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간벌 목재의 에너지 회수를 위한 가스화 공정 개발 선행 연구
A pre-study on the process development of thinning timber gasific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에너지연구원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5-06
주관부처 산업자원부
등록번호 TRKO200700001993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본 연구는 주⋅간벌 목재로부터 사용하기 편리한 가스 상태로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가스화 공정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로 수행하였다. 소규모 목재 가스화 공정의 상업화를 위해서는 장치가 간단하며, 손쉬운 운전이 요구되는바, 이에 적합한 방식은 고정층 반응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한 가스화 특성 실험이 실시하였다. 우선 설계 변수를 얻기위해 열중량분석기를 이용한 시료 및 주요 반응 변수의 선정이 이루어졌으며, 고정층 마이크로반응기를 이용하여 주⋅간벌 목재의 수분함량, 입도, 반응온도,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development of a gasification process to convert thinning timbers to syngas which is a convenient form of fuel. Fixed-bed gasifiers are well known for their systemic characteristics such as simplicity and easy operation which are required for the commercialization

목차 Contents

  •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
    2. 두 고분자 센서 모두 열손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
    2. 두 고분자 센서 모두 열손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EMAT 분야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분야
    제 3 절 초소형 음향방출 센서기술
    제 4 절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1. 서 론
    2. EMAT 의 초음파 송수신 원리
    3. 배관 결함 탐상용 EMAT 를 이용한 결함 탐지 기술
    4. 고 출력 펄서 & 리시버 개발
    5. 국내 석유화학설비에의 현장 적용화 실험
    6. 결 론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개발
    1. 서 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의 기초
    3.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
    4. 결 론
    제 3 절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1. 서론
    2. PZT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 제작
    3. 고분자 압전재료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제작
    4. PZT 박막 증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및 평가
    5. 집적화된 초소형 AE 신호증폭기 제작 및 성능평가
    6. 결 론
    제 4 절 전자기법 비파괴 센싱 기술 개발
    1. 서 론
    2. Capacitive probe 를 적용한 코팅관의 검사기술
    3. 자속 변화 감지 센서를 적용한 wire rope 검사 기술
    4. 펄스 와전류 검사 기술 개발
    5. 현장 적용시험
    6.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4. 전자기법 센싱기술 개발
    제 2 절 대외기여도
    1. EMAT 센서기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기술
    4.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
    2. 두 고분자 센서 모두 열손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br>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EMAT 분야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분야
    제 3 절 초소형 음향방출 센서기술
    제 4 절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1. 서 론
    2. EMAT 의 초음파 송수신 원리
    3. 배관 결함 탐상용 EMAT 를 이용한 결함 탐지 기술
    4. 고 출력 펄서 & 리시버 개발
    5. 국내 석유화학설비에의 현장 적용화 실험
    6. 결 론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개발
    1. 서 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의 기초
    3.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
    4. 결 론
    제 3 절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1. 서론
    2. PZT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 제작
    3. 고분자 압전재료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제작
    4. PZT 박막 증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및 평가
    5. 집적화된 초소형 AE 신호증폭기 제작 및 성능평가
    6. 결 론
    제 4 절 전자기법 비파괴 센싱 기술 개발
    1. 서 론
    2. Capacitive probe 를 적용한 코팅관의 검사기술
    3. 자속 변화 감지 센서를 적용한 wire rope 검사 기술
    4. 펄스 와전류 검사 기술 개발
    5. 현장 적용시험
    6.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4. 전자기법 센싱기술 개발
    제 2 절 대외기여도
    1. EMAT 센서기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기술
    4.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
    2. 두 고분자 센서 모두 열손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EMAT 분야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분야
    제 3 절 초소형 음향방출 센서기술
    제 4 절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1. 서 론
    2. EMAT 의 초음파 송수신 원리
    3. 배관 결함 탐상용 EMAT 를 이용한 결함 탐지 기술
    4. 고 출력 펄서 & 리시버 개발
    5. 국내 석유화학설비에의 현장 적용화 실험
    6. 결 론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개발
    1. 서 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의 기초
    3.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
    4. 결 론
    제 3 절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1. 서론
    2. PZT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 제작
    3. 고분자 압전재료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제작
    4. PZT 박막 증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및 평가
    5. 집적화된 초소형 AE 신호증폭기 제작 및 성능평가
    6. 결 론
    제 4 절 전자기법 비파괴 센싱 기술 개발
    1. 서 론
    2. Capacitive probe 를 적용한 코팅관의 검사기술
    3. 자속 변화 감지 센서를 적용한 wire rope 검사 기술
    4. 펄스 와전류 검사 기술 개발
    5. 현장 적용시험
    6.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4. 전자기법 센싱기술 개발
    제 2 절 대외기여도
    1. EMAT 센서기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기술
    4.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
    2. 두 고분자 센서 모두 열손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EMAT 분야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분야
    제 3 절 초소형 음향방출 센서기술
    제 4 절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1. 서 론
    2. EMAT 의 초음파한 결함 탐지 기술
    4. 고 출력 펄서 & 리시버 개발
    5. 국내 석유화학설비에의 현장 적용화 실험
    6. 결 론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개발
    1. 서 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의 기초
    3.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
    4. 결 론
    제 3 절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1. 서론
    2. PZT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 제작
    3. 고분자 압전재료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제작
    4. PZT 박막 증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및 평가
    5. 집적화된 초소형 AE 신호증폭기 제작 및 성능평가
    6. 결 론
    제 4 절 전자기법 비파괴 센싱 기술 개발
    1. 서 론
    2. Capacitive probe 를 적용한 코팅관의 검사기술
    3. 자속 변화 감지 센서를 적용한 wire rope 검사 기술
    4. 펄스 와전류 검사 기술 개발
    5. 현장 적용시험
    6.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4. 전자기법 센싱기술 개발
    제 2 절 대외기여도
    1. EMAT 센서기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기술
    4.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1.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 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가 . 전기화학적 효율
    나 . 열가치 효율 및 시스템 효율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1. 연료극 지지체 구조 개선을 통한 세라믹 연료전지 성능개선
    2.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제 2 절 세라믹 연료전지 구성 요소 개발
    1. 금속 / 전도성 세라믹 코팅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재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설계 및 구성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조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SOFC 전극의 개요 및 연구개발 동향
    제 2 절 SOFC 전극의 내구성
    제 3 장 연구방법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4 장 연구결과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5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1 .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① SOFC 의 작동온도가 높기 때문에 전극 반응이 빠르다 . 따라서 전극에서 촉매제는 필요하
    ② SOFC 는 CO 오염의 문제가 없다 . 사실상 CO 는 SOFC 에서 직접 연료로 사용된다 . SOFC 는
    ③ SOFC 는 다양한 연료를 이 용할 수 있다 . 수소뿐만 아니라 석탄 , 공장 , 그 밖의 가능성으로
    ④ SOFC 는 유용한 고온을 방출하므로 열은 폐열발전이 나 기본 사이 클로 사용하기에 적당하
    ⑤ SOFC 전해질이 고체이 므로 전해질손실과 조성변화를 막기 위한 전해질운영 은 문제가 되
    ⑥ 모두 고체 상태이 므로 SOFC 는 액체전해질을 갖는 연료전지에서 불가능한 기하학적 형태
    ⑦ SOFC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 전지 구성요소는 내부저항손
    제 2 절 세라믹 연료전지 구성 요소 개발
    1 . 금속 / 전도성 세라믹 코팅 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제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구성 및 제작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작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참고문헌
    그림목차
    [ 그림 1- 1] 에서 전류가 증가하면서 선형으로 나타남에 따라 저항 분극 또는 옴믹 손실이 우
    [ 그림 1- 1] 작동하는 연료전지에서의 전형적인 전압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1- 2] 연료전지에서 전형적인 전력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2- 1] Westinghouse 의 평관형 지지체의 골격 구조에 따른 전류흐름 분석 [5]
    [ 그림 2- 2] 원통형과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의 이 론적 성능곡선의 비교 [5]
    [ 그림 2- 3] 연료극 지지체 구조 변경 사진 ; ①개선 전 ②개선 후
    [ 그림 2- 4] 연료극 지지체의 운전온도에서 압축 강도 시험
    [ 그림 2- 5] 연료극 지지체 유로 형상 개선 ; ①개선 전 구조파괴 형상 ②개선 후 연료극 유로
    [ 그림 2- 6] 연료극 다기능성 막 코팅 ; ①다기능성 막 코팅 SEM 사진 ② 습식 코팅횟수 증
    [ 그림 2- 7] 에서 연료극 다기능성 박막을 도입 한 단위전지와 기존의 단위전지와의 성능을
    [ 그림 2- 7] 연료극 기능성 막에 따른 단전지 성능 비교 ; ①기존의 단전지 , ②연료극 기능성
    [ 그림 2- 8] 단전지 장기 시험 (430 시간 )
    [ 그림 2- 9] 전해질 코팅층 표면 SEM 분석 ; ①기존 전해질표면 ②연료극 기능성막위에 코
    [ 그림 2- 10] 전해질 코팅 단층 SEM 사진
    [ 그림 2- 11]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세라믹 코팅층 LSM 은 1000 ℃ 에서 소결시 오직
    [ 그림 2- 11]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LSM-coated interc
    [ 그림 2- 12] 는 LSM 이 코팅된 금속연결재의 단면도로서 코팅층인 LSM 과 금속연결재
    [ 그림 2- 13] 은 세라믹 / 금속 계면에 형성된 oxide 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Electron
    [ 그림 2- 12] SEM micrographs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3] X - ray mapping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4] 는 four-point DC method 로 650 ℃ ~ 850 ℃ 에서 Area spec
    [ 그림 2- 14] Dependence of ASR on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 그림 2- 15] 은 스택 구성에 있어 서 중요한 단위전지와 금속연결판과의 접촉저항을 측정
    [ 그림 2- 15]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단전지와 바이 폴라플레이 트 간의 접 촉저항 테스트 장치
    [ 그림 2- 16] 평관형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접촉저항 전기 회로도
    [ 그림 2- 17] 은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위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8] 는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7] 압축압력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 그림 2- 18]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6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22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는 그림 4 의 실험과 마찬가지로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
    [ 그림 2- 20] 은 La Ca CrO 을 이 용하여 플라즈마 용사코팅을 실시한 후 , SEM 으로 관
    [ 그림 2- 23] 은 플라즈마 용사 코팅한 시편과 용사코팅 후 다시 La Ca CrO 슬러 리로
    [ 그림 2- 20] Plasma 용사 코팅후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사진 .
    [ 그림 2- 21] 플라즈마 용사코팅 후 ,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EDS mapping 사진 .
    [ 그림 2- 22] La Ca CrO 슬러리 dip coating 후 2-step 소결을 이 용한 사진 .
