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ottom Ash의 물리.역학적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ottom Ash 원문보기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2008 Oct. 10, 2008년, pp.1353 - 1358  

윤원섭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조철현 (보강 엔지니어링) ,  박상준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종국 (한국건설품질시험원 지반공학센타) ,  채영수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lementary particle of bottom ash is similar to fine sand. so which expected from replace expensive sand. Especially, If using for improvement of soft ground, It will need of study about strength, permeability and environment of the bottom ash. In this study, the bottom ash operate of physical qu...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시료의 물리·역학적인 측면에서 시험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환경적인 문제점이 발생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배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ottom ash의 물성시험 및 역학시험을 통한 bottom ash의 물리·역학적 특성과 표준사에 대한 물성 및 역학특성을 비교하여 물리·역학적 측면에서 건설재료로써 가능한지 bottom ash의 재료특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천연골재보다 작지만 어느 정도 골재로서의 필요한 경도를 가진다.
  • 2) 다공질의 재료로 비중이 낮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모래를 대체할 수 있는 연약지반개량공법으로는 무엇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가? 이러한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을 극복하기위해 모래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재료의 개발이 절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모래를 대체할 수 있는 연약지반개량공법으로는 최근 토목섬유를 이용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lastic board drain, PBD) 등의 연직배수재(PVD)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실제 지반에 타설되는 배수재가 토립자와 결합되어 구멍막힘현상(clogging)과 굴곡이나 휘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맨드렐(mandrel)의 타입으로 주변지반의 교란영역이 형성하게 되어 압밀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모래의 대체 재료의 수급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모래의 대체 재료로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유·무연탄을 1600°C로 연소한 후 발생되는 비산재(플라이애시, fly ash)와 바닥재(바텀애시, bottom ash)의 석탄회가 있다.
Bottom ash가 모래의 대체제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이유는? Bottom ash 석탄재는 국내 10개 화력발전소에서 연간 약 600만톤이 발생하며, 약 58%인 350만톤은 시멘트 대체제로 사용하고 나머지 약 250만톤(42%)은 인근 매립장에 매립 처리해왔다. Bottom ash의 경우 입자가 모래와 비슷하여 최근 원자재 수급이 어려운 모래의 대체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특히 연약지반의 개량에 사용될 경우 bottom ash의 강도 및 배수능력, 환경 등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