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임업연구원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염육철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1996-01 |
주관부처 |
환경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임업연구원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0200020239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생물다양성 감소의 주 원인이 인류의 활동에 따른 서식지 단편화에 있기 때문에 생물종을 둘러싼 입지한경이나 종의 생물학적 특성의 이해뿐 아니라 인간활동을 포함 한 종합적인 생태계 구조와 기능 연구가 필요하다. 더우기 이러한 연구는 시간적, 공간적 규모의 틀속에서 진행되어야 만이 보전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확한 자료와 정보 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생물다양성의 체계는 수직적으로는 먹이사슬 등에 의해 형성되는 종 관계망으로 짜여져 있고 수평적으로는 서식환경의 연계성으로 표현된다. 나아가 이 생물다양성 체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자연체
생물다양성 감소의 주 원인이 인류의 활동에 따른 서식지 단편화에 있기 때문에 생물종을 둘러싼 입지한경이나 종의 생물학적 특성의 이해뿐 아니라 인간활동을 포함 한 종합적인 생태계 구조와 기능 연구가 필요하다. 더우기 이러한 연구는 시간적, 공간적 규모의 틀속에서 진행되어야 만이 보전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확한 자료와 정보 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생물다양성의 체계는 수직적으로는 먹이사슬 등에 의해 형성되는 종 관계망으로 짜여져 있고 수평적으로는 서식환경의 연계성으로 표현된다. 나아가 이 생물다양성 체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자연체계의 중추적 과정(key process)을 보장해 줘야 한다. 산림생태계에서 식물의 종다량성을 파악하는 것은 생태 계의 여러 가지 속성을 해석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필수적인 절차이다. 식물의 종다양성이 높은 군집은 종간 상호작용이 다양할 것이며, 군집내 에너지 흐름, 먹이 사슬 구조, 생태지위 구성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종다양성이 군 집의 안정성과 성숙도의 척도이기도 하다. 식물종들의 다양한 생활형은 외부로부터의 환경적인 압박에 대하여 내성이 다양하므로 식물의 종구성은 오염이나 기후적 변화에 대하여 민감한 모니터 역할을 하여 입지지표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어떤 식물 군집에 많은 식물 종들이 분포한다는 것이 그 군집의 물리적이고 생물적 환경 조건이 그들의 내성의 범위를 만족시키기 때문이라고 가정하면, 식물의 종다양성과 환경 조건 의 다양성, 즉 생태계 다양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할 것이다. 어떤 지역생태계 에서 한 종이 사라지는 문제는 그 종의 내적인 요인보다는 외적인 요인인 서식처 (habitat)의 손실 혹은 단절에 있기 때문에 생계계 다양성의 유지는 종다양성 유지와 직결되며, 생물다양성(biodiversity) 보존의 기본이다. 따라서 훼손된 생태계로 간주 한 남산과 비교적 자연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광릉을 대상으로 식물종의 구성상태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구조상의 식물종다양성을 파악하고 훼손된 생태계로 간주한 남산 에 대하여 장차 자연 상태의 생태계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상태적 정보를 제공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훼손된 생태계로서 남산과 잘 보존된 생태계로서 광릉의 비교 척도로 서식처 환경변화에 민감한 절지동물의 종다양성, 군집구조, 계절 적 변화를 조사하여 훼손된 생태계 생물상 평가 및 생물종다양성 복원 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한편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해 야생조류의 서식지로서의 산림은 질적, 양적으로 훼손되어져 가고 있는 반면, 대다수 국민들은 정적 자연인 산림과 동적 자연인 야생 조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 하기 위해서 훼손된 생태계의 야생조류의 종다양성을 복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 를 수행하였다. 산림의 조류군집에 대하여는 산림환경의 구조가 복잡할 수록 그곳에 서식하는 조류에게 다양한 서식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결국에 조류의 종다양성이 높아 지게 된다. 따라서 어느 서식지의 조류군집을 이해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그 곳의 산림환경과 그 결과로서의 조류군집구조, 조류간의 상호작용의 이 3가지를 밝혀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환경구조와 조류군집구조, 조류군집의 niche 관계, 산림환경과 조류군집과의 관계를 연구하고, 복원기법개발의 한 방법으로서 인공 새집을 설치하여 그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훼손된 생태계의 조류 종다양성을 증진시키 는데 기여코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형화된 식생형을 통하여 생태계의 정량, 정성적 평가가 가능하며, 특히 체계화(hierarchical system)가 성취된 유형화는 그러한 평가 에 있어서 매우 전략적이고 유효한 수단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삼림식생에 대한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과제로서 삼림식생의 유형화 (typification)를 시도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단계(1993-1995)의 목표인 훼 손된 생태계의 생물상 평가 및 생물다양성 감소원인을 해명하고 종간의 관계, 종과 서 식환경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생물다양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Abstract
▼
As the loss of Biodiversity is primarily progressed by the fragmentation of habitats according to human kind activities, it is necessary the integrated study on structure and function of ecosystem including human activity as well as the investigati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and/or s
