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ettlers in our country, we need a societal system which they can adapt well in. In order to successfully settle in our society, the marriage immigrants who especially plan a life in a new environment should be supported with support programs, especi...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ettlers in our country, we need a societal system which they can adapt well in. In order to successfully settle in our society, the marriage immigrants who especially plan a life in a new environment should be supported with support programs, especially to help them adapt to their very basic housing environment as their daily environment. From this research, through a program analysi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re, the societal support helping to adapt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marriage immigrants in each nation was examined, and grasp an understanding on their adaptation to the housing environment by conducting interviews about housing environment adaptation examples.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100 program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ystem, it could be seen that for the marriage immigrants to adapt, various programs are needed. In other words, there are effective programs for the early settlement of the marriage immigrants such as Korean education, tradition culture education, provision of district daily information, but it could be seen that heavier education was needed for, than for the sake of the marriage immigrants who took such education. Through adaptation case examples of 8 marriage immigrants from 5 different countries, it was realizable that the housing problems the marriage immigrants go through, are not limited to themselves, but also are related to the safety of their family and adaptation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Therefore, by developing an adaptation program to help with housing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lives of the marriage immigrants' families will be supported, and will support early settlement, which then basic preparation for human resources as district societal use will be needed. By developing a program with a housing environmental professional, and if there is a positive effect and achievement,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tandard program system available for all marriage immigrants.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ettlers in our country, we need a societal system which they can adapt well in. In order to successfully settle in our society, the marriage immigrants who especially plan a life in a new environment should be supported with support programs, especially to help them adapt to their very basic housing environment as their daily environment. From this research, through a program analysi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re, the societal support helping to adapt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marriage immigrants in each nation was examined, and grasp an understanding on their adaptation to the housing environment by conducting interviews about housing environment adaptation examples.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100 program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ystem, it could be seen that for the marriage immigrants to adapt, various programs are needed. In other words, there are effective programs for the early settlement of the marriage immigrants such as Korean education, tradition culture education, provision of district daily information, but it could be seen that heavier education was needed for, than for the sake of the marriage immigrants who took such education. Through adaptation case examples of 8 marriage immigrants from 5 different countries, it was realizable that the housing problems the marriage immigrants go through, are not limited to themselves, but also are related to the safety of their family and adaptation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Therefore, by developing an adaptation program to help with housing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lives of the marriage immigrants' families will be supported, and will support early settlement, which then basic preparation for human resources as district societal use will be needed. By developing a program with a housing environmental professional, and if there is a positive effect and achievement,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tandard program system available for all marriage immigra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총괄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결혼이민자의 주거환경 적응을 돕는 사회적 지원에 대하여 살펴보고, 나라별 결혼이민자의 주거환경 적응에 대한 면담을 통하여 주거환경 적응사례에 대하여 파악하여 결혼이민자가 건강한 가정을 이루고 우리나라 주거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 분석과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주거환경에 부여 하는 의미들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의 자료수집 방법 중 하나인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 분석과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조사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면담조사는 2009년 10월 17일부터 10월 21일까지 1 : 1로 실시하였다. 면담은 평균 30분 정도 이루어졌으며, 면담의 내용은 연구대상자들의 동의하에 녹음을 하여 면담이 끝난 후 전사하고 현장노트와 함께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결혼이민자의 일반적 사항과 주거에 관한 사항, 주거환경에 관한 사항을 기초하여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개인이 처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질문의 범위를 조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센터의 선정은 건강가정지원센터와 중복 설치를 배제하고, 시·군별 결혼이민자 수, 센터간 거리, 시·도 추천 우선순위, 기존 이민자 관련 활동기관 존재 여부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선정한다.
현재 보건복지가족부에 등록되어 있는 100개의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각 센터에서 실시 중인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조사는 2009년 10월 1일부터 10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현재 보건복지가족부에 등록되어 있는 100개의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각 센터에서 실시 중인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조사는 2009년 10월 1일부터 10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주거환경 적응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중 5개 나라, 총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민자들의 특성은 <표 3>과 같다.
면담조사는 2009년 10월 17일부터 10월 21일까지 1 : 1로 실시하였다. 면담은 평균 30분 정도 이루어졌으며, 면담의 내용은 연구대상자들의 동의하에 녹음을 하여 면담이 끝난 후 전사하고 현장노트와 함께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2008년 광역 시․도별 국제결혼 건수를 살펴보면<표 2>, 전체적으로 국제결혼 건수와 구성 비율은 서울과 경기도가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한국남편의 외국부인의 건수가 한국부인의 외국남편의 건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 결혼이민자는 여성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외국인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온 기간별로 동화주의 혹은 다원주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적으로 동화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비율을 보면 한국에 온지 1~2년 된 결혼이민자의 경우는 다원주의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첫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은 결혼이민자의 주거환경 적응에 관한 내용은 없었다. 결혼이민자들이 결혼을 통하여 한국에 와서 겪는 주거환경 적응에 관한 어려움은 비단 결혼이민자 당사자의 문제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안정성 확보 및 자녀의 적응문제와도 연결된다.
후속연구
결혼이민자들이 결혼을 통하여 한국에 와서 겪는 주거환경 적응에 관한 어려움은 비단 결혼이민자 당사자의 문제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안정성 확보 및 자녀의 적응문제와도 연결된다. 따라서 주거환경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결혼이민자와 가족의 일상생활을 지원함으로써 조기 적응을 돕고, 향후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주거환경전문가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결혼이민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적은?
국경을 넘나드는 인구이동이 상시적,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결혼을 통한 이주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2006년 4월 현재 결혼을 통해 우리나라에 입국,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는 55,408명으로 한국계 중국인을 포함한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개도국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행정자치부 2006). 즉 한국사회가 다문화, 다인종사회로 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외국인 이주민들을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결혼이민자가 한국 국민의 일원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새로운 환경에서 삶을 계획하는 결혼이민자가 우리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원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가장 기본적인 생활환경인 주거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결혼이민자가 한국 국민의 일원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주거환경에 관한 프로그램은 간과되고 있다.
결혼이민자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그러므로 결혼이민자에 대한 체계적 지원으로 이들이 지역사회에 잘 통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혼이민자들(여성과 남성 모두)은 단순히 외국인이 아니라 한국인과 결혼해 가족을 이루고 살고 있는 사람들이며, 한국사회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후세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주체들이기 때문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