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어의 강세와 운율경계가 모음 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음향 연구;원어민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Effects of pitch accent and prosodic boundary on English vowel production by native versus nonnative (Korean) speakers. 원문보기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7 May 18, 2007년, pp.240 - 242  

허유나 (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김사향 (홍익대학교 영어교육학과) ,  조태흥 (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prosodic factors, such as phrasal accent (accented vs. unaccented), prosodic boundary (IP-initial vs. IP-medial) and coda voicing (e.g., bed vs. bet), on acoustic realization of English vowels (/i, $_I/$, $/{\varepsilon}$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후행하는 자음의 유성/무성 여부(예, bed vs. bet)에 따른 모음 길이의 변화가 위에서 언급한 운율강화현상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러한 음운적 차이가 운율강 화현상과 함께 극대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원어민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음향 분석을 통하여, 영어의 모음 구별(/i, i/, /& &/)이 운율구 조상 중요한 위치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모음에 구강세가 있을 때와 없을 때(accented vs.
  •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한국언이 가지고 있는 영 어 발화의 문제점들이 운율구조상 조음이 강화되는 위 치에서와 그렇지 않은 위치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고, 그것이 원어민의 발화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인이 구별하기 어려워하는 /i, i/, /ε, ae/의 발화에 초점을 두어([6]), 그것을 구별하는 정도가 운율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다르게 나타난다면 그 정도가 모음의 음운론적 차이를 극대화(contrast maximization)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나는지, 원어민과 한국인의 발화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원어민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음향 분석을 통하여, 영어의 모음 구별(/i, i/, /& &/)이 운율구 조상 중요한 위치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모음에 구강세가 있을 때와 없을 때(accented vs. unaccented), 그리고 모음이 억양구의 처음과 중간에 왔을 때 (Intonational Phrase initial vs. Intonational Phrase medial), 원어민과 한국인이 어떻게 모음 구별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