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오염에 의해 급감하는 멸종위기 1급 어종인 미호종개의 대체 서식지 마련을 위한 미소서식지 분석
Microhabitat Analysis of Endangered Species (I), Cobitis choiiwith Rapid Decreases of Population by Environmental Pollution for a Habitat Replacemen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3 no.4, 2014년, pp.271 - 284  

김지윤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금강 수계 일부 지역에서 한정적으로 서식하는 멸종위기 1급 어종인 미호종개 (Cobitis choii)의 서식 현황과 적합한 서식지 환경 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호종개 (Cobitis choii)는 미호천의 인근 수계 및 금강 일부 지역에 한정적으로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으로 미호종개를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환경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현재 천연기념물 (제454호)로 지정되어있다. 조사는 백곡천, 유구천, 갑천에서 각각 실시하였으며, 미호종개 (Cobitis choii)의 개체수는 평균 2.6 개체가 채집되어 극히 희소하게 분포되어 있는 종으로써 종 보존이 아주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호종개가 출현한 지역의 하상구조는 60% 이상이 가는 모래로 이루어져있고, 평균 1mm 크기의 모래입자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적 서식지 조건으로 최적 수심은 20 - 60 cm로 비교적 얕고, 최적 유속은 $0.4m^3/s$ 이하의 느린 흐름과 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최적 유량 범위가 $0-2m^3/s$ 인 구간에서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소서식처는 하천정비 등의 인위적인 요인과 도심과 농경지로부터의 영양 염류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멸종 위기종인 미호종개의 보존을 위해서 향후 대체서식지를 마련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se the microhabitat of Cobitis choii which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fish species (I) and national monument species in Korea (No. 454),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f suitable replacement habitat in the future for a conservation of the popul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미호종개가 출현한 지점의 모래 입자 크기 분석결과는 Fig. 5와 같으며, 이는 미호종개의 대체서식지 복원 시 적합한 서식지 환경 분석을 위해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 I급 어종인 미호종개의 종 보존을 위해 서식하기에 적합한 대체 서식지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되어 현존 분포지의 미소서식지(Microhabitat)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미호종개가 출현하는 지점의 물리적 서식지 구조특성 분석, 유속 등의 수리수문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들과 함께 공서하는 어류의 길드특성 분석들을 통해 멸종위기 I급 어종인 미호종개의 대체서식지의 최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멸종위기 I급 어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 수생태계에서 어류의 경우 환경부에서 지정된 멸종위기 I급 어종은 본 연구 대상종인 미호종개(Cobitis choii)를 포함하여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 흰수마자(Gobiobotia naktongensis),꼬치동자개(Pseudobagrusbrevicorpus),퉁사리(Liobagrus obesus) 외 4 종으로써 분포지의 제한, 환경오염에 의한 개체수의 급감은 종 보존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실제,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 도시개발 및 산업화로 인해 각종 유기물 및 인(P), 질소(N)와 같은 영양 염류 등이 수체내로 유입되고, 댐 건설 및 하천정비 등의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수생태계의 오염 및 교란 현상이 빠르게 진되면서 일반적인 어종의 감소는 물론이고, 멸종위기 I급 및 II급 어류들의 개체수 감소 등이 빠르게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ng, 2004; NIBR, 2011).
국제 생물다양성 협약(CBD)은 무슨 목적으로 제정됬는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국제 생물 다양성 보존 및 종 보존 협약 등에 의해 지역적인 종의 보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들 중 가장 핵심적인 국제적인 규약은 “국제 생물다양성 협약(CBD)”으로서 생물의 종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가전략의 수립, 생물다양성 구성 요소의 조사 및 감시, 보호지역 설정 및 교란된 생태계 대치 등을 통한 종 보존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무역을 제한하는 협약인 “멸종 위기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 협약(CITES)” 등이 체결되면서 각 나라들에서는 멸종위기종들의 분포, 생태 특성, 및 종 보전 대책이 수립되고 있다.
미호종개는 어디서 조사했는가? 미호종개 (Cobitis choii)는 미호천의 인근 수계 및 금강 일부 지역에 한정적으로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으로 미호종개를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환경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현재 천연기념물 (제454호)로 지정되어있다. 조사는 백곡천, 유구천, 갑천에서 각각 실시하였으며, 미호종개 (Cobitis choii)의 개체수는 평균 2.6 개체가 채집되어 극히 희소하게 분포되어 있는 종으로써 종 보존이 아주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명훈, 이일로, 방인철. 2012a.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Pisces: Cobitidae)의 분포양상 및 서식개체수 추정. 한국어류학회. 24(1), 56-61. 

