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motional Palette: Trend에 따른 감성적 사용자 경험 요소 매핑
Emotional Palette: Mapping Affective User experience Elements based on Trend 원문보기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2008 Feb. 13, 2008년, pp.451 - 455  

전명훈 (LG Electronics UXD Gr.) ,  이주환 (University of Oxford) ,  양정민 (LG Electronics UXD Gr.) ,  허우범 (LG Electronics UXD Gr.) ,  임태훈 (LG Electronics UXD Gr.) ,  안정희 (LG Electronics UXD Gr.) ,  김진 (LG Electronics UXD Gr.)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성 디자인의 중요성은 정정 강조되는 반면, 제품의 전반적인 디자인 아이덴티티로부터 실질적인 오감만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요소들을 적절하게 통합하는 작업은 그리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트렌드 분석에 따른 감성 어휘를 추출하고, 사용자 경험 요소를 매핑하여, 사용자 경험 요소를 통일성 있게 제품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자 경험 요소는 칼라, 소재&마감, 사운드로 국한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문헌 조사와 트렌드 분석 업체 및 사용자 경험 전문가들이 '08~'09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감성 형용사 31 개를 최종 추출하였다. 추출된 31 개의 어휘간 유사성 평정을 실시한 후,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하여 2 차원의 감성축을 구성할 수 있었다. 트렌드 감성 어휘는 'human-centered' vs. 'techno-centered' 및 'warm vs. cool' 의 2 차원 공간에서 표현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어휘에 따른 칼라, 소재&마감, 사운드 자극을 각각 제작한 후, 참가자들로 하여금 2 차원 감성 평면 위에서 직접 매핑시키는 실험을 통하여 이들간의 부합 정도를 검증해 보았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가장 근접한 위치의 감성 어휘와 감성 요소들을 연결시키고, 디자이너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였다. 추후 더욱 견고한 차원 구축 및 시스템화를 통해 실질적인 감성 디자인을 가이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otional design gets more and more important. However, the systematical approaches to integration of user experience elements in product design have been rarely tried.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We extracted affective words fitting to design direction based on trend analysis. Then, user ex...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감성 기반 제품 디자인을 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트렌드에 따른 감성 어휘들을 추출한 뒤, 이들의 감성 축을 구축하고, 다양한 감성 요소들을 매핑하는작업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감성적 디자인 요소로 선택한 것은 칼라, 소재&마감, 사운드였으며, 이 세 가지 요소들을 감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방식을 받아들여, 사용자들의 평정에 의해 각 요인들과 감성간의 연결고리를 구축하였다.
  • 하지만, 이러한 구분도 명백한 것은 아니어서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운드를 연구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음악의 수준보다는 음 수준에 가까운 속성을 사용하고자 한다. 그 가운데 음성이나 실제 존재하는 소리를 차용하는 auditory icon 은 제외하고, 간단한 음들의 조합이나 패턴을 이용한 earcon 을 기반으로 하였다 [15].
  •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을 결정할 수 있는 기초적인 요소들이 어떻게 결합되었을 때 특정한 감성이 발생되는지를 사용자들의 반응을 통해 연구해보고 이를 토대로 한 가이드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 형용사와 칼라, 소재&마감은 전문가에 의해 사전 매핑하였다. 이들이 각각 형용사와 매핑할 수 있는 중요한 개별 요인임에는 틀림없지만, 이들을 각각 통제하는 것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요인들은 감성 어휘와 사전 매핑하였다. 사운드 자극은 먼저 전체를 듣도록 했으며, 평정 도중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