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연구책임자 |
정무남
|
참여연구자 |
심우경
,
강병화
,
고성하
,
권기원
,
김진성
,
김진수
,
노영덕
,
이정운
,
한성식
,
김도경
,
백옥석
,
서성철
,
유재기
,
이성필
,
조재규
,
한두봉
,
구진혁
,
권영휴
,
심상인
,
김순규
,
배현미
,
서정남
,
신세균
,
이병서
,
이보연
,
이승환
,
이임균
,
이정엽
,
이증학
,
정성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1997-01 |
주관부처 |
환경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등록번호 |
TRKO200200058629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농경지는 1995년 현재 전체 국토면적의 약 20%, 임야는 약 65%, 비농업부문의 토 지이용면적인 기타면적이 15%가량 차지하고 있다.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비농업부문 의 토지수요는 임야보다는 상대적으로 전용이 용이한 농경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농경지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왔으며, 2004년에는 국토면적의 16.6%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농지제도의 변화로 인한 농업진흥지역밖에서는 신고만 으로 전용이 가능해지자 준농림지역에서 농지가 무분별하게 전용되었다. 이와 더불어 농산물협상이 타결이후 논의 수익성
농경지는 1995년 현재 전체 국토면적의 약 20%, 임야는 약 65%, 비농업부문의 토 지이용면적인 기타면적이 15%가량 차지하고 있다.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비농업부문 의 토지수요는 임야보다는 상대적으로 전용이 용이한 농경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농경지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왔으며, 2004년에는 국토면적의 16.6%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농지제도의 변화로 인한 농업진흥지역밖에서는 신고만 으로 전용이 가능해지자 준농림지역에서 농지가 무분별하게 전용되었다. 이와 더불어 농산물협상이 타결이후 논의 수익성감소에 따른 논을 중심으로 휴경지가 증가되고 있 다. 현재의 추세가 지속될 경우 1995년 농경지 면적의 3.2%를 차지하던 휴경지는 2004 년에는 5.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다. 논의 전용과 휴경이 증대됨에 따라 식량안보 가 위협받음은 물론 토양침식, 수질오염등 농촌생태계 파괴가 우려된다. 주요 국가의 환경보전형 농업정책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정책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환경보전형 농업에 대한 직접지불제를 시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감소와 추가적 비용을 보전해 주는 제도이다. (영국, 핀란드, 독일과 미국 등). 둘째, 생산자주도로 추진되는 환경 보전형 농업에 대해 정부는 간섭적인 재정지원과 연구활동을 수행한다(오스트리아와 캐나다등). 셋째, 시장을 왜곡하고 집약적 농업을 조장하여 농업에 의한 환경오염을 가속시키는 농업생산에 대한 보조금 제도의 폐지이다(뉴질랜드, 호주 등). 우리 나라 도 1996년 「21세기를 향한 농림수산환경정책」을 수립하고 환경보전형 농업을 본격적 으로 추진하고자 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환경농업정책은 이를 위한 기술개발과 이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환경보전형 농업이 농업정책과 환경정책과의 연계성이 제 고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화학생산요소에 대한 부과금 등 경제적 수단의 도입 은 물론 생산자단체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과 지도정책도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산업구조의 변화와 도시화와 진전에 따른 농경지 전용과 휴경의 증가로 인한 농경지의 감소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환경적으로 중요한 지역에서 저투입 지속가 능한 농업을 추구하는 농민의 소득감소를 보상할 수 있는 환경보전형 직접지불제와 영 농조건 불리지역에 대한 직접지불제가 규제위주의농지제도와 연계될 경우 농경지는 물 론 농촌생태계도 보존될 수 있을 것이다. 2. 송계리와 덕소의 초본류의 식생을 비교한 결과 경각 후 휴경 기간이 짧은 지역에서 종다양성이 크고 휴경연차수가 커짐에 따라 다양한 종이 발생하였다. 수분이 많은 습 지보다는 비습지 토양에 많은 종이 발생하였다. 휴경연차가 오래될수록 다년생 식물의 발생이 많았고 3년 이상 휴경 될 경우 목본류의 발생도 확인되었다. 월악산 송계리지 역의 목본식물은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상층임관을 구성하고 그 아래 다양한 활엽수종 이 하층식생으로 존재하는 혼효림의 구조를 가지며 반면 덕소농장 주변지역에서는 참 나무류가 우점을 보이고 있었다. 종다양성은 두 지역 모두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 났고 덕소지역보다 송계리지역에서 좀더 높게 나타났다. 출현 수종들의 상관관계를 구 한 결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만이 인정되어 이지역내에 함께 생육하는 수종들이 공존하 는데 큰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덕도에서 곤충의 경우 농업해충이 많았고 이들 의 포식충인 잠자리가 비교적 많았다. 월악산의 경우에는 나비목곤충이 다양했다. 전 체적으로 도시근교 농촌의 경우가 산지농촌의 경우보다 곤총다양도가 떨어지며 채집 개체수가 적었다. 이는 농업과에 따른 농약의 지속적 사용과 단일작물라는 재배로 인 한 것으로 보인다. 3. 영국, 독일, 스위스 그리고 일본의 선진사례지역을 답사하고 자료를 종합한 결과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생태공원 조성방향은 인간의 간섭이 거의 배제되고 생물들 만 이 자유롭게 서식할 수 있는 이상적인 독일형 biotope은 우리 국민들의 정서나 민도에 비추어 아직 이르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었으며, 일본의 인간참여형 생태공원형?된다 하겠다. 우리 나라에 맞는 생태공원조성 사례지역을 10가지의 선정기준에 따 라 물색한 결과 山地農村型으로는 국립공원 月岳山지역내에 위치한 충북 제천시 한수 면 송계리 골뫼마을 주변 10여만평의 휴폐경지와 농경지를 선정할 수 있었으며, 자연 인문환경을 조사분석한 결과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나비종류가 다양하게 서식하고 있어 기존상태를 최대한 보존하며 나비관찰중심의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하며, 都市近郊型으로는 서울에 인접한 경기로 남양주시와 부읍 도곡리 고려대학교 부속농 장과 주변 휴폐경지 10여만평을 선정할 수 있었고 자연인문환경을 조사분석한 결과 자 연경관은 특별한 것이 없고 잠자리류가 많이 서식하고 있어 습지휴경지를 활용하여 잠 자리중심의 생태공원과 도시인접지역의 특성을 살려 인공적인 다양한 생물서식공간을 창출하여 도시 청소년들의 자연관찰원으로 활용되어 질 수 있도록 조성하고자 한다.
