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상세정보
과제명 |
미백기능성 물질의 탐색, 생체효능연구 및 산업화 |
주관연구기관 |
영남대학교 YeungNam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승호
|
참여연구자
|
손종근,
김영수
|
보고서유형 |
2단계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6-05
|
과제시작년도 |
2005
|
주관부처 |
과학기술부 |
사업 관리 기관 |
한국과학재단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tion
|
등록번호 |
TRKO200600001719
|
과제고유번호 |
1350023114
|
사업명 |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DB 구축일자 |
2015-01-08
|
키워드 |
미백화장품.천연물.피퍼롱구미닌.멜라노사이트.멜라닌.whitening cosmetics.natural products.piperlonguminine.melanocyte.melanin.
|
초록
▼
본 연구는 국산 자원식물로부터 미백화장품의 첨가물로 이용할 수있는 물질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천궁, 관중, 지실, 천초, 토후박, 천마, 부자, 필발 등 8종의 국산자원식물로부터 피부멜라닌...
본 연구는 국산 자원식물로부터 미백화장품의 첨가물로 이용할 수있는 물질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천궁, 관중, 지실, 천초, 토후박, 천마, 부자, 필발 등 8종의 국산자원식물로부터 피부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75종 분리하였고, 그 중에서 필발로부터 분리한 piperlonguminine을 후보물질로 결정하고 미백활성 mechanism을 구명하였으며 간단한 합성 방법을 확립하였다.
필발로부터 분리한 piperlonguminine의 미백활성 mechanism은 다음과 같다.
1) Piperlonguminine의 미백활성은 kojic acid에 비하여 5배 이상의 melanin 생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2) α-MSH에 의하여 자극된 melanocyte에 대하여 piperlonguminine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Piperlonguminine은 IBMX에 의하여 유도된 melanogenesisi를 kojic acid에 비하여 9배 이상 억제하였다.
4) Piperlonguminine은 PPIX에 의하여 유도된 melanogenesisi를 kojic acid에 비하여 5배 이상억제하였다.
5) Piperlonguminine은 OAG에 의하여 유도된 melanogenesisi를 억제하지 않았다.
6) Piperlonguminine은 생성된 rtrosinase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생성된 색소의 탈색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piperlonguminine의 대량생산을 할 수있는 합성법을 확립하였으며, 참여기업인 (주)키맥스에서 미백화장품의 원료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Abstract
▼
The sepcific goal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skin whitening agents used in cosmetics from Korean native higher plants.
Durin...
The sepcific goal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skin whitening agents used in cosmetics from Korean native higher plants.
During the second stage (2003. 08 - 2006. 03) of the project, both 75 melanogenesis inhibitors were isolated from eight Korean plants. Among these in vitro active compounds, piperlonguminine, which was not only 5 times more active than kojic acid but 2.5 times active than arbutin in melanoma cell line test, was chosen as a lead compound to investigate further in clinical study. As results of a preclinical investigation of this compound, no skin toxicity including allergic reaction in human was detected. Currently, a clinical investigation for piperlonguminine is under a progress in a medical facillities of China as a conginment project from the Kimex Co.
목차
Contents
▼
- 표지...1
- 제출문...2
- 초록...3
- 요약문...4
- SUMMARY...5
- CONTENTS...6
- 목차...7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8
-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8
- 제2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12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3
- 가. 연구사례의 조사...13
- 나. 특허 및 기술도입과의 중복여부에 대한 검토.분석...13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4
- 제1절 연구방법...14
- 제2절 자원식물로부터 활성물질의 분리...20
- 제3절 Piperlonguminine과 molugin의 미백활성 기전...68
- 제4절 활성물질의 합성...84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92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93
-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94
- 기술 요약서...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