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비작물과 고추재배에 의한 시설 유기토양 이화학성 변화 원문보기

한국유기농학회 2008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2008 Dec. 12, 2008년, pp.87 - 102  

양승구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서윤원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김현우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이유석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최경주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이정현 (전남대학교 응용식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재배 토양에 녹비작물 재배와 고추재배, 휴경을 반복하면서, 외부 유기자재 투입을 최소화 하고 2년 동안 토양에 물리, 화학성에 변화를 추적하여 궁극적으로 녹비작물을 이용한 유기고추 시설 무경운 재배기술을 개발 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1. 고추 시설재배지 녹비작물 재배가 녹비 수량 및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시설재배지의 겨울 녹비작물을 1월 30일 파종하여 4월 5일에 조사한 결과 수량은 호밀과 보리녹비가 $518{\sim}677kg/10a$로 완두콩과 헤어리베치 $287{\sim}354kg/10a$에 비하여 건물수량이 현저하게 많았다. 녹비작물의 식물체내 총질소 함량이 완두콩과 헤어리베치, 보리가 호밀에 비하여 많았으며, 보리가 타 작물에 비하여 $P_2O_5$, $K_2O$ 함량이 높았고, 두과작물인 완두콩과 헤어리베치가 화본 과인 호밀과 보리녹비에 비하여 CaO과 MgO 함량이 많았다. 녹비작물의 토양중 무기성분 고정량이 화본과인 호밀과 보리녹비의 총질소량은 10a당 $17{\sim}18kg$, $P_2O_5$, 4.7kg, $K_2O$ $31{\sim}33kg$ 수준으로, 두과 녹비작물인 완두콩과 헤어리베치에 비하여 총질소, $P_2O_5$, 양이온인 $K_2O$ 높았으나, CaO과 MgO 고정량은 큰 차가 없었다. 2. 녹비작물 재배 후작 유기재배 고추의 생육 및 수량 겨울 재배 녹비작물을 트렉터로 로터리 작업하여 토양에 환원한 후 홍고추를 2007년 4월 27일 정식하여 조사한 결과 생육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추 수량은 호밀녹비 재배지가 헤어리베치 재배지에 비하여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시설재배지 2차 녹비작물 재배 시 녹비수량 및 토양 이화학성 2007년 12월 18일 2차 녹비작물을 파종 재배하여 생육량을 조사한 결과 건물 수량은 10a당 호밀은 720kg, 보리는 528kg, 헤어리베치는 230kg, 완두콩과 잡초는 217kg 수준이었다. 녹비작물 생체중의 일일 증가량은 호밀과 보리는 100kg/10a/day, 헤어리베치는 10a당 65kg 정도가 하루에 증가되었다. 녹비작물의 총질소 고정량은 화본인 보리와 호밀 녹비작물이 두과작물보다 건물수량이 많아서 2배정도 많았고, 인산은 $2.7{\sim}3.7$배, 가리의 고정량은 $2.2{\sim}2.6$배 정도 많았다. 4. 녹비작물 재배 후작 무경운 고추 유기재배의 생육 및 수량 2차 녹비작물 재배 토양에 무경운으로 풋고추를 2008년 4월 1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녹비작물 종류에 따른 고추의 생육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고추 수량은 무처리와 보리예취 이용 처리 및 녹비 생산량이 적은 완두콩 재배지에서 많았다. 5. 녹비작물과 고추 유기재배에 따른 시설토양 이화학성의 경시적 변화 비닐온실내의 토양에 무기화학성의 경시적 변화를 추적하여 본 결과 토양 pH는 녹비작물 재배 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고추재배 후에는 다시 토양 pH가 감소되었다. 토양에 EC는 녹비작물 재배 후 감소되었으나, 고추재배 후에는 다시 토양 EC농도가 증가되었다. 1차 녹비작물 재배 후에는 토양에 증가되었으나, 고추 재배 후에는 유기물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에 총질소 함량은 녹비작물 2회 재배와 첫 번째 고추재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두 번째 고추재배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인산에 함량은 녹비작물재배와 고추 재배 시 미미하지만 공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양이온 치환용량과 양이온인 토양 K, Ca, Mg함량은 녹비작물과 고추재배 시 감소되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년 12월 18일 녹비작물을 파종하여 재배한 녹비작물의 수량과 식물체 내에 함유하고 있는 무기성분량을 개산하여 고추의 시비량을 결정하고자 2008년 3월 18일 녹비작물의 건물중과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녹비작물은 정식예정 포기 주변만을 소규모 예취한 후 고추를 녹비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추 플러그묘(72구) 지하부가 반쯤 묻혀질 정도만 호미로 땅을 파고 정식하였다.
  • 신(2008)은 우리나라 유기재배농가는 외부로부터 유기자원을 투입하는 집약적 농업방식은 다량의 유기물 연용을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토양환경 악화가 우려된다며, 적절한 토양관리 방법이 도입되지 않는 다면 유기농 토양에서도 염류집적 등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녹비작물 재배와 고추재배, 휴경을 반복하면서, 외부 유기자재 투입을 최소화하고 2년 동안 토양에 물리성과 화학성에 변화를 추적하여 궁극적으로 녹비작물을 이용한 유기 고추 시설 무경운 재배기술을 개발 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소비가 급증을 유도한 제도는? 우리나라는 최근 국민소득과 지식수준의 향상으로 식품과 환경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7년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의 도입으로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재배작물의 대부분을 시설채소가 담당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시설재배는 다수확을 목적으로 토양에 과다한 유기자재와 화학적인 물질을 투입하여, 염류 집적으로 인한 토양 오염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과 유용미생물의 결핍, 토양 무기성분간의 길항작용과 병해충의 확산 등 많은 문제점을 간직하고 있다.
녹비작물 재배와 고추재배, 휴경을 반복하면서, 외부 유기자재 투입을 최소화하고 2년 동안 토양에 물리성과 화학성에 변화를 추적하여 궁극적으로 녹비작물을 이용한 유기 고추 시설 무경운 재배기술을 개발 하고자한 본 연구에서 비닐온실내의 토양에 무기화학성의 경시적 변화를 추적하여 본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5. 녹비작물과 고추 유기재배에 따른 시설토양 이화학성의 경시적 변화 비닐온실내의 토양에 무기화학성의 경시적 변화를 추적하여 본 결과 토양 pH는 녹비작물 재배 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고추재배 후에는 다시 토양 pH가 감소되었다. 토양에 EC는 녹비작물 재배 후 감소되었으나, 고추재배 후에는 다시 토양 EC농도가 증가되었다. 1차 녹비작물 재배 후에는 토양에 증가되었으나, 고추 재배 후에는 유기물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에 총질소 함량은 녹비작물 2회 재배와 첫 번째 고추재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두 번째 고추재배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인산에 함량은 녹비작물재배와 고추 재배 시 미미하지만 공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양이온 치환용량과 양이온인 토양 K, Ca, Mg함량은 녹비작물과 고추재배 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고추재배에서는 같은 경향을 보였다.
우리나라 시설재배의 문제점은? 우리나라는 최근 국민소득과 지식수준의 향상으로 식품과 환경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7년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의 도입으로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재배작물의 대부분을 시설채소가 담당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시설재배는 다수확을 목적으로 토양에 과다한 유기자재와 화학적인 물질을 투입하여, 염류 집적으로 인한 토양 오염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과 유용미생물의 결핍, 토양 무기성분간의 길항작용과 병해충의 확산 등 많은 문제점을 간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