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연구책임자 |
강문원
|
참여연구자 |
김경미
,
김귀주
,
김봉수
,
김상일
,
김승주
,
김양수
,
김종경
,
박은숙
,
송영구
,
신용애
,
양숙자
,
오향순
,
유소연
,
윤성원
,
이영선
,
정인숙
,
정재심
,
최선주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4-06 |
과제시작연도 |
2003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0500002769 |
과제고유번호 |
1460003845 |
사업명 |
보건산업진흥(보건의료기술인프라개발)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병원감염.감염관리.실태.관리 표준화.Nosocomial infection.Infection Control.Survey.Standardized practice.
|
초록
▼
1. 우리나라에 감염관리가 도입된 지 15년이 지났고 그 동안 많은 발전이 있어왔으나 아직 체계적인 실태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효과적인 대책수립이 어려됐음. 국내 병원들의 감염관리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가능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의료의 환경과 병원 사정에 적합한 감염관리 표준 실무 지침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가 시도됨.
2. 실태조사는 300 병상 이상 139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음. 설문조사에 98개(70.5%) 병원이 응답
1. 우리나라에 감염관리가 도입된 지 15년이 지났고 그 동안 많은 발전이 있어왔으나 아직 체계적인 실태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효과적인 대책수립이 어려됐음. 국내 병원들의 감염관리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가능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의료의 환경과 병원 사정에 적합한 감염관리 표준 실무 지침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가 시도됨.
2. 실태조사는 300 병상 이상 139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음. 설문조사에 98개(70.5%) 병원이 응답하였고, 이중 20개를 지역별로 층화 무작위 추출하여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였음. 감염관리표준 실무 지침은 실태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외 감염관리 지침과 규정, 법규 등을 검토하여 감염관리조직 및 체계. 업무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하였음.
3. 국내 종합병원의 감염관리 실태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실태와 현황이 파악되었음.
1) 94.9%의 병원에 감염관리실무자가 배치되어 있었고, 평균 1.2명이며 95.7%가 간호사였음. 그러나 전담은 60%에 불과하며 경력이 대부분 3년 미만이고 인증 보유자가 극히 적음. 감염관리실무자는 감염감시, 교육, 규정 및 지침 작성의 순으로 업무별 소요시간이 많았음.
2) 감염관리의사는 71.4%의 병원에만 배치되어 있었고 병원당 평균 2명이나 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우는 25% 미만임. 감염관리의사는 회의 참석, 상담, 교육의 순서로 업무별 소요시간이 많았음.
3) 감염대책위원회는 응답한 모든 병원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연 평균 3.7회의 회의를 개최하고 있었음.
4) 감염감시는 85.7%의 병원에서 시행하나, 수술부위감염감시는 31.6%의 병원에서만 시행되었고, 감염발생률을 비교하는 병원은 53.1%에 불과하였음. 감염감시의 사례발견 방법으로는 미생물검사결과지 검토 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였음.
5) 감염관리 규정과 지침 보유율은 90%를 상회하였으나, 이행도 측정절차나 규정이행도 등에서는 차이가 많았음.
6) 문서화된 직원감염관리규정은 75.5%의 병원에서 보유하고 있었으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83.2%로 높았음. 대부분의 병원에서 주사침자상사고에 대한 규정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사고 후 예방조치를 제공하고 있었음.
7) 감염관리술기는 이전과 비교하여 많은 향상이 있었으나 항균제 내성균 환자 격리, 중심정맥관 삽입 시 멸균가운 사용. 결핵환자 격리실, 수술부위 제모, 정맥카테터 멸균드레싱과 세트 교환간격, 뚫리지 않는 주사침통 사용 등은 70% 미만의 병원에서만 권장사항대로 시행이 되고 있었음.
8) 감염관리실무자수와 전담감염관리간호사 유무는 병원의 규모가 크거나 종합전문요양기관인 경우 유의하게 많았으며. 전담감염관리간호사가 있는 병원에서 감염관리 활동과 술기가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음.
