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공주대학교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조삼래
|
참여연구자 |
문형태
,
한영채
,
심우식
,
김예희
,
백운기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1997-12 |
주관부처 |
농림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공주대학교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등록번호 |
TRKO200200019899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고 있는 백로 왜가리류의 집단 번식지중 강원도 양양과 횡성, 경기도 여주, 충북의 진천, 충남의 감성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 된곳을 포함한 기타의 번식지내의 토양특성을 인근 비서식지의 토양과 비교한 결과 매우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으며 또한 임상의 초본식물 중에서도 큰 차이가 있었고, 집단서식지의 임상에는 부영양화의 지표종이 침입하여 왕성한 생장을 하고 있었다. 교목이 고사함에 따라 일부 지역의 임상에는 광량이 증가하여 초본층의 생장이 왕성하였으며 지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배설물에 의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고 있는 백로 왜가리류의 집단 번식지중 강원도 양양과 횡성, 경기도 여주, 충북의 진천, 충남의 감성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 된곳을 포함한 기타의 번식지내의 토양특성을 인근 비서식지의 토양과 비교한 결과 매우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으며 또한 임상의 초본식물 중에서도 큰 차이가 있었고, 집단서식지의 임상에는 부영양화의 지표종이 침입하여 왕성한 생장을 하고 있었다. 교목이 고사함에 따라 일부 지역의 임상에는 광량이 증가하여 초본층의 생장이 왕성하였으며 지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배설물에 의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초본식물의 왕성한 생장으로 인한 미소서식처의 변화 등으로 교목의 종자발아 및 실생의 형성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국내의 백로 및 왜가리류의 번식실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6개지역중 1개소 (경남통영 : 천연기념물 제 231호)는 사라저 버렸으며 나머지 5개소를 포함하여는 기타 번식지의 영소목이 심하게 고사한 상태에 있으며 오히려 다른 번식지가 학술적, 교육적, 종다양성 측면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는 곳도 있다. 따라서 이후 야생조류 집단 번식지에 대한 천연기념물 지정 여부와 보호에 대한 계획수립을 재고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곳 중 전남 무안의 번식지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며 비 천연기념물지역 중 가장 많은 개체가 서식하는 곳은 충북 동량면의 번식지로 전체 개체중 약 14%정도를 차지하며 종별로는 왜가리가 전체의 약 30%, 중백로가 약 27%, 쇠백로가 약 20% 정도이며 기타 중대밸로, 해오라기, 황로 등이 23%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배설물에 의해 영소목이 고사한 공주군 이인면과 청주시 송절동의 서식지에 인고소대를 설치하여 관찰한 결과 설치시기는 10월부터 2월사이가 적기이며 재료는 철재 파이프, 인조목, 전봇대 등을 이용함이 좋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Abstract
▼
The following sites were investigate : Kamsung, Jinchon, Yoeju, Hoengsung, Yangyang, Muan, Iin Songjeul, etc. Some of them we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Korea. Artificial nests for group breeding wild birds were constructed at Iin myon, Kongju, Chungnam Province and Songjeul, Cheongju, Chun
The following sites were investigate : Kamsung, Jinchon, Yoeju, Hoengsung, Yangyang, Muan, Iin Songjeul, etc. Some of them we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Korea. Artificial nests for group breeding wild birds were constructed at Iin myon, Kongju, Chungnam Province and Songjeul, Cheongju, Chungbuk Province. The contents of survey were as follows : (1)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f the forest where wild birds breed (2)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chemical substance in soil (3) Selection of seeds and trees having resistance against feces of group breeding birds (4) Food materials and numbers of birds at breeding site (5) Territory and behavior in breeding site (6) Carrying capacity and disturbance in breeding site (7) Artificial nests for group breeding birds Our investigation result of the basic data about survey area showed that artificial nest must be constructed in winter at each breeding area than any other season. It must be constructed in natural monuments area as nondesignated natural monuments which were important for research, education, and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목차 Contents
- 제1장 서론...12
- 제2장 본론...14
- 부록...7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