Abstract
▼
1. 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been developed since 1970, farm land area has also decreased in Korea. Particularly, paddy area of farmland has decreased rapidly because of easiness of diversion and low rate of return of rice farming. The ratio of farmland in national land area is proj
1. 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been developed since 1970, farm land area has also decreased in Korea. Particularly, paddy area of farmland has decreased rapidly because of easiness of diversion and low rate of return of rice farming. The ratio of farmland in national land area is projected to decrease from 20% in 1995 to 15% in 2004. The ratio of idle land in farmland will be increased from 3.2% in 1995 to 5.8% in 2004. Diversions of farmland to urban area as well as expansion of idle land endangers food security and also creates environmental problems.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Korea is planning to encourage sustainable agriculture for the purpose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and announced "Directions of agro-environmental policy for the 21st century" in 1996. While policy reform enhances the potential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following issues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near future: (1)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griculture provides habitats for wildlife, recycles nuyrients, controls food, protects generic material and provides landscape amenities in addition to providing food, (2) agricultural policy should be integrated with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3) economic instruments based on 'polluter-pays priciple' should be introduced with regulations in agro-environmental policy like direct payments for farming in both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 and less favored area, (4) information and education policies are emphasized both to inform the value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d to induce self-regulations and voluntary efforts of farm organizations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2. There are many evidences these kinds of agricultural activities can affect the ecosystems. These activitie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biodeversity is in ecosystem. Evaluation of effect of agricultural activity on biodeversity is first step to reconstruct and remedy the impaired ecosystem. Based on these evaluation, the ecosystem such as ecological park. Ecological park can provide the rest area and natural study sites for the urbane residents. In addition, it can generate extra income source for rural community. Two study sites were chosen for this study : one is Dukso in KyongKi-Do and the other is Mt. Worak in ChungChungBuk-Do. For knowing the current status of biodiversity, herbaceous species occurred in selected regions were identified ad classified. Investigated region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history of crops. In Songke-Ri in Mt. Worak, flora was composed with 109 species and their habitual composition was 32 species of annual, 22 species of biennial and 55 species of perennial. Especially 16 species among those species identified as naturalized plant species. The fallowed field located nearby Golmye-village in Mt. Worak had a flora composed with 53 species. Their floral composition by growth habit was 12 species of annual, 28 species of biennial, 28 species of perennial and 5 woody species. In these area 5 species of naturalized plant were occurred. The fields located in Dukso showed occurring of 96 species, which include 35 annuals, 23 biennials and 38 perennials. In the fallowed fields of Korea university experimental farm(KUEF) flora was composed with 53 plant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changed from Echinochloa crus-galli and Erigeron annuus to Echinochloa crus-galli, Chenopodium album, Ambrosia arternisifolia in the time course of survey. Cultural history and moisture condition of fields had affected the floral composition and degree of floral succession. For knowing the biodiversity of natural forest and farm area we installed 28(10mx10m) plots in Songke-ri, and 18 plots within forest stand around Dukso(KUEF). Both regions belong to the Temperate Forest Zone of Korea. Thirty-nine species were found in the Songgye-ri and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Prunus sagentti and Larix leptolepis were listed as the dominant species. In Dukso region, twenty-eight species appeared and Quercus spp. were dominant.