    [ 그림 2- 23] La Ca CrO 플라즈마코팅 후 , 플라즈마후 +La Ca CrO dip 코팅 적용후
    [ 그림 3- 1] 에서 전형적인 상압에서 운전되는 SOFC 시스템의 주요 BOP 장치에 대한 개략
    [ 그림 3- 1] 전형적인 SOFC 시스템 주요 구성요소 개략도
    [ 그림 3- 2] 가스 매니폴드 분리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스택 적층구조 , ⒝가스매니폴드에
    [ 그림 3- 2] 와 같은 가스 매니폴드 분리 형의 경우 적층 단과 단사이 에 부도체를 삽입 함으
    [ 그림 3- 3] 가스 메니 폴드 일체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a) 가스 유로흐름 및 단위전지 배열
    [ 그림 3- 4] 일체형 1 층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5] 분리형 및 일체형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7] 에서 전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개발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 본 모
    [ 그림 3- 6]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성능 평가 장치 ; (a) 가열로 및 가스조절 장치 , (b) 공급가
    [ 그림 3- 7] 500W 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개발 모식도
    [ 그림 3- 8]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파괴사진 ; (a) cross-flow 스택 유리 밀봉재 파괴 사진 (b
    [ 그림 3- 9] 브레이 징 cap 과 세라믹 단위전지 접합 형태
    [ 그림 3- 10] 브레이 징법을 이 용한 평관형 단위전지와 원통형 단위전지 용접 실험
    [ 그림 3- 11] 브레이 징 용접을 통하여 제조한 단위전지
    [ 그림 3- 12] 브레이 징법으로 용접한 단위전지 가스누출 시험
    [ 그림 3- 13] 브레이 징법에 의한 용접된 단위전지의 용접 부위 단면 사진
    [ 그림 3- 14] 브레이 징을 이 용한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메니폴드 설계도
    [ 그림 3- 15] 설계한 메니폴드를 U-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6] U-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20] 에는 브레이 징법을 통하여 가스 밀봉한 세라믹 연료전지 단위전지에 대한 성
    [ 그림 3- 17] 설계한 메니 폴드를 Z-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8] Z-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19] 브레이 징을 이 용한 병렬 식 500W 스택구성 개념도 및 구성품
    [ 그림 3- 20] 브레이 징을 이 용한 세라믹 연료전지의 성능곡선
    [ 그림 3- 21]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셀 . (a) 전해질 코팅후 , (b) 공기극 코팅후
    [ 그림 1-1]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구조 및 작동 원리
    [ 그림 2-1] 입 자크기 , 조성 및 기공율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극 구조의 모식도
    [ 그림 3-1] (a) 4-probe 법에 의한 전도도 측정 모식도 및
    [ 그림 3-2] 반복 열충격시험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3] 고온 장기 환원시험의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4] 분무열분해법에 의한 LSC 공기극 소재 합성공정도
    [ 그림 3-5] 분무열분해에 의한 분말합성공정 모식도
    [ 그림 3-6] 산소투과특성 평가장치의 모식도
    [ 그림 3-7] 압출성 형 기 및 압출성 형 공정
    [ 그림 3-8] NiO-YSZ 연료극소재의 압출성 형 을 위 한 몰드
    [ 그림 4-2] 는 각각 Y O 의 첨 가량이 8 mol% 와 10 mol% 인 NiO-YSZ 소결체의 파단면
    [ 그림 4-1] Y O 가 각각 8 mol% 와 10 mol% 치환되고 , 기공형성제로 활성탄이 첨 가된
    [ 그림 4-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a) Y O 함량 8 mol%, 소결온도
    [ 그림 4-3] 기공형성제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a) 활성탄 (activated carbon);
    [ 그림 4-4] 10 mol% 의 Y O 가 첨 가되고 서로 다른 기공형성제를 갖는 NiO-YSZ
    [ 그림 4-5] 에는 다른 종류의 기공형성제를 첨 가하여 1400 C 에서 제조된 연료극 소결체의
    [ 그림 4-5] 기공형성제를 달리하여 1400 ℃ 에서 제조된 NiO-YSZ 소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 그림 4-6] 압출공정으로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기공분포 , (a) 8Y-AC 환원 전 ,
    [ 그림 4-7] ZrO 의 일부를 Zr(OH) 또는 ZrO(NO ) . xH O 로 대체한
    [ 그림 4-8] 다른 크기의 원료분말 (ZrO ) 을 이 용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강도 변화
    [ 그림 4-9] 다른 크기의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 1400 C 에서 소결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
    [ 그림 4-10] NiO-YSZ 연료극의 기공율에 따른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1] NiO-YSZ 연료극소재의 작동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
    [ 그림 4-12] 800 ℃ , 4%H -Ar 분위기에서 측정한 , 시간에 따른 Ni-YSZ
    [ 그림 4-13] Y O -ZrO 의 상평형도
    [ 그림 4-14] 반복 열충격 싸이 클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5] 고온의 환원분위기하에서 유지시간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 그림 4-17] 은 비산화물계서 , 3 단계의
    [ 그림 4-16] SrC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7] Co(NO ) . 6H 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8] LSCF 합성분말의 열분석 곡선
    [ 그림 4-19] 600, 800, 및 1000 ℃ 에서 열처리된 LSCF 혼합분말의 XRD
    [ 그림 4-20]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한 LaSrCoO 분말의 합성온도에 따른 XRD
    [ 그림 4-21]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2]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3] 분무열분해법으로 합성한 후 , 스크린프린팅한 LaSrCoO 분말의 SEM 사진 :
    [ 그림 4-24] LSCF 공기극 소재 소결체의 소결온도에 따른 미세구조
    [ 그림 4-25] 유지시간에 따른 LSCF 소결체의 (a) 파괴강도와 (b) 파괴인성 및 경도 변화
    [ 그림 4-26] 온도와 산소분압에 따른 LSCF 소결체의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27] 소결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LSCF 공기극소재의 온도에 따른
    [ 그림 4-28]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후의 미세구조 : (a) Ni-SDC; (b) Ni-GD
    [ 그림 4-29]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전후의 기공율 변화
    [ 그림 4-30] Ni-SDC 및 Ni-YSZ 의 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31] 에 합성된 LSGM 분말의 미세구조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 열처리 온도에 따른
    [ 그림 4-31] LSGM 합성분말의 SEM 사진
    [ 그림 4-32] 소결온도에 따른 LSGM 합성분말의 XRD
    [ 그림 4-33] (a) NiO-YSZ 및 NiO-SDC 연료극 원통형 지지체의 외관 ; (b) NiO-YSZ
    [ 그림 4-34] 장경비가 큰 LSCF 소재의 공기극 압출성형체
    [ 그림 2-1] Flat-tube SOFC stack design (2 × 2 cells)
    [ 그림 2-2] 은 2 × 2 stack 중 2 개의 cells 로 구성된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 그림 2-2] Computation domain for anode manifold (2 cells)
    [ 그림 2-3] 는 속도분포와 압력분포를 보여준다 .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 대부분의 연료전지
    [ 그림 2-3] Velocity distribution & Pressure distribution at anod
    [ 그림 2-4] Flow rate at each section in anode manifold
    [ 그림 2-5] 는 2 × 2 cells 로 구성된 cathode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주고 있
    [ 그림 2-5] Computation domain for cathode manifold
    [ 그림 2-5] 를 보면 하나의 입 구에서 공기가 들어와 첫 번째 20 개의 분배관으로 분배된 후
    [ 그림 2-6] 에서는 속도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분의 속도가
    [ 그림 2-9] 은 수정된 분배관으로부터 interconnect 유로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나타
    [ 그림 2-6] Velocity distribution at cathode manifold
    [ 그림 2-7]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at in
    [ 그림 2-8] The design of distributor of cathode manifold
    [ 그림 2-9]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 그림 2-12] 및 [ 그림 2-13] 은 압력별 공기 측 연료측의 유동 분포를 나타낸다 .
    [ 그림 2-10] 유동 simulator 구조 [ 그림 2-11] 유동 실험장치 및 실험장면
    [ 그림 2-12] 공기측 유동 분포
    [ 그림 2-13] 연료측 유동문포
    [ 그림 2-12], [ 그림 2-13] 에서 볼때 운전 조건에서 압력 (1-3 기압 ) 범위에서 약 5-25%
    [ 그림 2-14] Schematic diagram of SOFC
    [ 그림 2-15] 는 실제 실험데이 터를 토대로 연료극 활성화 과전압과 공기극 활성화 과전압으
    [ 그림 2-15] Decomposition of operating voltage
    [ 그림 2-16] 은 표본 실험 데이터 (0.82386[V], 2040[A/ ㎡ ]) 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나
    [ 그림 2-16] Error w.r.t. weighting factor( α ) (0.82386[V], 2040
    [ 그림 2-17] Flat-tube SOFC
    [ 그림 2-18] Comparison of 3-component conductivity
    [ 그림 2-18] 에서 알 수 있듯이 연료극 지지체식 flat-tube 형 SOFC 의 특성은 다른 두 가지
    [ 그림 2-19]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deviation
    [ 그림 2-20] Computational scheme
    [ 그림 2-22] Geometry of unit cell and grid generation
    [ 그림 2-23] 에서 보듯이 연료 유로와 공기 유로에서 완전 발달된 유동을 보이 며 다공성 매
    [ 그림 2-23] Velocity distribution in unit cell
    [ 그림 2-24] 에서는 각 전극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 반응층에서의 열생성으로 인
    [ 그림 2-24] Temperature distribution in unit cell ( left : catho
    [ 그림 2-25] 에서는 화학종들에 관한 질량분율에 대해 나타내었다 . 연료 반응층에서 수소의
    [ 그림 2-25] Concentration(mass-fraction) distribution in unit ce
    [ 그림 2-26]( 위쪽 ) 은 단위전지의 작동전압을 달리하여 각각의 전류밀도를 유동방향에 관해
    [ 그림 2-26] Current density & Concentration distribution w.r.t.
    [ 그림 2-26]( 아래쪽 ) 에서는 anode 와 cathode 의 반응층내에서의 반응물들의 질량 분율 ( 수
    [ 그림 2-27] Specification & Computation domain of flat-tube SOFC
    [ 그림 2-28] (a) 에서는 속도 분포에 대해 나타내었다 . 보는 바와 같이 유동이 다공성 매질층
    [ 그림 2-28](b) 에서는 단위전지의 전극표면에서의 3 차원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입 구 온
    [ 그림 2-28] (c) 와 (d) 에서는 유동방향으로 화학종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 공기극의
    [ 그림 2-29] 는 전극표면에서의 평형기전력 (=Nernst potential) 과 과전압 손실 및 내부저항
    [ 그림 2-29] 에서는 활성화 손실이 유동방향에 대해 감소하는 데 , 이 는 온도의 변화에 활성
    [ 그림 2-30] 는 유동방향으로의 국부적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영 역 에서 가장 높은
    [ 그림 2-28] The characteristics in flat-tube SOFC
    [ 그림 2-32] 은 각각의 voltage 에 따른 전력밀도와 효율을 나타내었다 . 작동전압이 낮을수
    [ 그림 2-31]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along the flow directio
    [ 그림 2-32] Power density & Efficiency w.r.t. operating voltage
    [ 그림 2-33] Polarization curv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 그림 2-34] (a) 는 유입 가스 온도 변화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 유입 가
    [ 그림 2-34] (e) 는 유동방향에 따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가스의 온도가 상승함에
    [ 그림 2-34](f) 는 유입 가스온도에 대한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입 가스온도가 상승
    [ 그림 2-34]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inlet gas tem
    [ 그림 2-35](a) 는 유량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면서 내부
    [ 그림 2-35] (f) 는 반응가스의 유량에 따른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
    [ 그림 2-35]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volume flow r
    [ 그림 2-36](a) 는 유동방향에 대한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 길이 가 길어짐에 따라 온도가 상
    [ 그림 2-36]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channel lengt
    [ 그림 3-1] SOFC 시스템의 기본 설계
    [ 그림 3-2] SOFC 스택의 개략도
    [ 그림 3-3] 당량비와 개질기의 온도에 따른
    [ 그림 3-4] Case 1 의 운전 조건에 따른 시스템 구성요소의 온도
    [ 그림 3-5] 연료와 공기의 다단 예열을 이용한 시스템
    [ 그림 3-1], [ 그림 3-4] 와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였고 [ 그림 3-5] 와 같
    [ 그림 3-6] 가정용 열 . 전기 발생용 SOFC RPG 설계
    [ 그림 3-1] 의 기본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열 (exhaust) 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 그림
    [ 그림 4-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전동 카의 구성도
    [ 그림 4-2] 연료전지 스택
    [ 그림 4-3]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곡선
    [ 그림 4-4] 는 본 연구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 다 .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4] 연료전지 제어 시스템 구성도
    [ 그림 4-5] 연료전지 공기 유량 제어
    [ 그림 4-6] 연료전지 스택 수소
    [ 그림 4-7]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8] 연료전지 시스템 순차
    [ 그림 4-7] 은 연료전지 시스템 , 제어기등의 실험 장치이 며 , [ 그림 4-8] 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 그림 4-10]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 그림 4-9] ANN 축전지 SoC 계산 방
    [ 그림 4-10] 은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출력 결과 이다 . 이결과는 연료전지 제어기의 제어량
    [ 그림 4-1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 그림 4-12] 부하제어 결과
    [ 그림 4-13] 전동카트의 주행 시험 특성
    [ 그림 4-14] 연료전지 축전지 시스템 차량 장착 장면
    [ 그림 4-15] 연료전지 하이 브리드 자동차 실차 테스트 결과 샘플
    표목차
    < 표 1- 1> 몇 가지 전극반응에 대한 열역 학적 data 와 열역 학적 효율 [1]
    < 표 2-1> SOFC 연료극 소재의 연구개발동향
    < 표 2-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공기극 소재 개발동향
    < 표 2-3> 에는 미국 NETL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에서
    < 표 2-3> SOFC 단전지 및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개발 동향
    < 표 3-1> NiO-YSZ 및 NiO-SDC 계 연료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3-2> LSCF 공기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4-1> NiO-YSZ 연료극 소재의 소결수축율
    < 표 4-1> 의 소결수축율 결과에서 , 활성탄이 첨 가된 10Y-AC 와 카본블랙이 첨 가된 10Y-CB
    < 표 4-2> SOFC 연료극을 위한 NiO-YSZ 및 NiO-SDC 원통형 지지체의 특성
    < 표 2-1> Flat-tube SOFC stack operating condition
    < 표 2-2> The comparison of theoretical OCV with experimental OC
    < 표 2-4> Specifica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2-5> Operating condi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3-1> SOFC 시스템의 운전 조건
