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bovine lactoferrin in food emulsion system. First, lactoferrin solution was prepared to study its surface activities, such as surface adsorption characteristics and ${\zeta}$-potential. Second,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전 연구를 통하여 락토페린의 우수한 생리 기능성 및 유화 기능성에 기초하여 유화액 구조를 갖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락토페린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나, 락토페린 자체의 유화성질에 대한 폭넓은 연구는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락토페린의 표면 흡착 성질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락토페린을 이용하여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하며, pH 변화 및 NaCl 첨가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락토페린 유화액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실험의 결과는 락토페린을 이용한 유화액 형태의 전달 시스템(emulsion-based delivery system)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락토페린의 유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락토페린 수용액을 이용하여 락토페린의 표면활성(표면흡착특성, ζ-potential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어서 락토페린으로 안정화된 유화액을 제조하고 이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urbiscan을 이용하여 락토페린 유화액의 크리밍 안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세요. , Formulaction, I’Union, France)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19]. 시료 유화액을 시료병 (dia: 27.5 mm, height: 50 mm)에 충전하여 크리밍 측정장치(Turbiscan)에 넣고 상온에서 72 시간동안 크 리밍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크리밍 프로화일[유화액 높이에 대한 후방산란 강도 (backscattering intensity)]로 표현하였다. 이 장치는 유화액 시료에 532 nm의 laser를 조사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유화액 중 지방구에 의한 후 방산란 강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콜로이드 시스템의 분산 안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20].
유화액 시스템이란? 유화액 시스템(emulsion system)은 2가지 이상의 서로 섞이지 않는 상(phase)이 균일하게 혼합되어있는 시스템으로, 구성 성분 간의 높은 표면자유에너지(surface free energy)로 인하여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시스템이다[1]. 식품 유화액의 경우 주로 극성지질(polar lipids)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구성 성분(물/기름) 간의 표면자유에너지를 낮추어 일정기간 동안 시스템의 안정화를 유도하게 된다[1].
락토페린의 로브(lobe)의 기능은? 락토페린은 포유동물의 젖 이외에도 눈물, 콧물, 타액, 담즙 및 정액 등의 분비액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초유에 약 7g/L, 눈물에 2mg/L 정도 함유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3]. 락토페린의 구조는 철 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두 개의 로브(lobe)를 갖고 있으며, 각 로브는 미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Fe3+과 결합하여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정균작용을 나타내며, 이외에도 면역계 조절, 세포증식 조절, 철 흡수 조절작용 등 많은 생리활성 기능을 보유한 것으로 보고되었다[4]. 락토페린은 1939년 처음 발견된 이후,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화장품(skin care), 구강 질환에 관련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고, 식품분야에서는 영아용조제분유(infant formula), 요구르트(yogurt), 보충제(supplemental tablet) 등과 관련한 연구 및 제품개발이 이루어졌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 J. McClements, "Food emulsion: principles, practices, and technique", 2nd ed., p. 334, F. L. Boca Raton, Florida (1989). 

  2. K. S. Hoek, J. M. Milne, P. A. Grieve, D. A. Dionysius, and R. Smith, Antibacterial activity of bovine lactoferrin-derived peptides, Antimicrob. Agents. Ch., 41, 54 (1997). 

  3. P. L. Masson, J. F. Heremans, and E. Schonne, Lactoferrin, an iron-binding protein in neutrophilic leukocytes, J. Exp. Med., 130, 643 (1969). 

  4. J. K. Actor, S. A. Hwang, and M. L. Kruzel, Lactoferrin as a natural immune modulator, Curr. Pharm. Design, 15, 1956 (2009). 

  5. H. Wakabayashi, K. Yamauchi, and M. Takase, Lactoferrin research, technology and applications, Int. Dairy J., 16, 1241 (2006). 

  6. A. Sarkar, K. K. T. Goh, and H. Singh, Colloidal stability and interactions of milk-protein-stabilized emulsions in an artificial saliva, Food Hydrocolloid., 23, 1270 (2009). 

  7. A. Sarkar, D. S. Horne, and H. Singh, Interactions of milk protein-stabilized oil-in-water emulsions with bile salts in a simulated upper intestinal model, Food Hydrocolloid., 24, 142 (2010). 

  8. M. Tomita, H. Wakabayashi, K. Shin, K. Yamauchi, T. Yaeshima, and K. Iwatsuki, Twenty-five years of research on bovine lactoferrin applications, Biochimie, 91, 52 (2009). 

  9. L. Y. Mei, D. J. McClements, and E. A. Deker, Lipid oxidation in emulsions as affected by charge status of antioxidants and emulsion droplets, J. Agr. Food Chem., 47, 2267 (1999). 

