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2008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개정·고시되면서 큰 변화의 기축이 되었다. 이후, 2010,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라는 명칭으로 교육과정이 줄기차게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고시된 후 적용과정에서 보완 조치 등과 관련하여 행정절차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과 학교현장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의 교육과정 정상화라는 관점에서 국가수준인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근거로 학교교육을 위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제이론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둘째,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국·내외의 동향 비교·고찰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우리 실정에 부합하는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략을 제안하였다. 이상에서 얻은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적용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2008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개정·고시되면서 큰 변화의 기축이 되었다. 이후, 2010,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라는 명칭으로 교육과정이 줄기차게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고시된 후 적용과정에서 보완 조치 등과 관련하여 행정절차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과 학교현장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의 교육과정 정상화라는 관점에서 국가수준인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근거로 학교교육을 위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제이론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둘째,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국·내외의 동향 비교·고찰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우리 실정에 부합하는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략을 제안하였다. 이상에서 얻은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적용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According to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lan would apply subsequently to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since March 1st, 2008. Even though the plan was announced long time ago, there has been constantly revised on the plan i...
According to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lan would apply subsequently to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since March 1st, 2008. Even though the plan was announced long time ago, there has been constantly revised on the plan itself. Therefore, many educators at schools are having difficulties to follow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ar for their students. In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2011”.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search would be conducted on the document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s and local level curriculums. Second, the reasons for the thesis of the paper were written based on the close observation of previous studies that were conducted, and of the trends of foreign education systems. Third, a school-based education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after considering the documents that are collected in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would serve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curriculum for many school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lan would apply subsequently to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since March 1st, 2008. Even though the plan was announced long time ago, there has been constantly revised on the plan itself. Therefore, many educators at schools are having difficulties to follow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ar for their students. In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2011”.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search would be conducted on the document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s and local level curriculums. Second, the reasons for the thesis of the paper were written based on the close observation of previous studies that were conducted, and of the trends of foreign education systems. Third, a school-based education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after considering the documents that are collected in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would serve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curriculum for many schools in Korea.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