    < 표 3-2> SOFC 시스템의 조건에 따른 운전 성능
    < 표 3-3> 가정용 SOFC 시스템의 출력과 효율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
    2. 두 고분자 센서 모두 열손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EMAT 분야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분야
    제 3 절 초소형 음향방출 센서기술
    제 4 절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1. 서 론
    2. EMAT 의 초음파 송수신 원리
    3. 배관 결함 탐상용 EMAT 를 이용한 결함 탐지 기술
    4. 고 출력 펄서 & 리시버 개발
    5. 국내 석유화학설비에의 현장 적용화 실험
    6. 결 론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개발
    1. 서 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의 기초
    3.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
    4. 결 론
    제 3 절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1. 서론
    2. PZT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 제작
    3. 고분자 압전재료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제작
    4. PZT 박막 증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및 평가
    5. 집적화된 초소형 AE 신호증폭기 제작 및 성능평가
    6. 결 론
    제 4 절 전자기법 비파괴 센싱 기술 개발
    1. 서 론
    2. Capacitive probe 를 적용한 코팅관의 검사기술
    3. 자속 변화 감지 센서를 적용한 wire rope 검사 기술
    4. 펄스 와전류 검사 기술 개발
    5. 현장 적용시험
    6.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4. 전자기법 센싱기술 개발
    제 2 절 대외기여도
    1. EMAT 센서기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기술
    4.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1.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 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가 . 전기화학적 효율
    나 . 열가치 효율 및 시스템 효율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1. 연료극 지지체 구조 개선을 통한 세라믹 연료전지 성능개선
    2.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제 2 절 세라믹 연료전지 구성 요소 개발
    1. 금속 / 전도성 세라믹 코팅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재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설계 및 구성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조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SOFC 전극의 개요 및 연구개발 동향
    제 2 절 SOFC 전극의 내구성
    제 3 장 연구방법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4 장 연구결과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5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1 .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① SOFC 의 작동온도가 높기 때문에 전극 반응이 빠르다 . 따라서 전극에서 촉매제는 필요하
    ② SOFC 는 CO 오염의 문제가 없다 . 사실상 CO 는 SOFC 에서 직접 연료로 사용된다 . SOFC 는
    ③ SOFC 는 다양한 연료를 이 용할 수 있다 . 수소뿐만 아니라 석탄 , 공장 , 그 밖의 가능성으로
    ④ SOFC 는 유용한 고온을 방출하므로 열은 폐열발전이 나 기본 사이 클로 사용하기에 적당하
    ⑤ SOFC 전해질이 고체이 므로 전해질손실과 조성변화를 막기 위한 전해질운영 은 문제가 되
    ⑥ 모두 고체 상태이 므로 SOFC 는 액체전해질을 갖는 연료전지에서 불가능한 기하학적 형태
    ⑦ SOFC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 전지 구성요소는 내부저항손
    제 2 절 세라믹 연료전지 구성 요소 개발
    1 . 금속 / 전도성 세라믹 코팅 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제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구성 및 제작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작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참고문헌
    그림목차
    [ 그림 1- 1] 에서 전류가 증가하면서 선형으로 나타남에 따라 저항 분극 또는 옴믹 손실이 우
    [ 그림 1- 1] 작동하는 연료전지에서의 전형적인 전압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1- 2] 연료전지에서 전형적인 전력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2- 1] Westinghouse 의 평관형 지지체의 골격 구조에 따른 전류흐름 분석 [5]
    [ 그림 2- 2] 원통형과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의 이 론적 성능곡선의 비교 [5]
    [ 그림 2- 3] 연료극 지지체 구조 변경 사진 ; ①개선 전 ②개선 후
    [ 그림 2- 4] 연료극 지지체의 운전온도에서 압축 강도 시험
    [ 그림 2- 5] 연료극 지지체 유로 형상 개선 ; ①개선 전 구조파괴 형상 ②개선 후 연료극 유로
    [ 그림 2- 6] 연료극 다기능성 막 코팅 ; ①다기능성 막 코팅 SEM 사진 ② 습식 코팅횟?? 도입 한 단위전지와 기존의 단위전지와의 성능을
    [ 그림 2- 7] 연료극 기능성 막에 따른 단전지 성능 비교 ; ①기존의 단전지 , ②연료극 기능성
    [ 그림 2- 8] 단전지 장기 시험 (430 시간 )
    [ 그림 2- 9] 전해질 코팅층 표면 SEM 분석 ; ①기존 전해질표면 ②연료극 기능성막위에 코
    [ 그림 2- 10] 전해질 코팅 단층 SEM 사진
    [ 그림 2- 11]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세라믹 코팅층 LSM 은 1000 ℃ 에서 소결시 오직
    [ 그림 2- 11]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LSM-coated interc
    [ 그림 2- 12] 는 LSM 이 코팅된 금속연결재의 단면도로서 코팅층인 LSM 과 금속연결재
    [ 그림 2- 13] 은 세라믹 / 금속 계면에 형성된 oxide 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Electron
    [ 그림 2- 12] SEM micrographs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3] X - ray mapping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4] 는 four-point DC method 로 650 ℃ ~ 850 ℃ 에서 Area spec
    [ 그림 2- 14] Dependence of ASR on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 그림 2- 15] 은 스택 구성에 있어 서 중요한 단위전지와 금속연결판과의 접촉저항을 측정
    [ 그림 2- 15]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단전지와 바이 폴라플레이 트 간의 접 촉저항 테스트 장치
    [ 그림 2- 16] 평관형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접촉저항 전기 회로도
    [ 그림 2- 17] 은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위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8] 는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7] 압축압력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 그림 2- 18]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6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22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는 그림 4 의 실험과 마찬가지로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
    [ 그림 2- 20] 은 La Ca CrO 을 이 용하여 플라즈마 용사코팅을 실시한 후 , SEM 으로 관
    [ 그림 2- 23] 은 플라즈마 용사 코팅한 시편과 용사코팅 후 다시 La Ca CrO 슬러 리로
    [ 그림 2- 20] Plasma 용사 코팅후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사진 .
    [ 그림 2- 21] 플라즈마 용사코팅 후 ,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EDS mapping 사진 .
    [ 그림 2- 22] La Ca CrO 슬러리 dip coating 후 2-step 소결을 이 용한 사진 .
    [ 그림 2- 23] La Ca CrO 플라즈마코팅 후 , 플라즈마후 +La Ca CrO dip 코팅 적용후
    [ 그림 3- 1] 에서 전형적인 상압에서 운전되는 SOFC 시스템의 주요 BOP 장치에 대한 개략
    [ 그림 3- 1] 전형적인 SOFC 시스템 주요 구성요소 개략도
    [ 그림 3- 2] 가스 매니폴드 분리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스택 적층구조 , ⒝가스매니폴드에
    [ 그림 3- 2] 와 같은 가스 매니폴드 분리 형의 경우 적층 단과 단사이 에 부도체를 삽입 함으
    [ 그림 3- 3] 가스 메니 폴드 일체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a) 가스 유로흐름 및 단위전지 배열
    [ 그림 3- 4] 일체형 1 층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5] 분리형 및 일체형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7] 에서 전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개발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 본 모
    [ 그림 3- 6]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성능 평가 장치 ; (a) 가열로 및 가스조절 장치 , (b) 공급가
    [ 그림 3- 7] 500W 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개발 모식도
    [ 그림 3- 8]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파괴사진 ; (a) cross-flow 스택 유리 밀봉재 파괴 사진 (b
    [ 그림 3- 9] 브레이 징 cap 과 세라믹 단위전지 접합 형태
    [ 그림 3- 10] 브레이 징법을 이 용한 평관형 단위전지와 원통형 단위전지 용접 실험
    [ 그림 3- 11] 브레이 징 용접을 통하여 제조한 단위전지
    [ 그림 3- 12] 브레이 징법으로 용접한 단위전지 가스누출 시험
    [ 그림 3- 13] 브레이 징법에 의한 용접된 단위전지의 용접 부위 단면 사진
    [ 그림 3- 14] 브레이 징을 이 용한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메니폴드 설계도
    [ 그림 3- 15] 설계한 메니폴드를 U-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6] U-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20] 에는 브레이 징법을 통하여 가스 밀봉한 세라믹 연료전지 단위전지에 대한 성
    [ 그림 3- 17] 설계한 메니 폴드를 Z-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8] Z-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19] 브레이 징을 이 용한 병렬 식 500W 스택구성 개념도 및 구성품
    [ 그림 3- 20] 브레이 징을 이 용한 세라믹 연료전지의 성능곡선
    [ 그림 3- 21]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셀 . (a) 전해질 코팅후 , (b) 공기극 코팅후
    [ 그림 1-1]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구조 및 작동 원리
    [ 그림 2-1] 입 자크기 , 조성 및 기공율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극 구조의 모식도
    [ 그림 3-1] (a) 4-probe 법에 의한 전도도 측정 모식도 및
    [ 그림 3-2] 반복 열충격시험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3] 고온 장기 환원시험의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4] 분무열분해법에 의한 LSC 공기극 소재 합성공정도
    [ 그림 3-5] 분무열분해에 의한 분말합성공정 모식도
    [ 그림 3-6] 산소투과특성 평가장치의 모식도
    [ 그림 3-7] 압출성 형 기 및 압출성 형 공정
    [ 그림 3-8] NiO-YSZ 연료극소재의 압출성 형 을 위 한 몰드
    [ 그림 4-2] 는 각각 Y O 의 첨 가량이 8 mol% 와 10 mol% 인 NiO-YSZ 소결체의 파단면
    [ 그림 4-1] Y O 가 각각 8 mol% 와 10 mol% 치환되고 , 기공형성제로 활성탄이 첨 가된
    [ 그림 4-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a) Y O 함량 8 mol%, 소결온??진 : (a) 활성탄 (activated carbon);
    [ 그림 4-4] 10 mol% 의 Y O 가 첨 가되고 서로 다른 기공형성제를 갖는 NiO-YSZ
    [ 그림 4-5] 에는 다른 종류의 기공형성제를 첨 가하여 1400 C 에서 제조된 연료극 소결체의
    [ 그림 4-5] 기공형성제를 달리하여 1400 ℃ 에서 제조된 NiO-YSZ 소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 그림 4-6] 압출공정으로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기공분포 , (a) 8Y-AC 환원 전 ,
    [ 그림 4-7] ZrO 의 일부를 Zr(OH) 또는 ZrO(NO ) . xH O 로 대체한
    [ 그림 4-8] 다른 크기의 원료분말 (ZrO ) 을 이 용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강도 변화
    [ 그림 4-9] 다른 크기의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 1400 C 에서 소결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
    [ 그림 4-10] NiO-YSZ 연료극의 기공율에 따른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1] NiO-YSZ 연료극소재의 작동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
    [ 그림 4-12] 800 ℃ , 4%H -Ar 분위기에서 측정한 , 시간에 따른 Ni-YSZ
    [ 그림 4-13] Y O -ZrO 의 상평형도
    [ 그림 4-14] 반복 열충격 싸이 클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5] 고온의 환원분위기하에서 유지시간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 그림 4-17] 은 비산화물계 출발물질인 Co(NO ) . 6H O 의 열분석 거동곡선으로서 , 3 단계의
    [ 그림 4-16] SrC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7] Co(NO ) . 6H 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8] LSCF 합성분말의 열분석 곡선
    [ 그림 4-19] 600, 800, 및 1000 ℃ 에서 열처리된 LSCF 혼합분말의 XRD
    [ 그림 4-20]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한 LaSrCoO 분말의 합성온도에 따른 XRD
    [ 그림 4-21]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2]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3] 분무열분해법으로 합성한 후 , 스크린프린팅한 LaSrCoO 분말의 SEM 사진 :
    [ 그림 4-24] LSCF 공기극 소재 소결체의 소결온도에 따른 미세구조
    [ 그림 4-25] 유지시간에 따른 LSCF 소결체의 (a) 파괴강도와 (b) 파괴인성 및 경도 변화
    [ 그림 4-26] 온도와 산소분압에 따른 LSCF 소결체의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27] 소결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LSCF 공기극소재의 온도에 따른
    [ 그림 4-28]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후의 미세구조 : (a) Ni-SDC; (b) Ni-GD
    [ 그림 4-29]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전후의 기공율 변화
    [ 그림 4-30] Ni-SDC 및 Ni-YSZ 의 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31] 에 합성된 LSGM 분말의 미세구조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 열처리 온도에 따른
    [ 그림 4-31] LSGM 합성분말의 SEM 사진
    [ 그림 4-32] 소결온도에 따른 LSGM 합성분말의 XRD
    [ 그림 4-33] (a) NiO-YSZ 및 NiO-SDC 연료극 원통형 지지체의 외관 ; (b) NiO-YSZ
    [ 그림 4-34] 장경비가 큰 LSCF 소재의 공기극 압출성형체
    [ 그림 2-1] Flat-tube SOFC stack design (2 × 2 cells)
    [ 그림 2-2] 은 2 × 2 stack 중 2 개의 cells 로 구성된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 그림 2-2] Computation domain for anode manifold (2 cells)
    [ 그림 2-3] 는 속도분포와 압력분포를 보여준다 .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 대부분의 연료전지
    [ 그림 2-3] Velocity distribution & Pressure distribution at anod
    [ 그림 2-4] Flow rate at each section in anode manifold
    [ 그림 2-5] 는 2 × 2 cells 로 구성된 cathode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주고 있
    [ 그림 2-5] Computation domain for cathode manifold
    [ 그림 2-5] 를 보면 하나의 입 구에서 공기가 들어와 첫 번째 20 개의 분배관으로 분배된 후
    [ 그림 2-6] 에서는 속도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분의 속도가
    [ 그림 2-9] 은 수정된 분배관으로부터 interconnect 유로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나타
    [ 그림 2-6] Velocity distribution at cathode manifold
    [ 그림 2-7]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at in
    [ 그림 2-8] The design of distributor of cathode manifold
    [ 그림 2-9]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 그림 2-12] 및 [ 그림 2-13] 은 압력별 공기 측 연료측의 유동 분포를 나타낸다 .