  2. 고명훈, 문신주, 이상준, 방인철. 2012b. 금강 수계 지천의 어류군집 구조 및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Cobitis choii와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서식현황. 한국하천호수학회. 45(4), 356-367. 

  3.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 손영목, 송호복, 변화근, 최재석. 1997.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 9, 141-152. 

  5. 안광국, 이재연, 배태열, 김자현, 황순진, 원두희, 이재관, 김창수. 2006. 우리나라 주요하천 수계에서 다변수모델을 이용한 생태학적 수환경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96-804. 

  6. 이동근, 김명수, 구본학, 김경훈, 김동성, 나정화, 윤소원, 이명우, 전성우, 정홍락, 조경두, 제종길, 홍선기. 2004. 경관생태학. 보문당. 

  7.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8. 홍영표. 2004.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의 현황과 보존. 2004년 한국어류학회 추계학술대회. 59-75. 

  9. Abdoli, Asghar, Pooya Rasooli and Hossein Mostafavi. 2008. Length-weight relationships of Capoeta capoeta capoeta(Gueldenstaedt, 1772) in the Gorganrud River, South Caspian Basin. J. Appl. Ichthyol. 24, 96-98. 

  10. Barbour, Michael T., Jeroen Gerritsen, Blaine D. Snyder, and James 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13pp. 

  11. Box, John. 1996. Setting objectives and defining out pu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habitat creation. Restoration Ecology. 4, 427-432. 

  12. Cummins, Kenneth 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67, 477-504. 

  13. Ecoutin J.M., J.J. Albert and S. Trape. 2005. Length-weight relationships for fish populations of a relatively undisturbed tropical estuary: The Gambia. Fisheries Research. 72, 347-351. 

  14. Karr, James 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 21-27. 

  15. Karr, James R. 1991. Biological integrity: A long-neglected aspect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Ecological Applications. 1(1), 66-84. 

  16. Kim, Ik Soo and Yeong Mok Son. 1984. Cobitis choii, A new cobitid fish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Zoology. 27, 49-55. 

  17. Kim, Ik Soo. 2009. A review of the spined loaches, Family Cobitidae(Cypriniform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1, 7-28. 

  18. MEK(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6. Researches for integrative assessment methodology of aquatic environments (III): Development of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and evaluation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Incheon, Korea. 

  19. MEK(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7. Establishment of monitoring network for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I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Incheon, Korea. 

  20. MEK(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9. Development of genetic diversity analysis, culture and ecosystem restoration technique for endangered fish, Iksookimia cho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Incheon, Korea. 

  21. MEK(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0. Culture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freshwater fish. G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22. Nalbant, Teodor T. 1993. Some problems in the systematics of genus Cobitis and its relatives(Pisces: Ostariophysi, Cobitidae). Revue Roumaine Biologie-Biologie Animale. 38, 101-110. 

  23. Nalbant, Teodor T. 1994. Studies on loaches(Pisces: Ostariophysi, Cobitidae), I. An evaluation of valid genera of Cobitinae. Travaux du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Grigore Antipa". 34, 375-380.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Red Data Book of Endangered Fishes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25. Nelson, Joseph S. 1994. Fishes of the world(3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26. Pryke, Sarah R. and Michael J. Samways. 2001. Width of grassland linkages for the conservation of butterflies in South African afforested areas. Biological Conservation. 101, 85-96. 

  27. Rankin, Edward T. and Chris O. Yoder. 1999. Methods for deriving maximum species richness lines and other threshold relationships in biological field data, in Simon, T.P.(ed.).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CRC Press, USA, 611-621. 

  28.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on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