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매립지 수목상태 모니터링 및 식생관리 방안
Monitoring of the Trees and Plannig of Vegetation Management in Sudokwon Landfill,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년 학술대회 논문집, 2010 Apr. 16, 2010년, pp.185 - 189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도시생태학연구센터 HUNECO) ,  장재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홍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06년 9월∼2009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효과적인 식생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식생관련 지도화를 실시하여, 모니터링된 결과를 종합하고 수목 생육불량 파악, 수도권 매립지 환경정화수 선정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2007년에 4단 상부 및 3단 상부 지역 주요 식재 유형별 조사구 중 60개소를 선정하여 수목 생육불량률을 조사하였다. 2008년과 2009년에는 2007년도에 실시한 4단 상부 및 3단 상부 지역 주요 식재 유형별 조사구 60개소와 2008년 9개소를 추가하여 총 69개소에서 수목 생육불량률을 조사하였다. 성목과 묘목식재지를 구분하여 조사구를 설정하였으며 69개 조사구는 총 26개 유형 664주로 구성되었다.
  • 고밀도 생육(수관겹침)지역은 총 23개 조사구를 설정 조사하였으며 주요 식재종은 왕벚나무, 아까시나무, 양버즘나무 등이었고 고밀도 생육으로 인한 수목의 수형 불량 및 생육제한으로 수목 이식 및 간벌 작업이 필요하였다.
  • 대상지 내 목본, 초본식물 식생상관(Vegetational physio -gnomy)을 기본으로 1/3,000 수치지형도에 분포현황을 도면화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현존식생도는식재기능(녹화식재, 경관식재)과 수목성상, 자생여부를 고려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면적 및 비율을 산정하였다.
  • 따라서 매립지 사면 토양안정화 및 식재시기에 따른 식생구조를 분석하기위해 주요 사면지역별 10m×120∼186m 규격의 Belttransect 조사구 5개소를 설치하여 분석하였다.
  • 식재변화 비교 조사구 모니터링은 2002년 매립장 사면에식재된 수목 식생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2007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진이 2002년 조사한 28개소 조사구 중 지형 및 식생이 유지되는 11개소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5년간의 식생변화 비교를 분석하였다.
  • 수목 생육불량률은 수목의 가시적인 피해정도를 조사하는 이경재(1993)의 방법으로 잎의 변색도, 낙엽정도, 위축, 신초 생장, 소지상태, 정아유무, 수관감소, 수세 등을 점수화하여 생육불량률을 산정하였다. 생육불량률 산출방법은 활엽수 평가총점 25점, 침엽수 평가총점 41점으로 항목별 평가점수를 합계하여 백분율로 최종 생육불량률을 산출하였다.
  • 식생구조 조사구는 현존식생 자료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식재유형과 식재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자연식생 군락이 생태적으로 유지되는 최소면적이 100∼500㎡ (Ellenberg, 1956;Westhoff & Maarel, 1973)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20m×20m(400㎡) 크기의 방형구법(quardrats method)을 기본단위로 설정하였다.
  • 자연식생 군락이 생태적으로 유지되는 최소면적이 100∼500㎡ (Ellenberg, 1956;Westhoff & Maarel, 1973)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20m×20m(400㎡) 크기의 방형구법(quardrats method)을 기본단위로 설정하였다.
  • 대상지 내 목본, 초본식물 식생상관(Vegetational physio -gnomy)을 기본으로 1/3,000 수치지형도에 분포현황을 도면화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현존식생도는식재기능(녹화식재, 경관식재)과 수목성상, 자생여부를 고려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면적 및 비율을 산정하였다.
  • 제 1매립장 사면의 식생구조 현황은 고밀도 생육(수관겹침)지역, 저밀도 생육(귀화종유입)지역, 관목/초본식재지귀화종 피압지역, 식재지 내부 자연발생 목본종 유입지역, 생육불량지역, 생육양호지역, 교목벌채 후 맹아번성의 7개유형으로 구분하였다.
  • 제 1매립장의 매립시기 및 식재시기에 따른 토양환경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2007년에는 Belt-transect 조사구-3 사면에서 층위별로 토양 7점을 채취하여 토양 이화학적 분석을 하였다. 2008년에는 토양환경 생육불량 지표종이 위치한 지역 15개소(제 1매립장 15개소)를 추가 선정하였다.
  • 자연식생 군락이 생태적으로 유지되는 최소면적이 100∼500㎡ (Ellenberg, 1956;Westhoff & Maarel, 1973)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20m×20m(400㎡) 크기의 방형구법(quardrats method)을 기본단위로 설정하였다. 초본종 식생조사는 Braun-Blanquet(1964)의 방법에 따라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모든 초본 식물 종을 기록하고 우점도(Dominace)와 군도(Sociability)를 조사하고 방형구에 분포범위를 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7년에 4단 상부 및 3단 상부 지역 주요 식재 유형별 조사구 중 60개소를 선정하여 수목 생육불량률을 조사하였다. 2008년과 2009년에는 2007년도에 실시한 4단 상부 및 3단 상부 지역 주요 식재 유형별 조사구 60개소와 2008년 9개소를 추가하여 총 69개소에서 수목 생육불량률을 조사하였다.
  • 제 1매립장의 매립시기 및 식재시기에 따른 토양환경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2007년에는 Belt-transect 조사구-3 사면에서 층위별로 토양 7점을 채취하여 토양 이화학적 분석을 하였다. 2008년에는 토양환경 생육불량 지표종이 위치한 지역 15개소(제 1매립장 15개소)를 추가 선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매립장 내수목 중 생육불량률 및 고사율이 낮고 생장속도가 빨라 조기 녹화효과가 검증된 수목을 선정하여 ‘수도권매립지 환경정화수’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매립지 생태복원 기초 자료로 활용하며, 식생발달특성을 고려한 관리유형 및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전체 부지 중 쓰레기 매립이 2001년 10월에 완료된제 1매립장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 2008년과 2009년에는 2007년도에 실시한 4단 상부 및 3단 상부 지역 주요 식재 유형별 조사구 60개소와 2008년 9개소를 추가하여 총 69개소에서 수목 생육불량률을 조사하였다. 성목과 묘목식재지를 구분하여 조사구를 설정하였으며 69개 조사구는 총 26개 유형 664주로 구성되었다. 수목 생육불량률은 수목의 가시적인 피해정도를 조사하는 이경재(1993)의 방법으로 잎의 변색도, 낙엽정도, 위축, 신초 생장, 소지상태, 정아유무, 수관감소, 수세 등을 점수화하여 생육불량률을 산정하였다.
  • 1. 연구범위

