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이용한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Construction of Vege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4, 2014년, pp.99 - 106  

송지혜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강인준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홍순헌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박동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무분별한 산림파괴로 인하여 산림 및 생태계가 급속도로 파괴되어왔다. 이에 따라 산림 및 생태계관리를 위하여 식생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우리나라 역시 1986년 제1차 자연생태계 전국조사를 시작으로 하여 현재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1995년 이후 NGIS사업을 추진함으로써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식생 관리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식생 및 식물상 정보는 텍스트 기반의 우점 식생정보만 제공되고 있으며, 전국자연환경조사 중 일부 자료만 구축되고 나머지 정보는 구축되어 있지 않아 통합적인 식생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생정보의 구축 및 제공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분석과 계획수립, 의사결정지원을 위하여 관련 시스템과의 연계 구축을 통한 식생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1960 forest and ecosystem are rapidly destroy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ccordingly, studies that produce vegetation map continue for forest and ecosystem management. Since 1986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is being conducted in Korea. Also, vegetation information is m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식생관리를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시스템들과의 연계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식생관리 관련 시스템인 환경공간정보 서비스와 산림공간정보서비스, 산지정보시스템과 Internet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연계 구축함으로써, 식생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환경공간정보서비스의 정보 중 영급, 경급, 수관 밀도 등의 정보, 산림공간정보서비스의 토지정보, 산림정보 등의 정보와 산지정보시스템의 식생지도, 동·식물 분포 등의 정보 등의 연계 활용이 가능하다.
  • 전국자연환경조사 식생조사표의 식생정보와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식생정보를 비교·분석한 결과, 식생조사표의 조사항목은 약 2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식생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상에 구축되는 식생정보는 단편적인 정보만 제공하고 있어 식생서식지의 특성을 충분히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부의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에 따른 식생조사표의 조사항목을 모두 포함하도록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DB구축범위를 설정하였다. Table 4는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DB구축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구축 및 제공하고 있는 식생 및 식물상정보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생조사표 및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GIS를 활용한 Open API기반의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식생 및 산림정보의 제공과 효율적 분석을 위하여 관련 시스템과의 연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구축 및 제공하고 있는 식생정보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GIS기반의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일부를 대상으로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구축 방안은 다음과 같다. 앞서 설정한 DB구축 범위 기반의 정보제공 및 효율적인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 관리 및 정보이용 분석을 위한 관리자용 모듈, V-World 지도 기반의 식생 정보 검색, 분석 및 관리를 위한 GIS모듈과 식생정보 입력모듈로 구성된 사용자용 모듈 그리고 식생정보 실시간 연계모듈로 구성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GIS를 활용한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구축 및 제공하고 있는 식생 및 식물상정보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생조사표 및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GIS를 활용한 Open API기반의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식생 및 산림정보의 제공과 효율적 분석을 위하여 관련 시스템과의 연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저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 정보인 식생자료의 구축관리 현황을 검토하였다. 즉 국내 식생자료 구축을 위해 수행되는 조사인 전국자연환경조사와 이를 통해 구축된 식생자료의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 관리 현황을 검토하였다. 즉 국내 식생자료 구축을 위해 수행되는 조사인 전국자연환경조사와 이를 통해 구축된 식생자료의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공간정보서비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생 및 식물상(植物狀) 정보는 우점식생(優占植生)에관한 정보인 식생군락(植生群落)의 정보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정확한 조사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좌표, 방위, 표고 등의 위치정보가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생육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도 제공되고 있지 않아 식생정보의 정확한 위치, 세부 속성정보 및 그 특징의 파악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의 식생정보 획득과 그로 인한 정확한 분석, 계획수립 및 의사결정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추가조사가 수행되어야 하나 시간적·비용적 측면에서 추가조사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제1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어떤 목적으로 실시되었는가? 제1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자연생태계 전국조사라는 이름으로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에 걸쳐 전국의 육수역 및 해수역을 대상으로 생물의 생육환경과 자연성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자연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자연환경 보전을 위해 실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녹지자연도가 처음 제작되었다(Kim et al. 2013).
우리나라에서는 환경 및 생태계보호를 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이에 따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환경 및 생태계보호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 중에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산림의 보호 및 생태계 전반에 관한 파괴를 막기 위하여, 산림보호법,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야생동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및 환경영양평가법 등을 제정함으로써 법적인 규제를 마련하였으며, 자연생태계관리연구, 국가장기생태 연구, 생물자원보전종합대책, 생태·유전적 특성을 고려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의 보전전략 연구 등 국가 차원의 다양한 사업 및 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im, C. H., Kang, J. H. and Kim, M. J., 2013, Statu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2, No. 26, pp. 726-733. 

  2. Rho, P. H. and Choung, H. L., 2006, Alternatives of the korean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Vol. 5, No. 3, pp. 27-31. 

  3. Lee, S. W., 2009, Forest spatial data system future model and execution plan analysi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94-107. 

  4. Jo, Y. W., 2009, Constructing spatial data warehouse for forest information standardization Service of municipal governme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2, No. 2, p. 13. 

  5. Korea Forest Service,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http://fgis.forest.go.kr/. 

  6. Korea Forest Service, Forest land information system, http://www.forestland.go.kr/. 

  7.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http://egis.me.go.kr/main.do.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