    [ 그림 2-10] 유동 simulator 구조 [ 그림 2-11] 유동 실험장치 및 실험장면
    [ 그림 2-12] 공기측 유동 분포
    [ 그림 2-13] 연료측 유동문포
    [ 그림 2-12], [ 그림 2-13] 에서 볼때 운전 조건에서 압력 (1-3 기압 ) 범위에서 약 5-25%
    [ 그림 2-14] Schematic diagram of SOFC
    [ 그림 2-15] 는 실제 실험데이 터를 토대로 연료극 활성화 과전압과 공기극 활성화 과전압으
    [ 그림 2-15] Decomposition of operating voltage
    [ 그림 2-16] 은 표본 실험 데이터 (0.82386[V], 2040[A/ ㎡ ]) 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나
    [ 그림 2-16] Error w.r.t. weighting factor( α ) (0.82386[V], 2040
    [ 그림 2-17] Flat-tube SOFC
    [ 그림 2-18] Comparison of 3-component conductivity
    [ 그림 2-18] 에서 알 수 있듯이 연료극 지지체식 flat-tube 형 SOFC 의 특성은 다른 두 가지
    [ 그림 2-19]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deviation
    [ 그림 2-20] Computational scheme
    [ 그림 2-22] Geometry of unit cell and grid generation
    [ 그림 2-23] 에서 보듯이 연료 유로와 공기 유로에서 완전 발달된 유동을 보이 며 다공성 매
    [ 그림 2-23] Velocity distribution in unit cell
    [ 그림 2-24] 에서는 각 전극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 반응층에서의 열생성으로 인
    [ 그림 2-24] Temperature distribution in unit cell ( left : catho
    [ 그림 2-25] 에서는 화학종들에 관한 질량분율에 대해 나타내었다 . 연료 반응층에서 수소의
    [ 그림 2-25] Concentration(mass-fraction) distribution in unit ce
    [ 그림 2-26]( 위쪽 ) 은 단위전지의 작동전압을 달리하여 각각의 전류밀도를 유동방향에 관해
    [ 그림 2-26] Current density & Concentration distribution w.r.t.
    [ 그림 2-26]( 아래쪽 ) 에서는 anode 와 cathode 의 반응층내에서의 반응물들의 질량 분율 ( 수
    [ 그림 2-27] Specification & Computation domain of flat-tube SOFC
    [ 그림 2-28] (a) 에서는 속도 분포에 대해 나타내었다 . 보는 바와 같이 유동이 다공성 매질층
    [ 그림 2-28](b) 에서는 단위전지의 전극표면에서의 3 차원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입 구 온
    [ 그림 2-28] (c) 와 (d) 에서는 유동방향으로 화학종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 공기극의
    [ 그림 2-29] 는 전극표면에서의 평형기전력 (=Nernst potential) 과 과전압 손실 및 내부저항
    [ 그림 2-29] 에서는 활성화 손실이 유동방향에 대해 감소하는 데 , 이 는 온도의 변화에 활성
    [ 그림 2-30] 는 유동방향으로의 국부적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영 역 에서 가장 높은
    [ 그림 2-28] The characteristics in flat-tube SOFC
    [ 그림 2-32] 은 각각의 voltage 에 따른 전력밀도와 효율을 나타내었다 . 작동전압이 낮을수
    [ 그림 2-31]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along the flow directio
    [ 그림 2-32] Power density & Efficiency w.r.t. operating voltage
    [ 그림 2-33] Polarization curv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 그림 2-34] (a) 는 유입 가스 온도 변화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 유입 가
    [ 그림 2-34] (e) 는 유동방향에 따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가스의 온도가 상승함에
    [ 그림 2-34](f) 는 유입 가스온도에 대한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입 가스온도가 상승
    [ 그림 2-34]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inlet gas tem
    [ 그림 2-35](a) 는 유량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면서 내부
    [ 그림 2-35] (f) 는 반응가스의 유량에 따른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
    [ 그림 2-35]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volume flow r
    [ 그림 2-36](a) 는 유동방향에 대한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 길이 가 길어짐에 따라 온도가 상
    [ 그림 2-36]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channel lengt
    [ 그림 3-1] SOFC 시스템의 기본 설계
    [ 그림 3-2] SOFC 스택의 개략도
    [ 그림 3-3] 당량비와 개질기의 온도에 따른
    [ 그림 3-4] Case 1 의 운전 조건에 따른 시스템 구성요소의 온도
    [ 그림 3-5] 연료와 공기의 다단 예열을 이용한 시스템
    [ 그림 3-1], [ 그림 3-4] 와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였고 [ 그림 3-5] 와 같
    [ 그림 3-6] 가정용 열 . 전기 발생용 SOFC RPG 설계
    [ 그림 3-1] 의 기본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열 (exhaust) 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 그림
    [ 그림 4-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전동 카의 구성도
    [ 그림 4-2] 연료전지 스택
    [ 그림 4-3]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곡선
    [ 그림 4-4] 는 본 연구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 다 .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4] 연료전지 제어 시스템 구성도
    [ 그림 4-5] 연료전지 공기 유량 제어
    [ 그림 4-6] 연료전지 스택 수소
    [ 그림 4-7]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8] 연료전지 시스템 순차
    [ 그림 4-7] 은 연료전지 시스템 , 제어기등의 실험 장치이 며 , [ 그림 4-8] 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 그림 4-10]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 그림 4-9] ANN 축전지 SoC 계산 방
    [ 그림 4-10] 은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출력 결과 이다 . 이결과는 연료전지 제어기의 제어량
    [ 그림 4-1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 그림 4-12] 부하제어 결과
    [ 그림 4-13] 전동카트의 주행 시험 특성
    [ 그림 4-14] 연료전지 축전지 시스템 차량 장착 장면
    [ 그림 4-15] 연료전지 하이 브리드 자동차 실차 테스트 결과 샘플
    표목차
    < 표 1- 1> 몇 가지 전극반응에 대한 열역 학적 data 와 열역 학적 효율 [1]
    < 표 2-1> SOFC 연료극 소재의 연구개발동향
    < 표 2-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공기극 소재 개발동향
    < 표 2-3> 에는 미국 NETL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에서
    < 표 2-3> SOFC 단전지 및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개발 동향
    < 표 3-1> NiO-YSZ 및 NiO-SDC 계 연료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3-2> LSCF 공기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4-1> NiO-YSZ 연료극 소재의 소결수축율
    < 표 4-1> 의 소결수축율 결과에서 , 활성탄이 첨 가된 10Y-AC 와 카본블랙이 첨 가된 10Y-CB
    < 표 4-2> SOFC 연료극을 위한 NiO-YSZ 및 NiO-SDC 원통형 지지체의 특성
    < 표 2-1> Flat-tube SOFC stack operating condition
    < 표 2-2> The comparison of theoretical OCV with experimental OC
    < 표 2-4> Specifica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2-5> Operating condi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3-1> SOFC 시스템의 운전 조건
    < 표 3-2> SOFC 시스템의 조건에 따른 운전 성능
    < 표 3-3> 가정용 SOFC 시스템의 출력과 효율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2.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가 . 보급보조사업
    나 . 융자지원사업
    다 . 태양광주택 보급사업
    제 2 장
    Ⅰ . 태 양 열
    제 1 장 . 집열기 설치대의 공사
    1. 일반사항
    (1) 집열기 설치대는 건물의 구조에 집열기의 설계하중을 고려한다 .
    (2) 설치대 기초나 배관설치로 인한 빗물의 누수가 없도록 설계 시점부터 건축공사 및 기
    (3) 외기에 노출되는 집열기 틀 및 지지대는 부식과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4) 집열기 설치는 다른 구조체가 풍하중 또는 설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5) 지상에 설치되는 집열기는 지면으로부터 최소한 300 ㎜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게 한다 .
    (6) 설치대의 제작은 치수를 정확하게 하고 또한 수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정확하지
    2. 하중 및 외력과 안전성의 확인
    (1) 하중 및 외력과 안전성의 확인
    (2) 하중 및 외력에 의한 응력의 조합
    3. 압축재 및 기둥재
    (1) 사용재에 압축력 또는 휨에 의한 면내 압축력을 발생시킬 경우는 , 국부 좌굴을 고려
    (2) 압축재의 허용 압축 응력도는 세장비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
    (3) 압축재의 좌굴 길이는 구면 내 좌굴에 대해서는 절점간 거리를 좌굴 길이로 한다 .
    (4) 압축재의 세장비는 250 이하로 한다 .
    4. 휨재 및 보재
    (1) 휨재에 작용하는 허용 휨 응력도는 좌굴의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2) 보의 단면계수는 단면의 인장측 볼트 또는 고력 볼트의 구멍을 뺀 단면에 대하여 산
    5. 인장재
    (1) 인장재에 볼트 또는 고력 볼트 등에 의한 구멍이 있는 경우는 연결 시 예상되는 각종
    (2) 조립 인장재에서 2 개 이상의 형강을 조합하는 경우는 그것을 접합하는 볼트 , 고력 볼
    (3) 봉강은 경미한 인장재에 한해 사용할 수 있다 . 턴버클 (Turn Buckle) 을 사용한 경우의
    (4) ㄱ 형강 , ㄷ형강 등이 설치대의 한쪽에만 설치되는 경우는 편심의 영향을 고려하며 , 그
    6. 접합
    (1) 접합부는 접합되는 부재의 존재 응력을 완전히 전달하도록 설계한다 .
    (2) 구조상 주요한 부재의 접합재는 볼트 및 고력 볼트 접합으로 할 때 최소 2 개 이상 배
    (3) 축 방향력을 받는 2 개 이상의 부재를 접합할 때는 각재의 중심축이 한 점에 모이도록
    (4) 한 접합부에 2 종류 이상의 용접을 병용할 때는 각 용접의 허용력에 따라 응력을 분
    7. 설치대 기초
    (1) 주각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 주각의 전단력을 앵커 볼?응력을 하부구조로 균등하게 전달시켜야 하나 , 하부구조의 기능 ( 예를
    제 2 장 . 집 열 기 설 치 공 사
    1. 향 (Orientation) 및 경사각
    (1) 설치 방위각은 정남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상 부득이한 경우 동 . 서로 30 도의 변
    (2) 집열기 설치 경사각은 용도별로 다음을 기준으로 하되 현장 여건이나 기타 특별한 이
    (3) 단일진공관식 집열기와 같이 흡수판의 각도를 조정 가능한 경우 집열기의 경사각은
    2. 집열기 배열의 주의사항
    (1) 동일 성능 ( 동일한 집열기 ) 의 집열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집열기를 통과하는 열매체
    (2) 성능이 다른 집열기 ( 다른 형태의 집열기 ) 는 종류별로 열매체의 유량이 같지 않아도
    (3) 집열회로내 공기가 차지 않도록 최상단부까지 공급배관은 상향 , 환수 배관은 하향 설
    (4) 자동배수식 집열회로는 동파될 조건에서 외기에 노출되는 ( 비 난방구간 ) 전회로 내의
    (5) 그늘이 지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 배치한다 .
    (6) 집열기 배열
    3. 집열기의 설치
    (1) 집열기 설치 시에 집열기의 가장자리는 밟지 않는다 .
    (2) 집열기의 청소 및 보수에 편리한 공간을 확보하거나 이를 위한 이동식 사다리를 설치
    (3) 집열기를 지붕 일체식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집열기와 지붕면의 접촉부위가 빗물이나
    (4) 집열기를 크레인에 매다는 경우 , 로프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판을 넣는다 .
    (5) 결로 방지용 배수구 등으로 인해 집열기의 상ㆍ 하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확인하여 설
    (6) 집열기는 방수에 특히 신경을 써서 제작되므로 투과체를 분리하거나 장식쇠 등의 구
    (7) 집열기는 강풍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집열기 설치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며 ,
    (8) 집열기 연결 배관은 제작업체의 접속 부품이 있으므로 가능한 표준 품을 채택한다 .
    (9) 히트파이프를 열전달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집열기 ( 예 ; 단일 진공관식 ) 는 열매체를
    제 3 장 . 축 열 조 설 치 공 사
    (1) 축열조의 구조체가 철근콘크리트인 경우는 건축공사에 포함되고 , STEEL 및 FRP 탱
    (2) 운반 및 기계실 반입 이 곤란하여 현장 조립이 부득이한 경우에는 이를 입 찰서 상에
    (3) 축열조는 방수처리를 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한다 ( 수압시험 수행 ).
    (4) 축열조에 연결되는 모든 배관의 입ㆍ 출구에는 축열매체의 온도성층화를 위한 디퓨져
    (5) 축열조 제작이 완료되면 물을 채워 24 시간 방치시킨 후 수압시험과 , 누수 및 변형 여
    (1) 축열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옥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
    (2) 부득이하게 외부에 설치하여야 할 경우 바닥은 콘크리트 패드를 치고 , 반드시 단열 (5
    (3) 축열조 주변은 450 ㎜이상의 점검 공간을 확보한다 .
    (4) 집열기와 축열조 , 축열조와 급탕 시설과의 배관연결이 가능한 한 짧은 장소를 선정한
    (5) 통기구나 over flow 에서는 다량의 습기가 나오므로 기계실 등에 습기를 꺼리는 기기
    (6) 축열조 배수 시 필요한 배수구가 반드시 근처에 있어야 한다 .
