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재해취약시설의 선정기준 및 점검기법 연구
A Study for Selection and Inspection of Vulnerable Structur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방재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연구책임자 심기오
참여연구자 이철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1-12
주관부처 행정자치부
연구관리전문기관 국립방재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등록번호 TRKO200300001307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재해취약시설.선정기준.방재시설물.하천기성제.소하천.배수문.저수지 방조제.배수펌프장.산사태 시설.하수도.vulnerablestructure.selection standard.disaster prevention structure.bank of channel.small channel.gate.reservoir.seawall.drainage pumping system.landslide and wastewater.

초록

본 보고서는 여름철을 대비하여 방재시설물에 대한 사전점검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설물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재해취약 시설물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재해취약시설의 용어 정의와 시설물을 점검하는 사람들이 일선 공무원인 점을 고려하여 선정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선정된 방재시설물은 8종류(하천기성제, 소하천, 배수문, 저수지, 방조제, 배수 폄프장, 산사태 시설, 하수도)로써 각 시설물의 종류와 특성 및 선정기준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report, disaster prevention structures were studied to select and inspect the vulnerable structures as precautionary measures for summer rainy season. We propose the definition of vulnerable structure and selection standard for public officer. Eight types of disaster prevention structures we

목차 Contents

  • 제1장. 서론...13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13
  • 1.2. 연구 목적...14
  • 1.3. 연구방법 및 범위...14
  • 제2장. 방재시설물 관리체계 분석...17
  • 2.1. 방재시설물의 분류...17
  • 2.1.1. 방재시설의 기능별 분류...18
  • 2.1.2. 관리주체의 구분...19
  • 2.1.3. 시설물의 구분...22
  • 2.2. 시설물의 관리체계 분석...34
  • 2.2.1. 농업기반시설 관리체계...35
  • 2.2.2. 관리주체별 관리시설...37
  • 2.3. 일본의 시설물 관리체계...38
  • 2.3.1. 시설물 관리개요...38
  • 2.3.2. 시설물 관리체계...43
  • 2.3.3. 시설관리 현황...45
  • 2.3.4. 시설물 관리의 문제점...49
  • 2.4. 외국과의 수리시설관리 비교...50
  • 제3장. 재해취약시설의 점검기법과 선정기준...53
  • 3.1. 용어 정의...53
  • 3.2. 하천기성제...53
  • 3.2.1. 하천시설물의 종류...53
  • 3.2.2. 하천기성제의 특성...59
  • 3.2.3. 하천시설물의 점검...63
  • 3.2.4. 하천기성제의 취약시설 선정기준...75
  • 3.3. 소하천...76
  • 3.3.1. 소하천 시설물의 종류...77
  • 3.3.2. 소하천의 특성...86
  • 3.3.3. 소하천의 점검...92
  • 3.3.4. 소하천의 취약시설 선정기준...96
  • 3.4. 배수문...97
  • 3.4.1. 수문의 종류...97
  • 3.4.2. 수문의 특성...99
  • 3.4.3. 수문의 점검...102
  • 3.4.4. 수문의 취약시설 선정기준...106
  • 3.5. 저수지...107
  • 3.5.1. 저수지의 종류...107
  • 3.5.2. 저수지의 특성...108
  • 3.5.3. 제체안정의 점검...117
  • 3.5.4. 저수지의 취약시설 선정기준...118
  • 3.6. 방조제...120
  • 3.6.1. 방조제의 특성...121
  • 3.6.2. 방조제 시설물의 점검...125
  • 3.6.3. 방조제의 취약시설 선정기준...131
  • 3.7. 배수펌프장...133
  • 3.7.1. 배수펌프장의 시설...133
  • 3.7.2. 배수펌프장의 특성...135
  • 3.7.3. 배수펌프장의 점검...138
  • 3.7.4. 배수펌프장의 취약시설 선정기준...139
  • 3.8. 산사태...140
  • 3.8.1. 산사태의 종류...140
  • 3.8.2. 산사태의 특성...143
  • 3.8.3. 경사면의 조사 점검...149
  • 3.8.4. 경사면의 취약시설 선정기준...154
  • 3.9. 하수도...155
  • 3.9.1. 하수도의 종류와 특성...156
  • 3.9.2. 하수도의 점검...167
  • 3.9.3. 하수도의 취약시설 선정기준...172
  • 제4장. 결론...175
  • 참고문헌...177
  • 부록...179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