활용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Background As smart phones have been introduced and produced rapidly since November 2009, methods of communication have also varied.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have became available without any restraints in terms of time and space courtesy of mobile applications availabl...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