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수축핵 모델을 이용한 연탄의 연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thracite Briquettes by Use of Shrinking Core Model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이현구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1987-10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연구관리전문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200011408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국내 부존 에너지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석탄은 가정용, 또는 산업용 연료로서 그 사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정용 연탄은 우리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수요량도 계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연탄의 연소는 그 반응기구가 매우 복잡하고 물리, 화학적인 현상 또한 다양할 뿐만 아니라 연탄의 기하학적인 형태가 특이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못한 실정이다.
가정용 구공탄의 연소 특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구형 및 중공 원통형 연탄

Abstract

The range of coal utilization as either domestic fuel or industrial has been expanded continuously to realize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domestic energy resources. Among these the anthracite briquette for domestic use is closely related to every day life of Korean people and its demand tends to i

목차 Contents

  • 1. 서론...11
  • 2. 1차원 연소모델...16
  • 2.1 화학반응과 반응속도식...16
  • 2.2 모델설정...18
  • 2.3 수식 전개 및 수치해석 방법...21
  • 2.3.1 Model-1...24
  • 2.3.2 Model-4(M-4-A)...29
  • 2.4 구형입자의 연소실험...33
  • 2.5 결과 및 검토...36
  • 2.5.1 연소 특성...36
  • 2.5.2 입자의 크기와 연소시간...40
  • 2.5.3 입자 표면온도 및 입자 크기와 영향...43
  • 2.5.4 미반응탄의 열용량율 고려하는 경우...46
  • 2.5.5 석탄의 다른 연소 반응들의 영향...48
  • 2.5.6 일산화탄소의 재연소반응의 영향...51
  • 2.5.7 미반응 수축핵 모델의 유효성...55
  • 2.5.8 모델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의 비교...57
  • 2.6 결론...63
  • 3. 2차원 연소모델...64
  • 3.1 모델 설정...64
  • 3.2 수식 전개 및 수치해석 방법...66
  • 3.2.1 일반적인 모델...66
  • 3.2.2 수치 해석 방법 및 검토...73
  • 3.2.3 확산 율속 모델...75
  • 3.2.4 확산 율속 모델의 수치 해석 방법...81
  • 3.3 실험...82
  • 3.3.1 시료의 준비...82
  • 3.3.2 실험장치 및 방법...82
  • 3.4 결과 및 검토...85
  • 3.4.1 반응면의 이동 추이...85
  • 3.4.2 공기와 온도 및 유량 변화의 영향...89
  • 3.4.3 유효 확산 계수의 영향...94
  • 3.4.4 연탄의 기하학적 규격의 영향...97
  • 3.4.5 반응면의 실험 관찰...104
  • 3.4.6 실험 관찰과 모델 해석 결과와의 비교...113
  • 3.5 결론...118
  • 4. 연탄 상부의 화염에 대한 모사 연구...119
  • 4.1 연탄 상부에 형성되는 화염의 모델 설정...119
  • 4.2 확산 화염에 대한 수식 전개...120
  • 4.3 산화제와 연료가 동심의 환상형으로 공급되는 경우...126
  • 4.4 산화제와 연료가 다중 환상형으로 공급되는 경우...131
  • 4.5 모델의 해석...135
  • 4.6 결과 및 검토...137
  • 4.6.1 중공 원통형 연탄의 경우...137
  • 4.6.2 다공 연탄의 경우...146
  • 4.7 결론...155
  • 5. 결론...156
  • 참고문헌...158
  • 부록 :...163
  • 1. Peano의 정리...163
  • 2. 발표 논문 발쇄 - 제 4차 APCChe 학술 대회에서 발표(Singapore, May 1987)...165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