9) 현지조사와 설문조사의 일치도는 감염관리술기 총 37항목에서 81.9%였고, 감염관리술기 이행도 12개 항목에서는 69.1%였음.
4. 감염관리 표준 실무 지침으로는 감염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지침인 [감염관리조직 및 체계]와 임상실무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감염관리지침인 [감염관리 업무]로 나누어서 개발하였음.1) 감염관리 조직 및 체계에는 병원감염과 감염관리. 감염관리조직체계 및 운영, 감염관리실의 주요 업무가 포함되었음 2) 감염관리업무에는 손 위생, 격리, 소독과 멸균, 직원감염관리, 병원성요로감염관리, 병원성폐렴의 예밤과 관리. 수술부위감염관리, 혈관내 카테터 관련 균혈증, 감염성폐기물 관리, 세탁물 관리, 환경관리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음.
5.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1) 감염관리의 실태와 현황이 파악되었으며, 2) 감염관리와 관련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수집되었고, 3) 각 병원들의 감염관리 조직 및 체계와 업무를 표준화하기 위한 표준 실무지침서가 개발되었음.
6.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감염관리 발전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입증된 전담감염관리실무자의 배치를 증가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함.
2) 감염감시의 자료를 감염관리 결과와 연계시키기 위하여 국가전체의 표준화된 감염감시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함.
3) 감염관리 실태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비교가 가능한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감염관리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비교자료로 사용해야 하며, 이번 조사에서 제외된 병원들에 대하여도 실태와 현황 파악이 필요함
4) 감염관리 지침 및 규정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고 국가 전체의 표준화된 규정 및 지침 적용을 위하여 정부나 관련기관 산하에 위원회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함.
5) 국내 의료 환경과 병원 사정에 적합한 지침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함.
6) 관련 법규와 규정이 각 병원 감염관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현재의 법규와 규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보험수가를 개발하여 각 병원에 경제적인 유인책을 제공하여 감염관리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
Abstract
▼
There is little information in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Korea, although it has been more than 15 years since infection control was first introduced in the count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present state and to identify and improv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and also
There is little information in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Korea, although it has been more than 15 years since infection control was first introduced in the count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present state and to identify and improv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and also to develop a standardiz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 that is adequate for and applicable to Korean hospitals.
Included in the study were 139 acute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inpatient bed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mailed to the hospitals. Twenty hopita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98 hospitals that ha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were followed by an on-site observation survey conducted by infection control professionals.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as the basis for which to develop the standardiz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supplementing the previous guidelines and regulations.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n average of one 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 (ICP) in each hospital and the most of them were nurses. But only 60% of the ICP worked as full-time and the most of them had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as ICP and certified ICP was rare. They spent their time mostly for surveillance, education, and regulation and guidelines related activities in that order.
2) The 71.4% of the hospitals had a position for the Infection Control Doctor (ICD) and the average number of ICD in each hospital was two. Only one fourth of the ICD had a regular training for infection control. The ICD spent most of their time for meetings, consultations, and educations in that order.
3) All hospitals had an Infection Control Committee (ICC) and the ICC met an average of 3.7 times a year.
4) The 85.7% of the hospitals performed surveillance, but only 31.6% of hospitals were surveilling surgical site infection. The 53.1% of the responded hospitals compared their infection rates with other bench-marked data. Review of microbiology data was the most common method for case-finding.
5) More than 90% of the hospitals had the policies and guidelines, but an adherence monitoring was not performed regularly.
6) The 75.5% of the hospitals had written policies for employee health, and influenza vaccination rates for the employee was 83.2% in average. Most hospitals had regulations for sharps injuries and provided post exposure prophylaxis.
7) Infection control practices were improved when it was compared to the previous reports, but some of those did not follow recommendations.
