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2011 July 07, 2011년, pp.65 - 68
박정식 (한양대학교) , 서병국 (한양대학교) , 박종일 (한양대학교)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3차원 모델기반 추적 기술은 어디에 적용 가능한가?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을 실현하기 위한 3차원 모델기반 카메라 추적 기술을 제안한다. 3차원 모델기반 추적 기술은 평면적이지 않은 객체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텍스처가 없는 환경에서 유용하다. 제안하는 방식은 대상 객체의 3차원 모델정보로부터 영상에서 추출한 에지와의 대응점을 찾고, 대응점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카메라 움직임을 추정함으로써 이전 카메라 포즈(위치 및 방향)로부터 현재 포즈가 추적되는 방식이다. | |
시각적 마커를 이용한 카메라 추적 방법의 단점은? | 시각적 마커를 이용한 카메라 추적 방법은 그 간단함과 강건함으로 일찍부터 모바일 증강현실에 사용되어 왔다[1]. 하지만 인위적인 마커로 인해 발생되는 부자연스러운 환경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방해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일상 환경에서 몰입감 높은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서 추적 환경에 존재하는 시각적 특이점, 예를 들어 코너나 에지 등을 이용하는 카메라 추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증강현실을 실현하기 위한 3차원 모델기반 카메라 추적 기술은 어떤 방식인가? | 3차원 모델기반 추적 기술은 평면적이지 않은 객체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텍스처가 없는 환경에서 유용하다. 제안하는 방식은 대상 객체의 3차원 모델정보로부터 영상에서 추출한 에지와의 대응점을 찾고, 대응점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카메라 움직임을 추정함으로써 이전 카메라 포즈(위치 및 방향)로부터 현재 포즈가 추적되는 방식이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스마트폰 상에서 제안된 방식으로 카메라 포즈를 추적하고 3차원 가상 콘텐츠를 증강시켜 봄으로써 그 유용성을 확인한다. |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