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군집 비교
Comparative Study of Fish Community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by Habitat Typ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년 학술대회 논문집, 2011 Apr. 15, 2011년, pp.98 - 103  

김성원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생명과학과) ,  이진희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생명과학과) ,  장창렬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생명과학과) ,  최준길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심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 31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6과 21종 1,033 개체가 조사되었다. 도심하천에서 출현한 한국 고유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와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2종(11.8%)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동물에 속하는 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가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출현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출현한 한국고유종은 쉬리 (C. splendidu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등 총 13종(61.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높았고, 멸종위기 II급에 속하는 종인 묵납자루(A. signifer)와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등 2종(9.5%)이 조사되었다. 두 하천의 군집분석을 비교한 결과 도심하천이 자연하천에 비해 우점도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이 같은 유형의 서식처이지만 도심하천의 경우 양안 수변대와 제방구축, 하천정비, 고수부지의 시멘트화 등의 원인과 오염원의 유입, 풍부한유기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군집분석은 각 조사지점에서 개체수를 기준으로 우점도 (McNaughton 1967), 다양도(Margalef 1958), 균등도(Pielou 1966) 및 종풍부도(Margalef 1958)를 산출하였다.
  • 수심, 유속, 하상구조는 2009년 8월에 현장에서 조사하였고, 이 중 수심 및 유속은 조사 지점별로 1 m의 간격을 두고 횡단 측량을 실시하였다. 수심은 Total Station (탑콘 DT-209P)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유속은 Flowmeter Pottable FLO-MATE (2000)을 이용하였다.
  • 어류의 채집은 정량조사를 위하여 투망(5×5 mm)과 족대(4×4 mm)를 각각 15회, 40분간 실시하였다.
  • 한강의 지류인 탄천(도심하천)의 구간 중 약 5.5 km와 북한강의 지류인 홍천강(자연하천) 구간 중 약 4.5 km를 서식처 유형에 따라 댐형 웅덩이(Dam Type Pool), 사행형웅덩이(Meander Type Pool), 평여울(Run), 샛강(Side Channel), 개방형 하도습지(Channel Connected Pool), 거석형 웅덩이(Rock Type Pool), 급여울(Riffle), 낙차형 웅덩이(Substrate Type Pool), 폐쇄형 하도습지(Channel Unconnected Pool) 등 미소서식처로 구분하였다. 미소서식처 구분은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 기술개발연구원(에코리버 21, 2010)의 기준을 따랐으며, 각 미소서식처의 수환경 분석은 다음과 같다(Table 3, 4, 5, 6).

대상 데이터

  • 도심하천인 탄천과 자연하천인 홍천강을 대상으로 서식처 유형별 어류군집을 비교하였다. 탄천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창덕동에서 발원하여 서울시 송파구 세곡동을 통과한 후 서울시로 진입하여 서울종합운동장 아래에서 한강으로 유입되는 도시 하천으로 한강하류 수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있다.
  • 사수역은 도심하천(탄천)과 자연하천(홍천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시점은 서식처 유형별로 9개 구간을 선정하였다(Table. 1, 2). 각 조사지점은 Fig.

이론/모형

  • 5 km를 서식처 유형에 따라 댐형 웅덩이(Dam Type Pool), 사행형웅덩이(Meander Type Pool), 평여울(Run), 샛강(Side Channel), 개방형 하도습지(Channel Connected Pool), 거석형 웅덩이(Rock Type Pool), 급여울(Riffle), 낙차형 웅덩이(Substrate Type Pool), 폐쇄형 하도습지(Channel Unconnected Pool) 등 미소서식처로 구분하였다. 미소서식처 구분은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 기술개발연구원(에코리버 21, 2010)의 기준을 따랐으며, 각 미소서식처의 수환경 분석은 다음과 같다(Table 3, 4, 5, 6).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조사지 현황을 비교한 결과 유폭은 도심하천보다 자연하천이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유속은 거의 유사하지만 자연하천이 좀 더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수심, 유속, 하상구조는 2009년 8월에 현장에서 조사하였고, 이 중 수심 및 유속은 조사 지점별로 1 m의 간격을 두고 횡단 측량을 실시하였다. 수심은 Total Station (탑콘 DT-209P)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유속은 Flowmeter Pottable FLO-MATE (2000)을 이용하였다. 하상구조는 Cummins (1962)에 의거하여 현장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하상구조는 Cummins (1962)에 의거하여 현장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수온, pH, EC, DO는 Hach-HQ40d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실 내에서 분석이 이루어진 SS, BOD, T-N, T-P 등은 수질공정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에코리버 21, 2010).
  • 채집된 어류는 현장에서 동정 후 생태계 보전을 위해 대부분 방류하였고, 일부 개체는 세밀한 동정을 위해 10% Formalin 용액으로 고정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어류의 동정은 국내에서 발표된 검색표(김과 박, 2002; 김 등, 2005; 김, 1997)를 이용하였고, 분류체계는 Nelson (2006)을 따랐다.
  • 수심은 Total Station (탑콘 DT-209P)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유속은 Flowmeter Pottable FLO-MATE (2000)을 이용하였다. 하상구조는 Cummins (1962)에 의거하여 현장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수온, pH, EC, DO는 Hach-HQ40d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실 내에서 분석이 이루어진 SS, BOD, T-N, T-P 등은 수질공정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에코리버 21,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천강 유역은 어떤 요인들에 의하여 수환경 변화가 일어나고, 특히, 하천생태계에 적지않은 변화가 예상되는가? 홍천강은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생곡리에서 발원하여 춘천시 남면 가정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는 한강의 지류로, 총 연장이 약 120 Km에 달하며 유량이 풍부한 하천이다(양등, 1991). 홍천강 유역은 대부분이 산지 혹은 농경지로 되어 있으며, 일부 구간에서 주택지와 공장지대를 통과한다. 또한 홍천강 유역에는 레저시설 혹은 유원지가 곳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1년 수해로 인하여 하상 토목 공사가 여러 장소에서 이루어 졌다. 이러한 요인들에 인하여 수환경 변화가 일어나고, 특히, 하천생태계에 적지않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홍천강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특히 탄천 하류 주요지천인 양재천이 합류되는 서울시 강남구 면허시험장에서 한강유입부까지는 하천 양안 수변대와 고수부지가 시멘트화 되어 있는 BOX형 하천으로 생물 서식처가 거의 상실된 실정이다(배 등, 1997). 홍천강은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생곡리에서 발원하여 춘천시 남면 가정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는 한강의 지류로, 총 연장이 약 120 Km에 달하며 유량이 풍부한 하천이다(양등, 1991). 홍천강 유역은 대부분이 산지 혹은 농경지로 되어 있으며, 일부 구간에서 주택지와 공장지대를 통과한다.
탄천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도심하천인 탄천과 자연하천인 홍천강을 대상으로 서식처 유형별 어류군집을 비교하였다. 탄천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창덕동에서 발원하여 서울시 송파구 세곡동을 통과한 후 서울시로 진입하여 서울종합운동장 아래에서 한강으로 유입되는 도시 하천으로 한강하류 수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있다. 탄천의 중류지역은 1990년대 초부터 형성된 용인시 수지구와 성남시 분당구 등의 인구밀집지역과 성남시 하수종말처리장을 지나면서 상류수역에 비하여 수질의 오염의 정도가 심화되고 있으며, 한강 유입부까지 채널화된 하천으로 생물유지 능력이 감소되어 온 하천 중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