    제 4 장 . 배 관 공 사
    1. 일반사항
    (1) 태양열시스템의 운전 중에 어떠한 조건에서나 시수 주관으로 오염되거나 불결한 시스
    (2) 시수관을 하수관에 연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연결된 두 배관의 직경정도의 공기
    (3) 태양열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에 있어서 비 음료수관은 식수로 마시거나 이용하지 못
    (4) 배관 루프 내에서 어떤 이종 재료간의 결합부에도 모두 절연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
    2. 배관재료
    2.1 집열부
    2.2 이음쇠
    3. 밸브류
    (1) 밸브류는 50A 이하는 나사 접속형으로 하고 65A 이상은 플랜지 접속형으로 하는 것
    (2) 태양열 시스템 , 특히 집열부에 사용되는 밸브는 볼밸브 보다는 게이트 밸브를 사용하
    (3) 모든 밸브는 -10 ~ 95 ℃ 온도범위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 .
    (4) 전동밸브 설치
    (5) 안전밸브
    (6) 역지밸브 (Check Valve)
    (7) 글로브밸브 : 글로브밸브의 사용은 청동제 KS B 2301(10 ㎏ / ㎠ ), 주철제 KS B
    (8) 볼밸브 : 황동제 KS B 2308(10 ㎏ / ㎠ ) 에 준한다 .
    (9) 스트레이너 : 접속배관 구경과 같은 크기로 하며 Y-type 을 사용한다 .
    (10) 압력계 : 압력계는 규격품으로서 눈금판의 외경은 100 ㎜ , 콕크가 붙어 있는 것으로
    (11) 온도계 : L 형 또는 바이메탈식을 사용하며 , 원형 바이메탈식은 그 직경이 100 ㎜로
    (12) 실리콘 콤파운드 : 나사 배관용 접합에 사용하는 재질로서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 수
    (13) 볼트 , 너트 : 사용압력 10 ㎏ / ㎠ 이상의 배관기종 헤더 및 열교환기류에는 반드시 고
    (14) 공기분리기
    (15) 자동 배기밸브
    4. 시공
    4.1 관의 접합
    4.2 관의 분기 및 구조물 관통
    4.3 관의지지
    4.4 집열배관공사
    4.5 축열조 배관공사
    4.6 배관 부속품
    4.7 감지기 및 검출기 취부구의 사용
    제 5 장 . 기 타 구 성 품 설 치 공 사
    1. 판형열교환기 설치
    (1) 가능하면 열교환기의 유로를 보호하고 열교환기 오염을 최소화 하도록 열교환기의 입
    (2) 배관작업 수행 후 배관 세척 (Flushing) 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때 열교환기 입 구 측의
    (3) 열교환기의 분해 청소가 용이하도록 열교환기의 양측에 충분한 작업공간 (1m 전후 ) 을
    (4) 가능한 한 판형 열교환기 운전 , 보수 매뉴얼을 제출하고 운전자에게 교육을 실시하여
    (5) 동절기의 야간 또는 흐린 날 집열회로의 자연대류 현상으로 인한 집열 열교환기의 동
    (6) 열교환기의 성능 및 작동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온도계와 압력계를 공급 및 환수관
    (7) 열교환기의 내면은 열매체를 주입 하기 이전에 물로 씻어내어 청결하게 한다 .
    2. 집열 및 축열순환펌프 설치
    (1) 대용량의 펌프설치용 기초 ( 베드 ) 는 윗면 주위에 배수 홈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호칭지
    (2) 대용량의 펌프와 전동기는 동일 베드 상에 수평으로 견고히 고정하고 , 스프링 , 방진
    (3) 도면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 따라 기초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수평을 정밀 조정하여야
    (4) 각 배관 시 그 하중이 장비류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
    (5) 펌프모터 하우징에는 토출측 압력게이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
    (6) 펌프 토출측에는 역지밸브 (Check Valve) 를 설치한다 .
    (7) 외부의 방청 도장은 미리 하여야 하며 벗겨진 부분이 없어야 한다 .
    (8) 원심식? .
    (9) 펌프는 집열회로의 공급 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
    (10) 펌프는 언제나 작동이 용이하도록 열매체가 차 있어야 한다 .
    (11) 모터 하우징은 절대로 보온해서는 안 된다 .
    (12) 밀폐회로에서는 펌프의 흡입구 측에 황동 및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여과기가 설치되
    (13) 개방식 회로에서는 펌프의 작동을 위한 적정한 흡입 양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
    3. 팽창탱크 설치
    (1) 팽창탱크는 온도변화에 의한 열매체의 유출방지 및 허용압력 유지를 위하여 격리된
    (2) 아연도 재질로 된 팽창탱크는 글리콜 용액에 사용 되서는 안 된다 .
    (3) 팽창 탱크는 펌프의 입구 측에 연결되어야 하며 , 가능한 한 펌프에 가까게 위치되도
    4. 보충수 탱크 설치
    (1) 부동액 보충탱크는 자체 하중 및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견고한 구조 위에
    (2) 탱크에 부착된 기기 또는 밸브들은 교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
    (3) 부동액을 보충할 때나 주입 할 때 사용하는 가압 펌프를 설치조건
    (1) 열전도율이 작을 것 ( 열전도율이 65.5 ℃에서 0.04W/m. ℃보다 작을 것 )
    (2) 최대 작동 허용온도에서 견딜 수 있을 것
    (3) 경년 변화가 적을 것 ( 옥외용으로 강우 , 태양광 , 그리고 통상적인 사람의 접촉에 견딜
    (4) 흡습성이 적을 것
    (5) 불연성인 재료가 바람직함
    2. 보온재료
    (1) 보온재로는 발포폴리스틸렌 , 압출발포폴리스틸렌 , 경질우레탄폼 , 암면 , 고무발포 , 유리
    (2) 축열조의 보온재는 전열저항 , 투습저항이 크고 , 고습도하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
    (3) 배관 보온재의 허용온도는 작동 최대온도보다 높아야 하며 , 최대 작동온도보다 20 ℃
    (4) 외기에 노출되는 보온 부는 내후성 및 동물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보온카바로
    3. 보온재의 두께
    (1) 배관의 보온은 최대 열손실이 25W/m(21.5 ㎉ /hr.m) 이하로 하되 최소 두께는 옥내는
    (2) 축열조의 보온재 두께는 열손실율이 30.49W/ ㎡ (26.22 ㎉ /hr. ㎡ )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4. 보온재의 시공
    4.1 일반사항
    4.2 축열조
    4.3 배관 및 기타
    제 7 장 . 자 동 제 어 및 전 기 공 사
    1. 일반사항
    (1) 모든 운전은 완전자동 및 수동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
    (2) 중대형에서는 작동 감시기능 ( 경고장치 ) 이 있는 것이 추천된다 .
    (3) 모든 계측기들은 적정하게 접지되어야 하며 , 시험 및 교체 시에 쉽게 분리할 수 있어
    (4) 동력반 및 무인 운전반은 자립 형으로 하고 문에는 잠금 장치를 하여야 한다 .
    (5) 제어설비 및 계측기류는 태양열 설비를 고효율로 운전할 수 있는 설비로 구성하여야
    (6) 제어 케이블은 차폐케이블 (CVVS) 을 사용하여야 한다 .
    (7) 펌프 전동기에는 적정 용량의 진상 콘덴서를 부착하여야 한다 .
    (8) 퓨즈는 규격별로 1 개의 예비 퓨즈를 납품하여야 한다 .
    (9) 전기공사는 전기 사업법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 " 에 준하여야 한다 .
    2. 차온 제어장치
    (1) 승인 또는 검증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
    (2) 접속단자의 결선은 결선도에 따르고 압착단자 , 또는 포크단자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3) 전원전압은 전압변동 , 노이즈 , 서지 (surge) 등이 지극히 적은 장소에서 사용한다 .
    (4) 센서는 검출온도 오차가 적은 것을 선택한다 ( ± 1 ℃ 미만 ).
    (5) 여름철에 집열기가 정지상태일 때 200 ℃ 근처까지 승온하는 수가 있으므로 고온 센서
    (6) 정전 시에 동결방지 Heater, 전자밸브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별도의 대책을 세운다 .
    (7) 차온제어장치의 주위온도는 -10 ~ 49 ℃ 안에 있어야 한다 .
    (8) 축열조에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 센서 끝이 축열조 내 수중으로 50 ㎜ 이상 삽입한다 .
    (9) 정상적으로 설계된 태양열 시스템의 ON/OFF 온도차는 11 ℃ /4 ℃ 가 추천할 만한 설정
    (10) 과열방지를 위한 축열조 과열온도는 보통 70 ~ 95 ℃ 범위에서 설정한다 .
    3. 제어반
    (1) 가능한 한 실내에 설치하되 보기 쉬운 곳에 지상 1.5m 정도 높이에 설치한다 .
    (2) 고온 , 다습한 장소는 피한다 .
    (3) 옥외 판은 반드시 열쇠를 채워 관련자 이외에는 조작을 못하도록 한다 .
    (4) 보일러실 내의 설치는 버너나 연도에서 2.5m 이상 떨어진 환기가 좋고 고온이 아닌 장
    (5) 벽면의 설치는 앙카 볼트로 취부 한다 .
    (6) 제어반은 내선규정에 의해 반드시 접지를 잡는다 .
    (7) 무인운전반은 별도 자립 형으로 하고 , 문에는 잠금 장치를 하여야 한다 .
    (8) 모든 계측기 , 제어기 및 스위치들은 반내에 유효하게 접지되어야 하며 , 시험 및 교체
    (9) 태양열시스템 각 기기의 운전상태 및 이상상태 표시등을 설치하여 , 각 장비의 상태를
    (10) 중대형 시스템의 제어장치에는 아래 주요부의 온도를 항시 나타내도록 , 각각의 디지
    (11) 모든 운전은 완전자동 , 운전모드별 자동 및 각 개별기기의 수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12) 정전에 대비하여 정전 복구시 조작자의 별도 조작 없이 미리 일련의 복귀 프로그램
    (13) 실내 온도조절기는 실내의 평균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
    (14) 집열기와 축열조의 온도 감지기는 외부의 조건에 의한 영향을 가능한한 없도록 하여
    4. 축열 및 부하운전
    (1) 축열운전 : 태양이 있는 주간에 차온제어에 의해 축열운전이 되어야 한다 .
    (2) 부하운전 : 부하운전은 난방 및 급탕부하가 있을 때 운전될 수 있어야 한다 .
    5. 구성부품의 제어장치 구비 상세
    5.1 집열기 :
    5.2 축열조
    5.3 자동밸브
    6. 기타 기능
    (1) 모든 장비는 , 최대한 유지 보수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
    (2) 센서 보호
    (3) 센서선 보호
    (4) 센서 설치
    제 8 장 . 시 스 템 의 세 척 , 압 력 시 험 및 시 운 전
    1. 시스템의 세척
    (1) 집열기 , 펌프 , 열 교환기 , 축열조 등의 구성품을 설치 전에 세척한다 .
    (2) 시스템 배관 작업이 끝나면 압력시험 전에 시스템을 세척한다 .
    2. 압력 시험
    (1) 시스템의 보온시공 전에 모든 압력 및 누설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
    (2) 압력시험에 사용하는 유체는 물을 사용하고 이 물질의 침입 이 없는 상태에서 행하여
    (3) 압력시험은 작동압의 1.5 배로 한다 .
    (4) 글리콜과 오일 등은 물이 누설되지 않더라도 누설될 염려가 있으므로 최종 압력시험
    (5) 배기밸브 , 안전밸브 및 기타의 기기들은 압력시험 중에 손상을 입 을 우려가 있으므로
    (6) 모든 누설은 수리된 다음 , 재 누설 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
    (7) 압력시험은 일사량이 없을 때에 수행한다 .
    (8) 압력 측정에 사용하는 압력계는 감리자의 확인 후 설치한다 .
    (9) 편의상 전 기기에 대하여 연결배관을 한 후 동시에 압력 시험을 할 수 있다 .
    (10) 압력시험은 감독관의 입 회하에 실시하여야 한다 .
    (11) 최소한 30 분 이상 시험 압력을 유지하고 모든 연결 부위와 구성요소를 시험한다 .
    3. 시운전
    3.1 제한사항
    3.2 점검과 시운전
    부록
    그림목차
    [ 그림 2- 1] 집열기 설치도
    [ 그림 3- 1] 축열조의 기초
    [ 그림 4- 1] 추천되는 자동배수 배관 연결
    [ 그림 4- 2] Reverse return 방식
    [ 그림 4- 3] 헤더관 사용의 역회수
    [ 그림 4- 6] 온도센서
    [ 그림 4- 7] over flow 관은 단독으로 설치
    [ 그림 6- 1] 콘크리트나 사각 탱크의
    [ 그림 2-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
    [ 그림 2-2] 에 이 들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
    [ 그림 2-2] 태양전지의 구성 ( 셀 , 모듈 , 어레이 )
    [ 그림 2-3] 태양전지의 종류
    [ 그림 2-4] 결정계 실리콘태양전지의 구조 및 원리
    [ 그림 2-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분류 예
    [ 그림 2-6] 역조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7] 역조류 없는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8] 교체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9] 독립형 시스템 구성도
    [ 그림 3-1] 태양광발전시스템 설계 . 계획의 흐름도
    [ 그림 3-2] 에는 가대설치식인 경우의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설치공사의 흐름
    [ 그림 3-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설치공사의 흐름도
    [ 그림 4-1] 공사설명서 작성 예
    [ 그림 1- 1] 풍력발전기 지지물의 구조 예
    [ 그림 2-1] 금매김
    표목차
    < 표 2- 1> 지역별 집열기 설치 높이 (H) 에 따른 간격 (L) ( 단위 : m)
    < 표 2- 2> 그늘이 지지 않기 위한 지역별 태양입 사각 ( θ )
    < 표 6- 1> 배관 경에 따른 보온 두께 ( 옥외 )
    < 표 2-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주요 구성기기 . 장치
    < 표 2-2> 각종 태양전지 시장에 대한 카달로그값
    < 표 2-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방재이 용 방법
    < 표 3-1> 법률에 의한 규정 , 가이 드라인과 관계하는 유의사항
    < 표 3-2> 에 태양전지어레이 의 설치장소 , 고정방법 ( 설치방식 ) 에 관한 보기를 나타내었
    < 표 3-2> 태양전지 어레이 의 설치장소 , 고정방법에 관한 분류보기
    < 표 3-3> 태양전지어레이 의 설치방식
    < 표 3-4>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특징
    < 표 3-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준공시험 항목 예
    < 표 3-6> 에 태양전지 어레이 에 관한 자주 . 법정점검의 내용의 보기를 기술하였다 .