  10. L. Y. Mei, D. J. McClements, J. N. Wu, and E. A. Dekker, Ion-catalyzed lipid oxidation in emulsion affected by surfactant, pH and NaCl, Food Chem., 61, 307 (1998). 

  11. A. Ye, J. Lo, and H. Singh, Formation of interfacial milk protein complexation to stabilize oil-in-water emulsions against calcium, J. Colloid. Interf. Sci., 378, 184 (2012). 

  12. E. De Lorenzis, C. Semeraro, M. D. De Blasi, G. Mita, and P. Poltronieri, Emulsions ba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lactoferrin and chitosans, Food Biophys., 3, 169 (2008). 

  13. D. J. McClements, Protein-stabilized emulsions, Curr. Opin. Colloid. In., 9, 305 (2004). 

  14. D. G. Dalgleish, Food emulsions stabilized by proteins, Curr. Opin. Colloid. In., 2, 573 (1997). 

  15. E. Dickinson and K. Pawlowsky, Influence of ${\kappa}$ -carrageenan on the properties of a protein-stabilized emulsion, Food Hydrocolloid., 12, 417 (1998). 

  16. S. T. Hong and E. Dickinson, Influence of an anionic surfactant on the rheology of heat-set ${\beta}$ -lactoglobulin-stabilized emulsion gel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127, 1 (1997). 

  17. S. T. Hong, Competitive displacement of methylcellulose from the oil-water interface by various emulsifi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71 (2008). 

  18. O. H. Lowry, N. J. Rosebrough, A. L. Farr, and R. J. Randall,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 Chem., 193, 265 (1951). 

  19. H. Zhang, Y. H. Lee, J. A. Shin, K. T. Lee, and S. T. Hong, Stability of oil-in-water emulsions with different saturation degrees from beef tallow alcoholysis produc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33 (2013). 

  20. D. J. McClements, Critical review of techniques and methodologies for characterization of emulsion stability, Crit. Rev. Food Sci. Nutr., 47, 611 (2007). 

  21. D. E. Graham and M. C. Phillips, Proteins at liquid interfaces: III. Molecular structures of adsorbed films, J. Colloid. Interf. Sci., 70, 427 (1979). 

  22. M. R. R. Nino and J. M. R. Patino, Surface tension of protein and insoluble lipids at the air-aqueous phase interface, J. Am. Oil Chem. Soc., 75, 1233 (1998). 

  23. J. Leman and J. E. Kinsella, Surface activity, film formation, and emulsifying properties of milk proteins, Crit. Rev. Food Sci. Nutri., 28, 115 (1989). 

  24. N. Krog, N. M. Barford, and R. M. Sanchez, Interfacial phenomena in food emulsions, J. Disp. Sci. Tech., 10, 483 (1989). 

  25. C. Bengoechea, O. C. Jones, A. Guerrero, and D. J. McClement, Formation of protein nanoparticles by controlled heat treatment of lactoferrin: Factors affecting particle characteristics, Food Hydrocolloid., 25, 1354 (2011). 

  26. J. M. Steijns and A. C. M. van Hooijdonk, Occurrence, structure, biochemical properties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ferrin, Brit. J. Nutr., 84, 11 (2000). 

  27. P. Walstra, "Encyclopedia of emulsion technology, basic Theory", 1st ed., vol I, p. 57, P. Becher, New York (1983). 

  28. E. Dickinson, "An Introduction to Food Colloids. 207 Seiten, zahlr. Abb", p. 514, J. Kroll, Oxford, New York, Tokyo (1992). 

  29. F. A. Perrechil and R. L. Cunha, Stabilization of multilayered emulsions by sodium caseinate and k-carrageenan, Food Hydrocolloid., 30, 606 (2013). 

  30. Molecular structure, binding properties and dynamics of lactoferrin, Cell. Mol. Life Sci., 62, 2531 (2005). 

  31. E. N. Baker and H. M. Baker, A structur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multifunctional character of lactoferrin, Biochimie, 91, 3 (2009). 

  32. J. Y. Lee and C. K. Mok, Dispersion stability determination of saengshik beverage by iptical methods, Food Eng. Prog., 4, 41 (2010). 

  33. E. Dickinson, Properties of emulsions stabilized with milk proteins: overview of some recent developments, J. Dairy Sci., 80, 2607 (1997). 

  34. H. J. Lee, J. S. Bae, E. S. Lee, H. C. Kang, K. T. Lee, and S. T. Hong, Emulsifying properties of Surface-active substances from defatted rice bran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ood Eng. Prog., 16, 17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