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p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268 - 275  

전혜인 (건양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  정효철 (두마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제안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 15년 이상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주제 6가지와 하위주제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대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부족한 지원체계, 전문적 자질 문제, 통합학급에서 더 어려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학학급 교사의 매일의 고민. 논의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peci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s a role given to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ou...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질문지는 1인의 특수교육 현장 경험 10년 이상인 특수교육과 교수와 특수교육 현장 경험 20년 이상인 교육학 박사 1인이 토의를 통해 개발하고, 면담 전, 면담 후 검토를 통해 목적에서 벗어나거나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질문, 중복되는 질문 등은 제거, 수정, 추가 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질문 내용은 “현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지도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현재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특수교육대상 학생 지도 시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을 선정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교육과정 선정 시 가장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효과적인 교육과정 적용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등이었다.
  •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1인의 특수교육 전문가와 교육학 박사이며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사로 근무하는 1인의 연구자가 자료 분석을 공동으로 수행하여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둘째, 두 명의 연구자가 전사된 내용과 코드의 일치도를 확인하여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론/모형

  • 면담형식은 반구조화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박향숙, 박재국, 김은라, "정신지체학생의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255-280, 2016. 

  2. 이미경, 김주홍, 박재국, 한경근, "지체장애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운영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3호, pp.299-325, 2011. 

  3. 김동일, 백서연, 고혜정,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및 운영실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7권, 제4호, pp49-66, 2014. 

  4. 김주홍, 박재국, 임혜경,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요구-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8권, 제2호, pp433-454, 2007. 

  5. 박경옥,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초등특수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1-19, 2011. 

  6. 정은영, 강영심,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수업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8권, 제3호, pp253-281, 2006. 

  7.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내러티브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6권, 제1호, pp.19-42, 2013. 

  8. 최성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조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2권, 제1호, pp.69-90, 2013. 

  9. 박재국, 김혜리, 서보순, 김진주, "일반학교에 있어서 건강장애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특수교육 저널 : 이론과 실천, 제13권, 제1호, pp123-144, 2012. 

  10. J. Corbin and A. Strauss,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grounded theory, Sage, 2007. 

  11. 이미경, 박경옥, 한경근,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연구, Vol.16, No.2, pp.33-65, 2009. 

  12. 정주영, "교육 내용의 특성에 따른 개별화 교육계획교육 목표 개발 방법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9권, 제4호, pp.171-194, 2008. 

  13. 김태강, "광주.전남지역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 통합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79-102, 2015. 

  14. 김성원, 김지선, 류지영,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8권, 제2호, pp.633-634, 2020. 

  15. 김재환, 김정민, 고범석,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기반의 학생 맞춤형 인공지능 STEM 교육 플랫폼," 한국소프트웨어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805-807, 2017. 

  16. 박소영, 정혜원, "중학생의 진로 결정 예측변수 탐색:머신러닝 기법 적용," 아시아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727-753,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