    < 표 3-6> 태양전지 어레이 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7> 파워 컨디션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8> 연계보호장치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9> 축전지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10> 지금까지 발생한 문제점과 대처방법
    < 표 6-1> 의「 건축설비기술기준」 에 만족하도록 설계 및 설치 . 시공해야 할 것 .
    < 표 6-2> 의 「 전기설비의 기술기준 및 내선규정」 에 준하여 설치할 것 .
    < 표 6-1> 주택용 태양광시스템 설비 설치시공 관련 건축법 및 시행령
    < 표 6-2> 태양광시스템 설치시공 관련 전기설비기준기술
    < 표 6-3> 태양광시스템 설치시공 관련 소방법 관련 조항
    < 표 1-1> 접지공사의 종류 및 접지 저항치
    < 표 1-2> 일반용 접지선의 크기
    < 표 1-3> 가동성 접지선의 종류 및 단면적
    < 표 2-1> 도입 장력 측정값의 평균값 범위
    < 표 2-2> 고력볼트의 조임
    < 표 2-3> 1 차조임 토크값
    < 표 3-1> 접지저항치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2.2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품부 (AAFC)
    4. 캐나다 환경부 (EC)
    5. 해양수산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추진일정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
    2. 두 고분자 센서 모두 열손상 온도가 증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EMAT 분야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분야
    제 3 절 초소형 음향방출 센서기술
    제 4 절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1. 서 론
    2. EMAT 의 초음파 송수신 원리
    3. 배관 결함 탐상용 EMAT 를 이용한 결함 탐지 기술
    4. 고 출력 펄서 & 리시버 개발
    5. 국내 석유화학설비에의 현장 적용화 실험
    6. 결 론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개발
    1. 서 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의 기초
    3.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
    4. 결 론
    제 3 절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1. 서론
    2. PZT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 제작
    3. 고분자 압전재료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제작
    4. PZT 박막 증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및 평가
    5. 집적화된 초소형 AE 신호증폭기 제작 및 성능평가
    6. 결 론
    제 4 절 전자기법 비파괴 센싱 기술 개발
    1. 서 론
    2. Capacitive probe 를 적용한 코팅관의 검사기술
    3. 자속 변화 감지 센서를 적용한 wire rope 검사 기술
    4. 펄스 와전류 검사 기술 개발
    5. 현장 적용시험
    6.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4. 전자기법 센싱기술 개발
    제 2 절 대외기여도
    1. EMAT 센서기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기술
    4.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1.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 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가 . 전기화학적 효율
    나 . 열가치 효율 및 시스템 효율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1. 연료극 지지체 구조 개선을 통한 세라믹 연료전지 성능개선
    2.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제 2 절 세라믹 연료전지 구성 요소 개발
    1. 금속 / 전도성 세라믹 코팅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재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설계 및 구성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조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SOFC 전극의 개요 및 연구개발 동향
    제 2 절 SOFC 전극의 내구성
    제 3 장 연구방법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4 장 연구결과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5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1 .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① SOFC 의 작동온도가 높기 때문에 전극 반응이 빠르다 . 따라서 전극에서 촉매제는 필요하
    ② SOFC 는 CO 오염의 문제가 없다 . 사실상 CO 는 SOFC 에서 직접 연료로 사용된다 . SOFC 는
    ③ SOFC 는 다양한 연료를 이 용할 수 있다 . 수소뿐만 아니라 석탄 , 공장 , 그 밖의 가능성으로
    ④ SOFC 는 유용한 고온을 방출하므로 열은 폐열발전이 나 기본 사이 클로 사용하기에 적당하
    ⑤ SOFC 전해질이 고체이 므로 전해질손실과 조성변화를 막기 위한 전해질운영 은 문제가 되
    ⑥ 모두 고체 상태이 므로 SOFC 는 액체전해질을 갖는 연료전지에서 불가능한 기하학적 형태
    ⑦ SOFC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 전지 구성요소는 내부저항손
    제 2 절 세라믹 연료전지 구성 요소 개발
    1 . 금속 / 전도성 세라믹 코팅 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제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구성 및 제작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작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참고문헌
    그림목차
    [ 그림 1- 1] 에서 전류가 증가하면서 선형으로 나타남에 따라 저항 분극 또는 옴믹 손실이 우
    [ 그림 1- 1] 작동하는 연료전지에서의 전형적인 전압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1- 2] 연료전지에서 전형적인 전력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2- 1] Westinghouse 의 평관형 지지체의 골격 구조에 따른 전류흐름 분석 [5]
    [ 그림 2- 2] 원통형과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의 이 론적 성능곡선의 비교 [5]
    [ 그림 2- 3] 연료극 지지체 구조 변경 사진 ; ①개선 전 ②개선 후
    [ 그림 2- 4] 연료극 지지체의 운전온도에서 압축 강도 시험
    [ 그림 2- 5] 연료극 지지체 유로 형상 개선 ; ①개선 전 구조파괴 형상 ②개선 후 연료극 유로
    [ 그림 2- 6] 연료극 다기능성 막 코팅 ; ①다기능성 막 코팅 SEM 사진 ② 습식 코팅횟수 증
    [ 그림 2- 7] 에서 연료극 다기능성 박막을 도입 한 단위전지와 기존의 단위전지와의 성능을
    [ 그림 2- 7] 연료극 기능성 막에 따른 단전지 성능 비교 ; ①기존의 단전지 , ②연료극 기br> [ 그림 2- 9] 전해질 코팅층 표면 SEM 분석 ; ①기존 전해질표면 ②연료극 기능성막위에 코
    [ 그림 2- 10] 전해질 코팅 단층 SEM 사진
    [ 그림 2- 11]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세라믹 코팅층 LSM 은 1000 ℃ 에서 소결시 오직
    [ 그림 2- 11]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LSM-coated interc
    [ 그림 2- 12] 는 LSM 이 코팅된 금속연결재의 단면도로서 코팅층인 LSM 과 금속연결재
    [ 그림 2- 13] 은 세라믹 / 금속 계면에 형성된 oxide 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Electron
    [ 그림 2- 12] SEM micrographs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3] X - ray mapping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4] 는 four-point DC method 로 650 ℃ ~ 850 ℃ 에서 Area spec
    [ 그림 2- 14] Dependence of ASR on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 그?와 금속연결판과의 접촉저항을 측정
    [ 그림 2- 15]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단전지와 바이 폴라플레이 트 간의 접 촉저항 테스트 장치
    [ 그림 2- 16] 평관형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접촉저항 전기 회로도
    [ 그림 2- 17] 은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위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8] 는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7] 압축압력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 그림 2- 18]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6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22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는 그림 4 의 실험과 마찬가지로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
    [ 그림 2- 20] 은 La Ca CrO 을 이 용하여 플라즈마 용사코팅을 실시한 후 , SEM 으로 관
    [ 그림 2- 23] 은 플라즈마 용사 코팅한 시편과 용사코팅 후 다시 La Ca CrO 슬러 리로
    [ 그림 2- 20] Plasma 용사 코팅후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사진 .
    [ 그림 2- 21] 플라즈마 용사코팅 후 ,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EDS mapping 사진 .
    [ 그림 2- 22] La Ca CrO 슬러리 dip coating 후 2-step 소결을 이 용한 사진 .
    [ 그림 2- 23] La Ca CrO 플라즈마코팅 후 , 플라즈마후 +La Ca CrO dip 코팅 적용후
    [ 그림 3- 1] 에서 전형적인 상압에서 운전되는 SOFC 시스템의 주요 BOP 장치에 대한 개략
    [ 그림 3- 1] 전형적인 SOFC 시스템 주요 구성요소 개략도
    [ 그림 3- 2] 가스 매니폴드 분리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스택 적층구조 , ⒝가스매니폴드에
    [ 그림 3- 2] 와 같은 가스 매니폴드 분리 형의 경우 적층 단과 단사이 에 부도체를 삽입 함으
    [ 그림 3- 3] 가스 메니 폴드 일체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a) 가스 유로흐름 및 단위전지 배열
    [ 그림 3- 4] 일체형 1 층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5] 분리형 및 일체형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7] 에서 전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개발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 본 모
    [ 그림 3- 6]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성능 평가 장치 ; (a) 가열로 및 가스조절 장치 , (b) 공급가
    [ 그림 3- 7] 500W 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개발 모식도
    [ 그림 3- 8]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파괴사진 ; (a) cross-flow 스택 유리 밀봉재 파괴 사진 (b
    [ 그림 3- 9] 브레이 징 cap 과 세라믹 단위전지 접합 형태
    [ 그림 3- 10] 브레이 징법을 이 용한 평관형 단위전지와 원통형 단위전지 용접 실험
    [ 그림 3- 11] 브레이 징 용접을 통하여 제조한 단위전지
    [ 그림 3- 12] 브레이 징법으로 용접한 단위전지 가스누출 시험
    [ 그림 3- 13] 브레이 징법에 의한 용접된 단위전지의 용접 부위 단면 사진
    [ 그림 3- 14] 브레이 징을 이 용한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메니폴드 설계도
    [ 그림 3- 15] 설계한 메니폴드를 U-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6] U-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20] 에는 브레이 징법을 통하여 가스 밀봉한 세라믹 연료전지 단위전지에 대한 성
    [ 그림 3- 17] 설계한 메니 폴드를 Z-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8] Z-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19] 브레이 징을 이 용한 병렬 식 500W 스택구성 개념도 및 구성품
    [ 그림 3- 20] 브레이 징을 이 용한 세라믹 연료전지의 성능곡선
    [ 그림 3- 21]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셀 . (a) 전해질 코팅후 , (b) 공기극 코팅후
    [ 그림 1-1]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구조 및 작동 원리
    [ 그림 2-1] 입 자크기 , 조성 및 기공율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극 구조의 모식도
    [ 그림 3-1] (a) 4-probe 법에 의한 전도도 측정 모식도 및
    [ 그림 3-2] 반복 열충격시험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3] 고온 장기 환원시험의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4] 분무열분해법에 의한 LSC 공기극 소재 합성공정도
    [ 그림 3-5] 분무열분해에 의한 분말합성공정 모식도
    [ 그림 3-6] 산소투과특성 평가장치의 모식도
    [ 그림 3-7] 압출성 형 기 및 압출성 형 공정
    [ 그림 3-8] NiO-YSZ 연료극소재의 압출성 형 을 위 한 몰드
    [ 그림 4-2] 는 각각 Y O 의 첨 가량이 8 mol% 와 10 mol% 인 NiO-YSZ 소결체의 파단면
    [ 그림 4-1] Y O 가 각각 8 mol% 와 10 mol% 치환되고 , 기공형성제로 활성탄이 첨 가된
    [ 그림 4-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a) Y O 함량 8 mol%, 소결온도
    [ 그림 4-3] 기공형성제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a) 활성탄 (activated carbon);
    [ 그림 4-4] 10 mol% 의 Y O 가 첨 가되고 서로 다른 기공형성제를 갖는 NiO-YSZ
    [ 그림 4-5] 에는 다른 종류의 기공형성제를 첨 가하여 1400 C 에서 제조된 연료극 소결체의
    [ 그림 4-5] 기공형성제를 달리하여 1400 ℃ 에서 제조된 NiO-YSZ 소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 그림 4-6] 압출공정으로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기공분포 , (a) 8Y-AC 환원 전 ,
    [ 그림 4-7] ZrO 의 일부를 Zr(OH) 또는 ZrO(NO ) . xH O 로 대체한
    [ 그림 4-8] 다른 크기의 원료분말 (ZrO ) 을 이 용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강도 변화
    [ 그림 4-9] 다른 크기의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 1400 C 에서 소결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
    [ 그림 4-10] NiO-YSZ 연료극의 기공율에 따른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1] NiO-YSZ 연료극소재의 작동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
    [ 그림 4-12] 800 ℃ , 4%H -Ar 분위기에서 측정한 , 시간에 따른 Ni-YSZ
    [ 그림 4-13] Y O -ZrO 의 상평형도
    [ 그림 4-14] 반복 열충격 싸이 클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5] 고온의 환원분위기하에서 유지시간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 그림 4-17] 은 비산화물계 출발물질인 Co(NO ) . 6H O 의 열분석 거동곡선으로서 , 3 단계의
    [ 그림 4-16] SrC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7] Co(NO ) . 6H 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8] LSCF 합성분말의 열분석 곡선
    [ 그림 4-19] 600, 800, 및 1000 ℃ 에서 열처리된 LSCF 혼합분말의 XRD
    [ 그림 4-20]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한 LaSrCoO 분말의 합성온도에 따른 XRD
    [ 그림 4-21]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2]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3] 분무열분해법으로 합성한 후 , 스크린프린팅한 LaSrCoO 분말의 SEM 사진 :
    [ 그림 4-24] LSCF 공기극 소재 소결체의 소결온도에 따른 미세구조
    [ 그림 4-25] 유지시간에 따른 LSCF 소결체의 (a) 파괴강도와 (b) 파괴인성 및 경도 변화
    [ 그림 4-26] 온도와 산소분압에 따른 LSCF 소결체의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27] 소결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LSCF 공기극소재의 온도에 따른
    [ 그림 4-28]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후의 미세구조 : (a) Ni-SDC; (b) Ni-GD
    [ 그림 4-29]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전후의 기공율 변화
    [ 그림 4-30] Ni-SDC 및 Ni-YSZ 의 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31] 에 합성된 LSGM 분말의 미세구조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 열처리 온도에 따른
    [ 그림 4-31] LSGM 합성분말의 SEM 사진
    [ 그림 4-32] 소결온도에 따른 LSGM 합성분말의 XRD
    [ 그림 4-33] (a) NiO-YSZ 및 NiO-SDC 연료극 원통형 지지체의 외관 ; (b) NiO-YSZ
    [ 그림 4-34] 장경비가 큰 LSCF 소재의 공기극 압출성형체
    [ 그림 2-1] Flat-tube SOFC stack design (2 × 2 cells)
    [ 그림 2-2] 은 2 × 2 stack 중 2 개의 cells 로 구성된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 그림 2-2] Computation domain for anode manifold (2 cells)
    [ 그림 2-3] 는 속도분포와 압력분포를 보여준다 .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 대부분의 연료전지
    [ 그림 2-3] Velocity distribution & Pressure distribution at anod
    [ 그림 2-4] Flow rate at each section in anode manifold
    [ 그림 2-5] 는 2 × 2 cells 로 구성된 cathode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주고 있
    [ 그림 2-5] Computation domain for cathode manifold
    [ 그림 2-5] 를 보면 하나의 입 구에서 공기가 들어와 첫 번째 20 개의 분배관으로 분배된 후
    [ 그림 2-6] 에서는 속도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분의 속도가
    [ 그림 2-9] 은 수정된 분배관으로부터 interconnect 유로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나타
    [ 그림 2-6] Velocity distribution at cathode manifold
    [ 그림 2-7]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at in
    [ 그림 2-8] The design of distributor of cathode manifold
    [ 그림 2-9]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 그림 2-12] 및 [ 그림 2-13] 은 압력별 공기 측 연료측의 유동 분포를 나타낸다 .