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dices were higher in the songgye-ri than those in the Dukso farm area because of less disturbances. The species, which appeared in the site that its natural forest vegetation was broken by cultivation or landslide, were Acer ginnala, Alnus hirsuta, Aralia elata, Rhus spp., Amorpha fruticosa, Lespendeza bicolor, Pueraria thunbergiana, Rosa multiflora, Rubus crataegifolius, Smilax china, Stephanandra incica and Zanthoxylum schimifolium. To compare insect biodeversity, insects were sampled from both sites periodically. Intensive agricultur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Dukso and Mt. Worak surrounded by tall trees and natural plants. In Dukso, dragonfly species were abundant.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the local characteristics : Dukso was located near Han river that can provide the plentry of habitats for dragonflies. On the other hand, many Lepidopteran species from family Papilionidae were observed in Mt. Worak because there were diverse hose plant for Lepidoptera. Thus, it is reasonable to construct the Odonatan biotope in Dukso and Lepidopteran biotope in Mt. Worak. 3. Owing to the urbanization, the industrialization and joining to WTO, there are lots of fallow and abandoned arable framlands. Those results have occurred inefficient land use and destruction of agricultural ecosystem with secondary succession and invasion of alien weeds. Using these fallow and abandoned arable farmlands, Korean government tries to create the ecological parks for the nature conservation, amenity, education and research. For these purposes, materials on the ecological park construction were gathered from abroad and field surveys to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England, Germany, Switzerland and Japan were executed. Accordingly, the goal for the ecological parks could be setted suitably to Korean situation as of Japanese styles which are characterized for man-made biotopes. Case study sites were selected under the criteria of selection and Golmye village, Songke-ri, Hansu-myen, Jechon city in the Worak National Park were selected for the mountainous rural type and Experimental farm of Korea University, Dogok-ri, Wabu-eup, Namyangju city neat Seoul city for the suburb rural type. Natural and cultural factors of those sites were inventoried and analyzed, and with the results, the mountainous rural type was suitable for the butterfly emphasized ecolgical park and the suburb rural type for man-made ecological park emphasized with dragonfly biotope. For the second year's preliminary plan, materials for butterfly and dragonfly's ecological characteristics, host plants and habitats were collected broadly.
목차 Contents
- 목 차...15
- 제 1 장 서론...16
- 제 2 장 농촌 생태환경변화와 정책과제...18
- 제 1 절 농업이 생태계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18
- 제 2 절 시장개방과 농업생산의 변화...32
- 제 3 절 농촌지역 토지이용의 변화와 전망...34
- 제 4 절 농지이용변화가 생태계에 주는 의미...49
- 제 5 절 농촌생태보전을 위한 정책 방향...53
- 제 3 장 농촌환경 생물다양성 조사 및 증가기법개발...104
- 제 1 절 토양조건과 휴경연차가 휴경지 또는 폐경지의 식생에 미치는 효과...104
- 제 2 절 목본식물 종다양성의 비교$\cdot$분석...145
- 제 3 절 곤충다양성 조사 및 조절기법...164
- 제 4 절 농업방법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조절...199
- 제 4 장 농촌지역에서 생태공원 및 생태통로 기법개발...204
- 제 1 절 서론...204
- 제 2 절 외국의 사례...207
- 제 3 절 사례지역의 선정...234
- 제 4 절 사례지역 현황분석 및 목표설정...236
- 제 5 절 주요 동$\cdot$식물의 생리$\cdot$생태...251
- 제 5 장 결론...306
- 제 6 장 참고문헌...31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