8) The number of ICP employed and whether the ICP was a full-time or a part-time was th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quality of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 the hospital.
9) The agreement rate between surveys and on-site observations was 81.9% in 37 items for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nd 69.1% in 12 items infection control adherence monitoring.
The standardiz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were organized in two parts: one was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s and systems″, and the other part was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 conclusion: 1) the present state of infection control program was identified, 2) the basic data were collected to identify and to promote infection control problems, and 3) the infection control guideline was developed to standardize infection control programs in each hospital.
The following proposals are made to promote the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Korea.
1) The number of full-time ICP should be increased, because not only the presence but also the number of full-time ICP was directly related to an improvement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and activities.
2) Nation-wide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collect standardized data and to link the infection control program to nosocomial infection rate.
3) A regular survey need to be extended to include the hospitals that were not surveyed in this study to follow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infection control program and to gather basic data for further improvement.
4) The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nd regulations should be contimuously supplemented and modified, and a government-based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should be established.
5) More public investment would be needed to support domestic research project to collect local-based evidence for the applicable infection control practice guidelines.
6) The current regulations should be expanded and an insurance coverage policy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conomic incentives to the hospital, because these strategies were proven to be effective in this study.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2
- 참여연구원 명단 ...3
- 목차 ...4
- <표 차례> ...6
- <그림 차례> ...7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8
- 요약문 ...8
- SUMMARY ...10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2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12
- 가. 연구의 필요성...12
- 나. 연구의 목표 및 범위...17
- 다.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20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21
- 가. 연구개발 내용...21
- 나. 연구 결과...23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25
- 가. 연구결과 고찰...25
- 나. 결론...29
-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32
- 5.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34
- III.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36
- 1.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37
- 가.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37
- 나.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40
- 2.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42
- 가. 설문조사...42
- 나. 현지 방문조사...44
- 3.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45
- 가. 조사대상의 특성...45
- 나. 감염관리인력 및 기구조직...47
- 다. 감염관리의사 및 기타인력...50
- 라. 감염대책위원회...52
- 마. 감염감시 및 감염사례 발견 방법...59
- 바. 감염관리활동...63
- 사. 감염관리술기...82
- 아. 병원규모별 감염관리실무자 유무별 감염관리활동...90
- 자. 감염관리술기의 현지조사와 설문조사 일치율...95
- 4.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97
- 가. 연구 결과 고찰...97
- 나. 결론...100
- 5.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102
- 6. 참고문헌...104
- 7. 부록...108
- 부록 1. 병원감염관리 실태조사 설문지...108
- 부록 2. 병원감염관리 현지 방문조사용 설문지...126
- 부록 3. 병원감염관리 실태조사 참여 병원 (가나다 순)...136
- 부록 4. 병원감염관리 현지 방문조사 협조 병원 (가나다 순)...137
- 부록 5. 현지 방문조사 자문위원 (가나다순, 연구위원 제외)...137
- IV.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38
- 1. 제 2 세부연구개발 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139
- 가.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139
- 나.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144
- 2.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방법...145
- 3.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147
- 4.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결과 고찰...148
- 5.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론...150
- 6.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152
- 7. 참고문헌...153
- 8. 부록 1. 병원감염관리침서(안)...156
- I. 감염관리 및 조직체계...157
- 1. 병원감염과 감염관리...158
- 2. 감염관리 조직 체계 및 운영...160
- 3. 감염관리실의 주요 업무...163
- II. 감염관리실무...171
- 1. 손위생...172
- 2. 격리...176
- 3. 소독과 멸균...181
- 4. 직원감염 관리...199
- 5. 병원성 요로감염 관리...204
- 6. 병원성 폐렴 관리...206
- 7. 수술부위 감염...210
- 8. 혈관내 카테터 관련 균혈증 관리...214
- 9. 감염성 폐기물 관리...222
- 10. 세탁물 관리...225
- 11. 기타 환경 관리...22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