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주)아세아항측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 동문굿모닝타워*차 ***호 (백석동)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 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대방로**길 ** (신대방동)
대리인 / 주소
이원희
심사청구여부
있음 (2012-01-13)
심사진행상태
등록결정(일반)
법적상태
등록
초록▼
본 발명은 수치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콘텐츠 생성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방대한 용량의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로부터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시각적 콘텐츠로 기후변화 정보를 정리하여 가져올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며, 대중들의 눈높이에 및 시대적 이슈에 맞추어 필요한 정보들을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로부터 도출하여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맞는 기후변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정보전달 능력이 우수하고, 시계열(Time -series)적인 정보
본 발명은 수치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콘텐츠 생성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방대한 용량의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로부터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시각적 콘텐츠로 기후변화 정보를 정리하여 가져올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며, 대중들의 눈높이에 및 시대적 이슈에 맞추어 필요한 정보들을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로부터 도출하여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맞는 기후변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정보전달 능력이 우수하고, 시계열(Time -series)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와 제어동작에 능동적으로(interactive) 대응하며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로서 지금까지의 기후변화 콘텐츠와 차별화된 정보전달 및 교육적 능력을 통하여 교육, 홍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통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수치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콘텐츠 생성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표청구항▼
경도, 위도, 풍속의 u축 스칼라 량(u), 풍속의 v축 스칼라 량(v), 지면으로부터 2m 높이의 온도(T2), 지면으로부터 2m 높이의 수증기 혼합비(Q2), 대기압(PSFC), 평면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 그리고 시간(Time) 변수를 포함하는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콘텐츠 생성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 자료를 입력받는 단계프로세싱장치에 의해, 입력된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 자료로부터 다수의 관심영역에 대하여 시간(Time), 높이(Hei
경도, 위도, 풍속의 u축 스칼라 량(u), 풍속의 v축 스칼라 량(v), 지면으로부터 2m 높이의 온도(T2), 지면으로부터 2m 높이의 수증기 혼합비(Q2), 대기압(PSFC), 평면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 그리고 시간(Time) 변수를 포함하는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콘텐츠 생성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 자료를 입력받는 단계프로세싱장치에 의해, 입력된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 자료로부터 다수의 관심영역에 대하여 시간(Time), 높이(Height), 평면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에 관한 변수(Variable)들을 추출하여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한 다수의 관심영역을 선택하는 단계;상기 프로세싱장치에 의해,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 자료로부터 선택된 상기 다수의 관심영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변수 중 적어도 2 이상을 이용하여 바람기호에 대한 기후변화 콘텐츠와, 풍력에 대한 기후변화 콘텐츠와, 불쾌지수에 대한 기후변화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프로세싱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후변화 콘텐츠를 출력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바람기호에 대한 기후변화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장치에 의해,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로부터 경도(Longitude), 위도(Latitude), 풍속의 u축 스칼라 량(u), 풍속의 v축 스칼라 량(v), 지면으로부터 2m 높이의 온도(T2), 지면으로부터 2m 높이의 수증기 혼합비(Water vapor mixing ratio, Q2), 시간(Time)에 해당하는 변수가 추출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변수들 중 상기 u 및 상기 v 변수를 이용하여 풍속(wind speed) 및 풍향이 연산되는 단계; 상기 u 및 상기 v 변수와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를 이용하여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을 구성하는 격자 각각에 대해 바람기호 그래픽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 점들(node points)이 계산되는 단계; 미리 정해진 풍속계급에 맞추어 상기 연산된 풍속을 계급화하고 상기 계급화된 풍속에 대한 색상이 적용되는 단계;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의 시간(Time) 변수로부터 상기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 전체의 시간 대역을 읽어와 각각의 시간대역(time span) 별로 시간대역 폴더가 생성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시간대역 폴더 내의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을 구성하는 격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바람기호 그래픽 정보, 계산된 상기 풍속과 상기 풍향 및 상기 변수(T2, Q2, Time) 정보가 목록화되어 기록되는 단계; 목록화된 상기 정보에 바람기호 범례 이미지가 추가되어 바람기호를 이용한 시계열 기후변화 콘텐츠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각각의 노드 점들을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람기호는, 1개의 화살대와 1개의 화살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살대의 시작점은 상기 수치모델을 구성하는 각 격자의 중심에 대한 경도 및 위도 좌표이고, 상기 화살촉의 시점은 상기 화살대의 종점이며, 상기 화살대 및 상기 화살촉의 길이가 상기 풍속에 비례하도록 상기 화살대 및 상기 화살촉의 종점이 결정되며, 상기 화살촉의 각도는 상기 풍속에 비례하도록 결정되며, 상기 화살촉의 좌표는 상기 u가 0보다 크면 경도 및 위도 값에서 상기 화살촉의 계산값을 빼고, 상기 u가 0보다 작으면 경도 및 위도 값에 상기 화살촉의 계산값을 더하여 상기 화살촉 좌표의 보정이 이루어지며,상기 연산된 풍속을 계급화하고 상기 계급화된 풍속에 대한 색상이 적용되는 단계에서, 상기 풍속의 계급은 보퍼트 풍력계급(Beaufort wind force scale)을 적용하여 할당하며, 상기 바람기호의 색상은, 8개의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기록되고, 투명도, Red, Green, Blue의 값을 각각 두 자리의 16진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예측 수치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콘텐츠 생성방법.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