    연구대상지는 매립장 지역의 식생지역 중 매립지의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앞으로 매립이 완료되는 매립지에 적절한 식생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매립이 완료가된 제 1매립장 사면(1,056,619㎡)을 설정하였다. 2006년 9월∼2009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효과적인 식생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식생관련 지도화를 실시하여, 모니터링된 결과를 종합하고 수목 생육불량 파악, 수도권 매립지 환경정화수 선정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주요 식재유형 조사는 2008년도는 2∼6단 녹화식재지와 경관식재지에 38개 조사구, 2009년도는 46개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 4. 토양

    토양환경 조사구는 제 1매립장에 총 15개를 설정하였고, 그 중 수목생육이 불량한 조사구 총 9개소 분석내용을 종합하였다. 토양 단면구조 분석결과 수목 생육불량지역은 토양내 뻘층이 발견되어 배수 불량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매립장 내수목 중 생육불량률 및 고사율이 낮고 생장속도가 빨라 조기 녹화효과가 검증된 수목을 선정하여 ‘수도권매립지 환경정화수’를 선정하였다. 환경부 환경정화수 검토, 수도권매립지 수목 생육상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느티나무, 목백합나무, 벚나무류, 상수리나무, 양버즘나무, 팽나무, 모감주나무, 버드나무, 곰솔 등 12개 수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수목은 향후 매립이 완료된 매립장 사면 및 주변 녹화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론/모형

  • 성목과 묘목식재지를 구분하여 조사구를 설정하였으며 69개 조사구는 총 26개 유형 664주로 구성되었다. 수목 생육불량률은 수목의 가시적인 피해정도를 조사하는 이경재(1993)의 방법으로 잎의 변색도, 낙엽정도, 위축, 신초 생장, 소지상태, 정아유무, 수관감소, 수세 등을 점수화하여 생육불량률을 산정하였다. 생육불량률 산출방법은 활엽수 평가총점 25점, 침엽수 평가총점 41점으로 항목별 평가점수를 합계하여 백분율로 최종 생육불량률을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