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2011 Apr. 22, 2011년, pp.41 - 46
박설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응용.미래기술응용센터) , 이주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응용.미래기술응용센터) , 김연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응용.미래기술응용센터) , 심은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응용.미래기술응용센터)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μG환경에서 작동 중 가열된 전자(전기)부품의 열이 쉽게 냉각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실제로 μG환경에서는 작동 중 가열된 전자(전기)부품의 표면은 열원이 제거되어도 쉽게 냉각되지 않는다. 이는 중력의 영향이 약해짐으로써 부력에 의한 자연대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열이 많은 부품들이 적절한 냉각 과정 없이 오랜 시간동안 작동하다보면 그만큼 화재에 노출되기 쉽다. | |
국제우주정거장은 어떻게 건설이 시작되었는가? | 국제우주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건설사업은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독일, 프랑스 등 11개국), 캐나다, 일본을 중심으로 1998년 11월부터 건설을 시작하여, 2011년 현재 거의 완성단계에 이른 세계 최초 초대형 국제협력 프로젝트이다. 국제우주정거장 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국가는 건설 중은 물론 완공 후 향후 10년 동안 특수한 환경(미세중력,Microgravity)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의 기초과학실험은 물론 유인우주 행성탐사 시 생명체 유지에 필요한 시스템 개발과 검증을 위한 궤도 실험실로 활용될 것이다. | |
μG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무엇인가? | μG은 지구상의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1g라고 정의할 때 10-6g의 중력크기를 지칭하는 말이지만 10-3g이하의 중력크기를 통칭하는 용어로 주로 사용되며 reduced gravity나 weightless로 표현하기도 한다.2) μG조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중력장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법 (640만km)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방법이다. 하지만 지구의 중력장 하에 있다 하더라도 지구중심방향으로 자유낙하를 통해서 최대 10-6g의 μG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우주정거장을 포함한 대부분의 우주실험 설비는 자유낙하를 통하여 μG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