    [ 그림 2-10] 유동 simulator 구조 [ 그림 2-11] 유동 실험장치 및 실험장면
    [ 그림 2-12] 공기측 유동 분포
    [ 그림 2-13] 연료측 유동문포
    [ 그림 2-12], [ 그림 2-13] 에서 볼때 운전 조건에서 압력 (1-3 기압 ) 범위에서 약 5-25%
    [ 그림 2-14] Schematic diagram of SOFC
    [ 그림 2-15] 는 실제 실험데이 터를 토대로 연료극 활성화 과전압과 공기극 활성화 과전압으
    [ 그림 2-15] Decomposition of operating voltage
    [ 그림 2-16] 은 표본 실험 데이터 (0.82386[V], 2040[A/ ㎡ ]) 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나
    [ 그림 2-16] Error w.r.t. weighting factor( α ) (0.82386[V], 2040
    [ 그림 2-17] Flat-tube SOFC
    [ 그림 2-18] Comparison of 3-component conductivity
    [ 그림 2-18] 에서 알 수 있듯이 연료극 지지체식 flat-tube 형 SOFC 의 특성은 다른 두 가지
    [ 그림 2-19]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deviation
    [ 그림 2-20] Computational scheme
    [ 그림 2-22] Geometry of unit cell and grid generation
    [ 그림 2-23] 에서 보듯이 연료 유로와 공기 유로에서 완전 발달된 유동을 보이 며 다공성 매
    [ 그림 2-23] Velocity distribution in unit cell
    [ 그림 2-24] 에서는 각 전극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 반응층에서의 열생성으로 인
    [ 그림 2-24] Temperature distribution in unit cell ( left : catho
    [ 그림 2-25] 에서는 화학종들에 관한 질량분율에 대해 나타내었다 . 연료 반응층에서 수소의
    [ 그림 2-25] Concentration(mass-fraction) distribution in unit ce
    [ 그림 2-26]( 위쪽 ) 은 단위전지의 작동전압을 달리하여 각각의 전류밀도를 유동방향에 관해
    [ 그림 2-26] Current density & Concentration distribution w.r.t.
    [ 그림 2-26]( 아래쪽 ) 에서는 anode 와 cathode 의 반응층내에서의 반응물들의 질량 분율 ( 수
    [ 그림 2-27] Specification & Computation domain of flat-tube SOFC
    [ 그림 2-28] (a) 에서는 속도 분포에 대해 나타내었다 . 보는 바와 같이 유동이 다공성 매질층
    [ 그림 2-28](b) 에서는 단위전지의 전극표면에서의 3 차원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입 구 온
    [ 그림 2-28] (c) 와 (d) 에서는 유동방향으로 화학종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 공기극의
    [ 그림 2-29] 는 전극표면에서의 평형기전력 (=Nernst potential) 과 과전압 손실 및 내부저항
    [ 그림 2-29] 에서는 활성화 손실이 유동방향에 대해 감소하는 데 , 이 는 온도의 변화에 활성
    [ 그림 2-30] 는 유동방향으로의 국부적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영 역 에서 가장 높은
    [ 그림 2-28] The characteristics in flat-tube SOFC
    [ 그림 2-32] 은 각각의 voltage 에 따른 전력밀도와 효율을 나타내었다 . 작동전압이 낮을수
    [ 그림 2-31]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along the flow directio
    [ 그림 2-32] Power density & Efficiency w.r.t. operating voltage
    [ 그림 2-33] Polarization curv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 그림 2-34] (a) 는 유입 가스 온도 변화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 유입 가
    [ 그림 2-34] (e) 는 유동방향에 따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가스의 온도가 상승함에
    [ 그림 2-34](f) 는 유입 가스온도에 대한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입 가스온도가 상승
    [ 그림 2-34]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inlet gas tem
    [ 그림 2-35](a) 는 유량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면서 내부
    [ 그림 2-35] (f) 는 반응가스의 유량에 따른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
    [ 그림 2-35]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volume flow r
    [ 그림 2-36](a) 는 유동방향?에 따라 온도가 상
    [ 그림 2-36]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channel lengt
    [ 그림 3-1] SOFC 시스템의 기본 설계
    [ 그림 3-2] SOFC 스택의 개략도
    [ 그림 3-3] 당량비와 개질기의 온도에 따른
    [ 그림 3-4] Case 1 의 운전 조건에 따른 시스템 구성요소의 온도
    [ 그림 3-5] 연료와 공기의 다단 예열을 이용한 시스템
    [ 그림 3-1], [ 그림 3-4] 와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였고 [ 그림 3-5] 와 같
    [ 그림 3-6] 가정용 열 . 전기 발생용 SOFC RPG 설계
    [ 그림 3-1] 의 기본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열 (exhaust) 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 그림
    [ 그림 4-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전동 카의 구성도
    [ 그림 4-2] 연료전지 스택
    [ 그림 4-3]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곡선
    [ 그림 4-4] 는 본 연구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 다 .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4] 연료전지 제어 시스템 구성도
    [ 그림 4-5] 연료전지 공기 유량 제어
    [ 그림 4-6] 연료전지 스택 수소
    [ 그림 4-7]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8] 연료전지 시스템 순차
    [ 그림 4-7] 은 연료전지 시스템 , 제어기등의 실험 장치이 며 , [ 그림 4-8] 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 그림 4-10]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 그림 4-9] ANN 축전지 SoC 계산 방
    [ 그림 4-10] 은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출력 결과 이다 . 이결과는 연료전지 제어기의 제어량
    [ 그림 4-1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 그림 4-12] 부하제어 결과
    [ 그림 4-13] 전동카트의 주행 시험 특성
    [ 그림 4-14] 연료전지 축전지 시스템 차량 장착 장면
    [ 그림 4-15] 연료전지 하이 브리드 자동차 실차 테스트 결과 샘플
    표목차
    < 표 1- 1> 몇 가지 전극반응에 대한 열역 학적 data 와 열역 학적 효율 [1]
    < 표 2-1> SOFC 연료극 소재의 연구개발동향
    < 표 2-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공기극 소재 개발동향
    < 표 2-3> 에는 미국 NETL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에서
    < 표 2-3> SOFC 단전지 및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개발 동향
    < 표 3-1> NiO-YSZ 및 NiO-SDC 계 연료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3-2> LSCF 공기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4-1> NiO-YSZ 연료극 소재의 소결수축율
    < 표 4-1> 의 소결수축율 결과에서 , 활성탄이 첨 가된 10Y-AC 와 카본블랙이 첨 가된 10Y-CB
    < 표 4-2> SOFC 연료극을 위한 NiO-YSZ 및 NiO-SDC 원통형 지지체의 특성
    < 표 2-1> Flat-tube SOFC stack operating condition
    < 표 2-2> The comparison of theoretical OCV with experimental OC
    < 표 2-4> Specifica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2-5> Operating condi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3-1> SOFC 시스템의 운전 조건
    < 표 3-2> SOFC 시스템의 조건에 따른 운전 성능
    < 표 3-3> 가정용 SOFC 시스템의 출력과 효율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2.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가 . 보급보조사업
    나 . 융자지원사업
    다 . 태양광주택 보급사업
    제 2 장
    Ⅰ . 태 양 열
    제 1 장 . 집열기 설치대의 공사
    1. 일반사항
    (1) 집열기 설치대는 건물의 구조에 집열기의 설계하중을 고려한다 .
    (2) 설치대 기초나 배관설치로 인한 빗물의 누수가 없도록 설계 시점부터 건축공사 및 기
    (3) 외기에 노출되는 집열기 틀 및 지지대는 부식과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4) 집열기 설치는 다른 구조체가 풍하중 또는 설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5) 지상에 설치되는 집열기는 지면으로부터 최소한 300 ㎜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게 한다 .
    (6) 설치대의 제작은 치수를 정확하게 하고 또한 수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정확하지
    2. 하중 및 외력과 안전성의 확인
    (1) 하중 및 외력과 안전성의 확인
    (2) 하중 및 외력에 의한 응력의 조합
    3. 압축재 및 기둥재
    (1) 사용재에 압축력 또는 휨에 의한 면내 압축력을 발생시킬 경우는 , 국부 좌굴을 고려
    (2) 압축재의 허용 압축 응력도는 세장비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
    (3) 압축재의 좌굴 길이는 구면 내 좌굴에 대해서는 절점간 거리를 좌굴 길이로 한다 .
    (4) 압축재의 세장비는 250 이하로 한다 .
    4. 휨재 및 보재
    (1) 휨재에 작용하는 허용 휨 응력도는 좌굴의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2) 보의 단면계수는 단면의 인장측 볼트 또는 고력 볼트의 구멍을 뺀 단면에 대하여 산
    5. 인장재
    (1) 인장재에 볼트 또는 고력 볼트 등에 의한 구멍이 있는 경우는 연결 시 예상되는 각종
    (2) 조립 인장재에서 2 개 이상의 형강을 조합하는 경우는 그것을 접합하는 볼트 , 고력 볼
    (3) 봉강은 경미한 인장재에 한해 사용할 수 있다 . 턴버클 (Turn Buckle) 을 사용한 경우의
    (4) ㄱ 형강 , ㄷ형강 등이 설치대의 한쪽에만 설치되는 경우는 편심의 영향을 고려하며 , 그
    6. 접합
    (1) 접합부는 접합되는 부재의 존재 응력을 완전히 전달하도록 설계한다 .
    (2) 구조상 주요한 부재의 접합재는 볼트 및 고력 볼트 접합으로 할 때 최소 2 개 이상 배
    (3) 축 방향력을 받는 2 개 이상의 부재를 접합할 때는 각재의 중심축이 한 점에 모이도록
    (4) 한 접합부에 2 종류 이상의 용접을 병용할 때는 각 용접의 허용력에 따라 응력을 분
    7. 설치대 기초
    (1) 주각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 주각의 전단력을 앵커 볼트로 부담시키고 , 인장력
    (2) 기초구조는 상부응력을 하부구조로 균등하게 전달시켜야 하나 , 하부구조의 기능 ( 예를
    제 2 장 . 집 열 기 설 치 공 사
    1. 향 (Orientation) 및 경사각
    (1) 설치 방위각은 정남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상 부득이한 경우 동 . 서로 30 도의 변
    (2) 집열기 설치 경사각은 용도별로 다음을 기준으로 하되 현장 여건이나 기타 특별한 이
    (3) 단일진공관식 집열기와 같이 흡수판의 각도를 조정 가능한 경우 집열기의 경사각은
    2. 집열기 배열의 주의사항
    (1) 동일 성능 ( 동일한 집열기 ) 의 집열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집열기를 통과하는 열매체
    (2) 성능이 다른 집열기 ( 다른 형태의 집열기 ) 는 종류별로 열매체의 유량이 같지 않아도
    (3) 집열회로내 공기가 차지 않도록 최상단부까지 공급배관은 상향 , 환수 배관은 하향 설
    (4) 자동배수식 집열회로는 동파될 조건에서 외기에 노출되는 ( 비 난방구간 ) 전회로 내의
    (5) 그늘이 지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 배치한다 .
