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용 중공사 분리막의 상업화 생산기술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Hollow Fiber Membranes for Medical Application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코오롱(주) 중앙연구소
Kolon Centrural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신용철
참여연구자 김재진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1-10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주)코오롱 중앙연구소
등록번호 TRKO200300000372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혈액투석.중공사.플리설폰.생체적합성.양산기술.hemodialsis.hollow fiber.polysulfone.blood compatibility.mass production.

초록

. 목적 및 배경
혈액투석 요법은 신부전 등 신장질환 환자에 대하여 필수적인 대체요법으로 국내의 경우 연간 200만본 정도가 소요되고 있으며 고령화와 당뇨성 질환으로 인하여 환자가 연 15%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세계 혈액 투석막 시장에 있어서도 혈액적합성이 우수한 폴리설폰 중공사막의 수요가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국내 기술개발을 통한 혈액 투석용 중공사 분리막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혈액적합성 및 투석성능이 우수한 혈액투석용 중공사막을 개발하였고 연속공정에 의한 상

Abstract

. Objectives & Scopes
Hemodialysis is the essential method for treating renal failure. The domestic demand of hemodialyzer is about 2 million pieces peryear and it is increasing by 15% with the increment of ratio of old-aged people and the patients of diabetes. In addition, the share of world ma

목차 Contents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6
  •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6
  • Project Summary...7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8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8
  • 1.1. 추진체계...8
  • 1.2. 최종목표...9
  • 1.3. 연차별 목표 및 추진 계획...9
  • 1.4. 연구 배경 및 목적...13
  • 1.4.1. 혈액투석막의 개발 동향...13
  • 1.4.2.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14
  • 1.4.3.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16
  • 1.4.4. HD 소재별 시장 전망...16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17
  • 2.1. 연구개발 내용...17
  • 2.2. 주요 연구개발 결과...17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8
  • 3.1. 연구결과 고찰...18
  • 3.2. 결론...18
  •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20
  •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24
  • 6. 첨부서류...26
  • III.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27
  •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28
  •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29
  • 2.1. 각 공정별 주요 요소기술 및 제막인자 (연구대상)...30
  • 2.2. 주요 연구방법...31
  • 2.3. 실험방법...31
  • 2.3.1. 시약 및 재료...31
  • 2.3.2. 중공사 막 및 모듈 제조 공정...32
  • 2.3.3. 중공사막 및 모듈 평가방법...33
  •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35
  • 3.1. Membrane 설계 및 기본 조성 개발...35
  • 3.1.1. Low flux 개발...35
  • 3.1.2. High Flux dialysis용 membrane 개발...42
  • 3.2. 연속공정개발을 위한 Pilot 생산 기술 개발...47
  • 3.2.1. 개발 진행 과정...47
  • 3.2.2. 실험실 규모의 방사 장치를 이용한 중공사 막 제조...49
  • 3.2.3. Pilot scale 방사조건 확보...51
  • 3.2.4. Pilot scale 방사 적용 테스트...55
  • 3.2.5.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막의 특성...70
  • 3.2.6. 방사 안정성 및 균일...71
  • 3.2.7. 번들링(bundling) 자동화 테스트...74
  • 3.3. 상업화 양산 기술 개발...76
  • 3.3.1. 혈액 투석막의 상업화를 위한 양산 설비 구축...76
  • 3.3.2. 주요 공정 요소 및 관련 기술...77
  • 3.3.3. 양산 설비의 개략도...87
  • 3.4. 품질 인증 및 의학적 안정성 평가...88
  • 3.4.1. 상업화를 위한 품질 인증...88
  • 3.4.2. 의학적 안정성 평가...93
  • 3.5. 양산 설비를 이용한 시제품 생산...100
  • 3.5.1. 시제품 생산...100
  • 3.6.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위탁과제연구 결과...102
  • 3.6.1. 최종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위탁과제)...102
  • 3.6.2. 최종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위탁과제)...103
  • 3.6.3. 연구수행 방법(위탁과제)...104
  • 3.6.4.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위탁과제)...105
  • 3.6.5. 평가 결과 (위탁과제)...124
  • 3.6.6. 결과 해석 (위탁과제)...127
  • 3.6.7. 결론 (위탁과제)...128
  • 4.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29
  • 4.1. 연차별 주요 연구 결과 정리...129
  • 4.2. 최종 제품의 막 성능...130
  • 4.3. Plot 생산 기술 개발 결과고찰...131
  • 4.4. 상업화 양산 기술 개발 및 품질인증 결과 고찰...131
  • 4.5. 결론...132
  • 5.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133
  • 6.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133
  • 7. 참고문헌...133
  • ※ 별첨자료...134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