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케치 인식을 통한 디지털 도면 생성 기법
Method of Generating Digital Drawing through Sketch Recognition 원문보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2019 July 11, 2019년, pp.91 - 94  

오수현 (경상대학교,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  이성진 (경상대학교,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케치를 거쳐 생성되는 디지털 자료로 건축도면이나 제품 디자인시안 등은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도면 자동생성에 대한 영상처리는 아직 연구되지 않고 있다. 현행 필기인식에 대한 영상처리 연구는 주로 글자나 숫자에 국한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선으로 이루어진 필기를 인식하여 도면이라는 이진영상의 특징을 이용해 특징점을 도출하고 디지털 도면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를 제안한다. 먼저 입력받은 아날로그 스캔이미지를 메디안블러링과 OSTU임계처리로 노이즈가 없는 이진영상으로 변환한 후 해리스코너검출기를 이용하여 특징점을 검출하고 좌표를 추출하고, 좌표값을 활용해 외곽선과 내부윤곽선까지 구현하여 디지털도면을 양산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로 입력받은 아날로그 스케치 영상을 도면생성 자동화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도면으로 재생성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된 아날로그 스캔 이미지로 영상처리를 하기 위해 먼저 블러링과 임계처리를 하여 노이즈가 최대한 제거된 이진화 영상을 만든다.
  • 본 연구에서는 스케치인식을 통한 도면생성 영상처리를 제안하였다. 이는 건축도면 뿐만 아니라 제품디자인시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계처리란 무엇인가? 임계처리란 영상을 처리하는데 있어 영상 내의 밝기 값에 대해 특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임계처리는 앞서 소개한 것과 같이 단순임계처리, 적응임계처리, ostu 임계처리와 같이 세 가지로 나뉘며 단순임계처리는 특정 임계 값을 설정하여 그보다 크면 255를 할당하고 그렇지 않으면 0을 되돌려주는 단순한 방법이며, 적응임계처리는 특정 임계 값을 주변영역의 밝기 값에 따라 각각의 임계 값이 다르게 적용되며, ostu임계처리는 영상 픽셀을 2분류 하였을 때 분산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화하는 임계 값을 찾는 방법이다.
구조적 특징기반 자유필기체 숫자인식 알고리즘은 어덯게 되는가? 이러한 방법으로 송정영[1]은 구조적 특징기반 자유필기체 숫자인식 알고리즘 연구를 했다. 해당 연구는 특징점을 끝점, 3개 교차점, 4개 교차점으로 나누고 숫자별로 각 특징점의 개수와 위치로 알고리즘을 형성하였다. 가령 0과 8의 경우는 끝점이 없고, 끝점이 1개인 것은 6과 9이며 끝점이 2개인 것은 1,3,4,5,7이다.
숫자보다는 복잡한 형태의 글자가 인식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숫자보다는 복잡한 형태의 글자는 영자, 중문, 일문, 한글 등으로 언어권에 따라 다른 언어를 쓰기 때문에 인식이 매우 어렵다. 김현우[3]는 Goog lenet 기반의 딥러닝을 이용한 향상된 한글 필기체 인식을 연구하였는데 한글의 특성상 유사 글자가 많은 것을 한글 필기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