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모션 입력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인터랙션
Hologram Interaction Using 3D Motion Input Device 원문보기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2019 Oct. 30, 2019년, pp.1162 - 1163  

황혜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  박종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  임규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  최강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사람들이 쉽고 편하게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HCI(Human-Computer Interaction)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사각 평면 창을 대체할 차세대 기재 가운데 하나로 떠오른 홀로그램과 사람의 손의 동작을 인식하는 3D 모션 입력장치 립모션(Leap-Motion)을 결합하여 새로운 인터랙션을 제시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D 모션 입력장치를 통한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기, 손바닥 뒤집기, 줍기, 회전 등 다양한 모션을 통해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손을 이용한 회전으로 (그림 3)와 같이 3D 물체의 전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게임은 Unity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먼저, 게임 신(scene)내의 카메라를 우측, 좌측, 정면으로 총 3대를 설정하여 (그림 2)와 같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3D 물체로 보이도록 한다.
  • 다음은 (그림 5)와 같이 사용자의 양손의 엄지와 검지가 맞닿았을 때, 접점을 만들고, 양손의 접점이 모두 생겼을 때, 이 두 접점 사이의 거리를 벡터로 계산한 중간점을 생성한다. 그리고 양손의 접점이 하나라도 사라졌을 때, 이 중간점의 방향으로 발사되는 일종의 총알을 (그림 6)과 같이 적을 향해 발사하여 파괴하고, 점수를 얻으며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키넥트처럼 깊이를 구분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각각의 손바닥과 손가락의 X, Y, Z축 정보를 알려주는 제품인 3D 모션 입력장치 ‘립모션’[1]을 홀로그램과 결합하여 새로운 인터랙션을 제시한다.
  • 게임은 Unity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먼저, 게임 신(scene)내의 카메라를 우측, 좌측, 정면으로 총 3대를 설정하여 (그림 2)와 같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3D 물체로 보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게임 속에서 3D 물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키넥트처럼 깊이를 구분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각각의 손바닥과 손가락의 X, Y, Z축 정보를 알려주는 제품인 3D 모션 입력장치 ‘립모션’[1]을 홀로그램과 결합하여 새로운 인터랙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홀로그램으로 처리된 3D 물체를 다양한 모션으로 조작하며 진행할 수 있는 게임을 (그림 1)과 같은 환경에서 개발한다.
  • 이후, (그림 4)와 같이 3D 물체를 조각낸 후, 각각의 조각을 집어 들고, 이동하여 다시 (그림 3)처럼 전체 모습을 만들도록 게임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 손과 물체 조각의 위치 벡터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라고 인식이 되었을 때, 사용자 손에 들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먼저, 손을 이용한 회전으로 (그림 3)와 같이 3D 물체의 전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그림 4)와 같이 3D 물체를 조각낸 후, 각각의 조각을 집어 들고, 이동하여 다시 (그림 3)처럼 전체 모습을 만들도록 게임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 손과 물체 조각의 위치 벡터 값을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라고 인식이 되었을 때, 사용자 손에 들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는 Realfiction Dreamoc HD를 사용하였으며, 기기의 해상도는 1920*1080이다. 개발에 사용한 컴퓨터의 그래픽 카드는 GTX 1060이다. 3D 모션 입력장치로는 립모션(Leap-Motion)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개발에 사용한 컴퓨터의 그래픽 카드는 GTX 1060이다. 3D 모션 입력장치로는 립모션(Leap-Motion)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