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귀곤
|
참여연구자 |
오규식
,
이무춘
,
이동근
,
김대현
,
우건석
,
우한정
,
이재철
,
조강현
,
정근
,
김종섭
,
공학양
,
이홍식
,
최현정
,
박찬열
,
안재성
,
김귀곤
,
민병미
,
문태훈
,
문제순
,
최준영
,
경신원
,
장혜영
,
이형곤
,
장승필
,
장병욱
,
김민수
,
윤근영
,
김남춘
,
곽종원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1997-12 |
주관부처 |
환경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등록번호 |
TRKO200200021400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2단계 2차년도 사업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첫째, 시범도시 조사 및 Biotope Mapping으로서 지난 1차년도의 연구에 이어서 실제적으로 수원시를 시범도시로 선정하여 Biotope Mapping을 위한 항목을 도출하고, Biotope의 유형화와 평가를 위한 기준 및 기법의 개발에 주력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도시를 포함한 전국토의 Ecological Networking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자연지역 및 조성지역에 대한 Monitoring으로서 이는 생태적
2단계 2차년도 사업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첫째, 시범도시 조사 및 Biotope Mapping으로서 지난 1차년도의 연구에 이어서 실제적으로 수원시를 시범도시로 선정하여 Biotope Mapping을 위한 항목을 도출하고, Biotope의 유형화와 평가를 위한 기준 및 기법의 개발에 주력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도시를 포함한 전국토의 Ecological Networking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자연지역 및 조성지역에 대한 Monitoring으로서 이는 생태적 지식의 축적을 위한 것으로, 대상지로는 생태조사자료의 축적이라는 차원에서 1차년도의 조사대상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반자연상태의 방동소택지와 실험사업 연구대상지역인 청담공원, 서울공업고등학교, 여의도공원을 주 대상으로 삼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일산호소공원과 서울시 별관 옥상, 노은택지개발예정지구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생태조사는 도시지역에서 효율적인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통한 건조지역(built-up area)에 생물상의 도입이라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기쵸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험사업 연구대상지의 조성 전·후의생물상 비교를 통한 조성기법의 적용에 대한 효과 및 문제점을 발견, 조성기술의 개선 및 보급에 토대가 된다. 그리고, 이 연구와 관련된 생태조사 결과도 활용될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을 위한 기자재를 구입하였고, 일부 기자재는 실험장소에 설치하였다. 셋째, 서식공간 계획설계 및 실험사업 조성분야는 본 연구과제의 핵샘으로서 축적되고 있는 생태조사자료와 국내·외의 조성기술의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도시환경에 적합한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8월 1일부터 2개월의 공사를 통해 서울공고의 교정에 조성된 도시내 인공습지(생태연못)에 대한 연구와 도시지역에 잔존하고 있는 도시림의 복원과 관리를 위해 청담근린공원을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전국 그린네트워크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중에 하나인 생태통로의 조성기법과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기법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나아가서, 이러한 시범사업을 뒷받침하고 전국적인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의 제시를 위해 일차적으로 해외의 환경관련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의 제도와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의 제도 및 정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식재공법 개발 및 국내·외 기술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으로서 우선, 식재공법분야에 있어서는 외국의 사례조사 및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자연서식처의 구조와 기능을 인공적 서식처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식재공법의 일반적인 사항과 더불어서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한 실재공법 및 설계, 경관복원 및 관리를 위한 식재공법과 설계를 제시하였으며, 건축물 주변의 식재공법에서는 옥상, 벽면녹화기법을 그리고 연못·수변부 식재공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국내·외 기술의 타당성과 안정성에 대한 검토와 함께 연못조성기법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을 하였다.
Abstract
▼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as a project for the second year of phase II, may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The first part may be the survey of a model city and Biotope Mapping. Continuing from the first-year project, Suwon city was selected as a model city and items for Biotope Mapping were de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as a project for the second year of phase II, may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The first part may be the survey of a model city and Biotope Mapping. Continuing from the first-year project, Suwon city was selected as a model city and items for Biotope Mapping were developed. Efforts were made on developing criteria and techniques to categorize and to evaluate biotopes. The result of the surve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Korea Nationwide Ecological Networking. In the second part, natural area and pilot project areas were monitored to accumulate ecological Information. As a effort to continue study on areas surveyed in the first-year project, Bangdong marshland in semi-natural state was surveyed. Chongdom Park, Seoul Engineering High School, and Yoeui-do Park, which are areas for pilot projects, were also surveyed. Ilsan Lake Park, rooftop of Seoul City Hall Annex, and Noeum Housing Estate Development Area were also included in the survey when there was a need. Such ecological survey provides very important basic data in terms of introducing a biota in built-up area through the developmented, effects and problems in applying development techniques would be known. This will serve as a foundation in improving and providing development technologies. The outcome of ecological survey relateed to this study will be also utilized. Equipment for monitoring were purchased and some have been installed in survey areas. Thirdly, biotope planning the creation of pilot pojcts ar the core part of this task. It is to create biotopes suitable to Korea urban environment by reviewing accumulated ecological survey data and creation technologies avaiable in Korea and abroad. In fast, an urban artificial marsh(ego-pond), created in Seoul Engineering High School after two-month of construction from Aug. 1, was surveyed. Another survey was done on chongdom Neighborhood Park, which was designated as a pilot project area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remaining in urban areas. In addition, creation techniques of ego-corridor, which is a way to realize Korea Nationwide Green Networking, and planning techniques of urban ego-park were presented. Furthermore, in order to present systems and policies suppporting pilot projects and leading their expansion to nationwide, cases in foreign countrie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systems in Korea. This present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ystems and policies. The fourth part wa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planning methods and the feasibility and stability of technologies available in Korea and abroad. Regarding planting mthods, based on the review of cases found functions of nautural habitats to artificial habitats were searched specifically. In particular, along with general issues on planning methods, plant and planning of native plants and planting and planning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andscape were presented. Regarding planting methods for areas around buildings, afforestation techniques for rooftops and walls and planting methods for pond and waterside were ptrdrnyrf.In addition, feasibility nd stability of technologies available in Korea and abroad were reviewed and techniques to create a pond were approached in an engineering aspect.
목차 Contents
- 제1장 서론 ... 20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 32
- 제3장 연구개발내용 및 결과 ... 50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812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820
- 제6장 참고문헌 ... 82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