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반터널 설계를 위한 수압파쇄 초기지압 측정의 10여년 간의 경험
A Decade's Experiences on the Hydrofracturing In-Situ Stress Measurement for Tunnel Construc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암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8 Mar. 20, 2008년, pp.79 - 88  

최성웅 (강원대학교) ,  박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신중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신희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94년 처음으로 국내 지반공학자들에게 소개된 수압파쇄 시험법은, 측정장비 및 해석방법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파이프라인 타입이었던 제1세대 수압파쇄 시험장비는 다루기가 쉽지 않았고 파이프 연결부위에서의 압력 누설 문제가 대두되면서, 제2세대라 불리는 와이어라인 타입으로 보완된 바 있으나,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공기압축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어, 2004년 이후 이를 모두 포함하는 현재의 제3세대 all-in-one 시스템으로 보완된 바 있다. 장비의 발전과 함께, 응력해석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발전도 꾸준히 진행되어온 바, 불확실한 결정값으로 인해 가장 다루기 어려운 균열폐쇄압력에 대하여 여러 가지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합리적인 값을 도출해내는 방법의 개발이 그 한 예가 될 것이다. 이러한 지난 10여년 간의 기술발전과 함께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행된 수압파쇄시험을 통하여 대한민국의 거의 전 지역에 대한 측정결과들을 축적할 수 있었으며, 현재 이 결과값은 터널굴착을 위한 기초설계단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향후 해저터널의 건설과 관련하여 해상에서의 수압파쇄 초기응력측정법 또한 꾸준히 개발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축적된 내륙에서의 초기응력 측정값이 해저터널의 안전한 설계를 위해 직간접적으로 사용되어지길 기대하며, 현재까지 수압파쇄시험을 통해 얻어진 한반도의 초기응력의 평균 크기와 방향을 지질학적 특성결과와 관련 지어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hydraulic fracturing field testing method was introduced first to Korean geotechnical engineers in 1994, there have been lots of progresses in a hardware system as well as an interpretation tool. The hydrofracturing system of first generation was the pipe-line type, so it was not easy to h...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저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던 과거 10여년 간의 수압파쇄 초기응력 측정결과를 대한민국 전체 영역에 대해 요약하고, 지질학적 및 지진학적으로 선행되었던 연구결과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수압파쇄시험에 의한 현지암반 초기응력측정법이 국내에 소개된 이후, 장비 및 해석기법에 있어서 많은 발전이 있어 왔으며, 이를 통해 국내 각 지역에 대한 초기응력 측정값을 축적해 왔으며 그 분포 양상을 본 고에서 정리하였다. 지역에 따라 암종의 차이 및 국부적인 지형적 영향 등에 의하여, 연직방향의 응력성분에 대한 수평방향의 응력성분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K값의 분포 양상도 일률적이진 않았지만, 측정된 결과값으로부터 심도에 따른 K값의 분포 양상을 구해보면 일정한 범위에 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기서 제안된 ‘심도에 따른 K값의 분포 범위’는 외국의 연구사례에서 제시된 결과값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가 가진 지질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특성은 무엇인가? 그러나 지질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특성을 지닌 한반도에서의 교량, 터널, 암반사면 등 지반구조물의 구축작업은 결코 간단치 않다. 즉, 한반도 지각은 선캠브리아기부터 제4기까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선캠브리아 변성암대와 중생대 화성암이 전체 노두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수압파쇄 시험법은 무엇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는가? 1994년 처음으로 국내 지반공학자들에게 소개된 수압파쇄 시험법은, 측정장비 및 해석방법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파이프라인 타입이었던 제1세대 수압파쇄 시험장비는 다루기가 쉽지 않았고 파이프 연결부위에서의 압력 누설 문제가 대두되면서, 제2세대라 불리는 와이어라인 타입으로 보완된 바 있으나,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공기압축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어, 2004년 이후 이를 모두 포함하는 현재의 제3세대 all-in-one 시스템으로 보완된 바 있다.
수압파쇄 시험법은 언제 국내에 소개되었는가? 1994년 처음으로 국내 지반공학자들에게 소개된 수압파쇄 시험법은, 측정장비 및 해석방법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파이프라인 타입이었던 제1세대 수압파쇄 시험장비는 다루기가 쉽지 않았고 파이프 연결부위에서의 압력 누설 문제가 대두되면서, 제2세대라 불리는 와이어라인 타입으로 보완된 바 있으나,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공기압축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어, 2004년 이후 이를 모두 포함하는 현재의 제3세대 all-in-one 시스템으로 보완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