As the loss of Biodiversity is primarily progressed by the fragmentation of habitats according to human kind activities, it is necessary the integrated study on structure and function of ecosystem including human activity as well as the investigati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and/or site conditions surrounding the biological species. Furthermore these studies must be accomplished in the systematic scale of time and space in order that data and informations which is necessary to establish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y. Biodiversity system is vertically species relation net formed by food chain and, horizontally, interrelation of habitat and landscape. The key process of a natural system must be preserved so as to vitalize these biodiversity system. The investigati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is the essential proces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in interpreting the attributes of the forest ecosystem. The highly diversified forest community by various plant species is closely related to species interaction, energy flow, the structure of food chain, and the composition of niche. Therefore, plant species diversity may be an indirect tool to measure efficiency, stability, and maturity by which the forest community is characterized. Since plants integrate environmental conditions over space and time effectively and vary in their tolerance to environmental stress. Community composition related to presence, abundance, and vigor of different species, varying in their ecological sensitivity, can serve as site indicator to monitor pollution level and climatic change. Presumed that the reason of distribution of large number of plant species in a certain plant community can be placed on the satisfaction for the species' range of tolerance of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diversity of plant species must b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iversit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e., ecosystem diversity. Because the problem of disappearance of a species in a ecosystem is not caused by intrinsic malfunction, but mainly caused by the external loss or fragmentation of habitat, the maintenance of ecosystem diversity is closely linked to the species diversity. This concept is applied to basis of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Namsan area supposed to be a disturbed ecosystem and Kwangneung area considered to be a natural ecosystem were selected for the study. Based on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by quadrant method, the study is planned to examine plant species diversity, the distributional status for threatened, endangered, and remarkable plant species, and growing habitat for the species was delineated on the nine microtopographic positions so as to provide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to restore toward more stable and healthy ecosystem for Namsan. Recently, forest as habitat of wildbirds have decreased in quality and quantity, but most Korean people have become to concern about forest and wildbirds increasingly. In order to satisfy these dem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tore bird species diversity in degraded forest ecosystem forest bird communities, more heterogeneous habitat provide more various environment for inhabiting birds and eventually support high bird species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study forest environments, bird community inhabiting there, and relationship among birds. therefore, we studied habitat structure, bird community structure, niche relationships of birds, and relationship between bird community and habitat structure. We also provided artificial nest boxes and assessed the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restoration technique. The typified vegetation units with a hierarchical system are the effective and strategical tool to assess the forest ecosystem,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etermination of the forest vegetation type according to climate zone is th aim of present study, which is a prior task to establishment of national strategy on the forest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목차 Contents
- 제1장 서언...35
- 제2장 식물 종다양성...41
- 제3장 곤충종 다양성...91
- 제4장 야생조류 다양성...158
- 제5장 모델 정립...237
- 제6장 기후대별 식생형 평가...29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