    (6) 집열기 배열
    3. 집열기의 설치
    (1) 집열기 설치 시에 집열기의 가장자리는 밟지 않는다 .
    (2) 집열기의 청소 및 보수에 편리한 공간을 확보하거나 이를 위한 이동식 사다리를 설치
    (3) 집열기를 지붕 일체식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집열기와 지붕면의 접촉부위가 빗물이나
    (4) 집열기를 크레인에 매다는 경우 , 로> (5) 결로 방지용 배수구 등으로 인해 집열기의 상ㆍ 하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확인하여 설
    (6) 집열기는 방수에 특히 신경을 써서 제작되므로 투과체를 분리하거나 장식쇠 등의 구
    (7) 집열기는 강풍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집열기 설치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며 ,
    (8) 집열기 연결 배관은 제작업체의 접속 부품이 있으므로 가능한 표준 품을 채택한다 .
    (9) 히트파이프를 열전달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집열기 ( 예 ; 단일 진공관식 ) 는 열매체를
    제 3 장 . 축 열 조 설 치 공 사
    (1) 축열조의 구조체가 철근콘크리트인 경우는 건축공사에 포함되고 , STEEL 및 FRP 탱
    (2) 운반 및 기계실 반입 이 곤란하여 현장 조립이 부득이한 경우에는 이를 입 찰서 상에
    (3) 축열조는 방수처리를 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한다 ( 수압시험 수행 ).
    (4) 축열조에 연결되는 모든 배관의 입ㆍ 출구에는 축열매체의 온도성층화를 위한 디퓨져
    (5) 축열조 제작이 완료되면 물을 채워 24 시간 방치시킨 후 수압시험과 , 누수 및 변형 여
    (1) 축열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옥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
    (2) 부득이하게 외부에 설치하여야 할 경우 바닥은 콘크리트 패드를 치고 , 반드시 단열 (5
    (3) 축열조 주변은 450 ㎜이상의 점검 공간을 확보한다 .
    (4) 집열기와 축열조 , 축열조와 급탕 시설과의 배관연결이 가능한 한 짧은 장소를 선정한
    (5) 통기구나 over flow 에서는 다량의 습기가 나오므로 기계실 등에 습기를 꺼리는 기기
    (6) 축열조 배수 시 필요한 배수구가 반드시 근처에 있어야 한다 .
    제 4 장 . 배 관 공 사
    1. 일반사항
    (1) 태양열시스템의 운전 중에 어떠한 조건에서나 시수 주관으로 오염되거나 불결한 시스
    (2) 시수관을 하수관에 연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연결된 두 배관의 직경정도의 공기
    (3) 태양열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에 있어서 비 음료수관은 식수로 마시거나 이용하지 못
    (4) 배관 루프 내에서 어떤 이종 재료간의 결합부에도 모두 절연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
    2. 배관재료
    2.1 집열부
    2.2 이음쇠
    3. 밸브류
    (1) 밸브류는 50A 이하는 나사 접속형으로 하고 65A 이상은 플랜지 접속형으로 하는 것
    (2) 태양열 시스템 , 특히 집열부에 사용되는 밸브는 볼밸브 보다는 게이트 밸브를 사용하
    (3) 모든 밸브는 -10 ~ 95 ℃ 온도범위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 .
    (4) 전동밸브 설치
    (5) 안전밸브
    (6) 역지밸브 (Check Valve)
    (7) 글로브밸브 : 글로브밸브의 사용은 청동제 KS B 2301(10 ㎏ / ㎠ ), 주철제 KS B
    (8) 볼밸브 : 황동제 KS B 2308(10 ㎏ / ㎠ ) 에 준한다 .
    (9) 스트레이너 : 접속배관 구경과 같은 크기로 하며 Y-type 을 사용한다 .
    (10) 압력계 : 압력계는 규격품으로서 눈금판의 외경은 100 ㎜ , 콕크가 붙어 있는 것으로
    (11) 온도계 : L 형 또는 바이메탈식을 사용하며 , 원형 바이메탈식은 그 직경이 100 ㎜로
    (12) 실리콘 콤파운드 : 나사 배관용 접합에 사용하는 재질로서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 수
    (13) 볼트 , 너트 : 사용압력 10 ㎏ / ㎠ 이상의 배관기종 헤더 및 열교환기류에는 반드시 고
    (14) 공기분리기
    (15) 자동 배기밸브
    4. 시공
    4.1 관의 접합
    4.2 관의 분기 및 구조물 관통
    4.3 관의지지
    4.4 집열배관공사
    4.5 축열조 배관공사
    4.6 배관 부속품
    4.7 감지기 및 검출기 취부구의 사용
    제 5 장 . 기 타 구 성 품 설 치 공 사
    1. 판형열교환기 설치
    (1) 가능하면 열교환기의 유로를 보호하고 열교환기 오염을 최소화 하도록 열교환기의 입
    (2) 배관작업 수행 후 배관 세척 (Flushing) 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때 열교환기 입 구 측의
    (3) 열교환기의 분해 청소가 용이하도록 열교환기의 양측에 충분한 작업공간 (1m 전후 ) 을
    (4) 가능한 한 판형 열교환기 운전 , 보수 매뉴얼을 제출하고 운전자에게 교육을 실시하여
    (5) 동절기의 야간 또는 흐린 날 집열회로의 자연대류 현상으로 인한 집열 열교환기의 동
    (6) 열교환기의 성능 및 작동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온도계와 압력계를 공급 및 환수관
    (7) 열교환기의 내면은 열매체를 주입 하기 이전에 물로 씻어내어 청결하게 한다 .
    2. 집열 및 축열순환펌프 설치
    (1) 대용량의 펌프설치용 기초 ( 베드 ) 는 윗면 주위에 배수 홈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호칭지
    (2) 대용량의 펌프와 전동기는 동일 베드 상에 수평으로 견고히 고정하고 , 스프링 , 방진
    (3) 도면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 따라 기초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수평을 정밀 조정하여야
    (4) 각 배관 시 그 하중이 장비류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
    (5) 펌프모터 하우징에는 토출측 압력게이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
    (6) 펌프 토출측에는 역지밸브 (Check Valve) 를 설치한다 .
    (7) 외부의 방청 도장은 미리 하여야 하며 벗겨진 부분이 없어야 한다 .
    (8) 원심식 펌프는 지반에 또는 배관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
    (9) 펌프는 집열회로의 공급 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
    (10) 펌프는 언제나 작동이 용이하도록 열매체가 차 있어야 한다 .
    (11) 모터 하우징은 절대로 보온해서는 안 된다 .
    (12) 밀폐회로에서는 펌프의 흡입구 측에 황동 및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여과기가 설치되
    (13) 개방식 회로에서는 펌프의 작동을 위한 적정한 흡입 양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
    3. 팽창탱크 설치
    (1) 팽창탱크는 온도변화에 의한 열매체의 유출방지 및 허용압력 유지를 위하여 격리된
    (2) 아연도 재질로 된 팽창탱크는 글리콜 용액에 사용 되서는 안 된다 .
    (3) 팽창 탱크는 펌프의 입구 측에 연결되어야 하며 , 가능한 한 펌프에 가까게 위치되도
    4. 보충수 탱크 설치
    (1) 부동액 보충탱크는 자체 하중 및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견고한 구조 위에
    (2) 탱크에 부착된 기기 또는 밸브들은 교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
    (3) 부동액을 보충할 때나 주입 할 때 사용하는 가압 펌프를 설치한다 .
    제 6 장 . 보 온 공 사
    1. 보온재 선정조?에서 0.04W/m. ℃보다 작을 것 )
    (2) 최대 작동 허용온도에서 견딜 수 있을 것
    (3) 경년 변화가 적을 것 ( 옥외용으로 강우 , 태양광 , 그리고 통상적인 사람의 접촉에 견딜
    (4) 흡습성이 적을 것
    (5) 불연성인 재료가 바람직함
    2. 보온재료
    (1) 보온재로는 발포폴리스틸렌 , 압출발포폴리스틸렌 , 경질우레탄폼 , 암면 , 고무발포 , 유리
    (2) 축열조의 보온재는 전열저항 , 투습저항이 크고 , 고습도하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
    (3) 배관 보온재의 허용온도는 작동 최대온도보다 높아야 하며 , 최대 작동온도보다 20 ℃
    (4) 외기에 노출되는 보온 부는 내후성 및 동물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보온카바로
    3. 보온재의 두께
    (1) 배관의 보온은 최대 열손실이 25W/m(21.5 ㎉ /hr.m) 이하로 하되 최소 두께는 옥내는
    (2) 축열조의 보온재 두께는 열손실율이 30.49W/ ㎡ (26.22 ㎉ /hr. ㎡ )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4. 보온재의 시공
    4.1 일반사항
    4.2 축열조
    4.3 배관 및 기타
    제 7 장 . 자 동 제 어 및 전 기 공 사
    1. 일반사항
    (1) 모든 운전은 완전자동 및 수동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
    (2) 중대형에서는 작동 감시기능 ( 경고장치 ) 이 있는 것이 추천된다 .
    (3) 모든 계측기들은 적정하게 접지되어야 하며 , 시험 및 교체 시에 쉽게 분리할 수 있어
    (4) 동력반 및 무인 운전반은 자립 형으로 하고 문에는 잠금 장치를 하여야 한다 .
    (5) 제어설비 및 계측기류는 태양열 설비를 고효율로 운전할 수 있는 설비로 구성하여야
    (6) 제어 케이블은 차폐케이블 (CVVS) 을 사용하여야 한다 .
    (7) 펌프 전동기에는 적정 용량의 진상 콘덴서를 부착하여야 한다 .
    (8) 퓨즈는 규격별로 1 개의 예비 퓨즈를 납품하여야 한다 .
    (9) 전기공사는 전기 사업법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 " 에 준하여야 한다 .
    2. 차온 제어장치
    (1) 승인 또는 검증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
    (2) 접속단자의 결선은 결선도에 따르고 압착단자 , 또는 포크단자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3) 전원전압은 전압변동 , 노이즈 , 서지 (surge) 등이 지극히 적은 장소에서 사용한다 .
    (4) 센서는 검출온도 오차가 적은 것을 선택한다 ( ± 1 ℃ 미만 ).
    (5) 여름철에 집열기가 정지상태일 때 200 ℃ 근처까지 승온하는 수가 있으므로 고온 센서
    (6) 정전 시에 동결방지 Heater, 전자밸브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별도의 대책을 세운다 .
    (7) 차온제어장치의 주위온도는 -10 ~ 49 ℃ 안에 있어야 한다 .
    (8) 축열조에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 센서 끝이 축열조 내 수중으로 50 ㎜ 이상 삽입한다 .
    (9) 정상적으로 설계된 태양열 시스템의 ON/OFF 온도차는 11 ℃ /4 ℃ 가 추천할 만한 설정
    (10) 과열방지를 위한 축열조 과열온도는 보통 70 ~ 95 ℃ 범위에서 설정한다 .
    3. 제어반
    (1) 가능한 한 실내에 설치하되 보기 쉬운 곳에 지상 1.5m 정도 높이에 설치한다 .
    (2) 고온 , 다습한 장소는 피한다 .
    (3) 옥외 판은 반드시 열쇠를 채워 관련자 이외에는 조작을 못하도록 한다 .
    (4) 보일러실 내의 설치는 버너나 연도에서 2.5m 이상 떨어진 환기가 좋고 고온이 아닌 장
    (5) 벽면의 설치는 앙카 볼트로 취부 한다 .
    (6) 제어반은 내선규정에 의해 반드시 접지를 잡는다 .
    (7) 무인운전반은 별도 자립 형으로 하고 , 문에는 잠금 장치를 하여야 한다 .
    (8) 모든 계측기 , 제어기 및 스위치들은 반내에 유효하게 접지되어야 하며 , 시험 및 교체
    (9) 태양열시스템 각 기기의 운전상태 및 이상상태 표시등을 설치하여 , 각 장비의 상태를
    (10) 중대형 시스템의 제어장치에는 아래 주요부의 온도를 항시 나타내도록 , 각각의 디지
    (11) 모든 운전은 완전자동 , 운전모드별 자동 및 각 개별기기의 수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12) 정전에 대비하여 정전 복구시 조작자의 별도 조작 없이 미리 일련의 복귀 프로그램
    (13) 실내 온도조절기는 실내의 평균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
    (14) 집열기와 축열조의 온도 감지기는 외부의 조건에 의한 영향을 가능한한 없도록 하여
    4. 축열 및 부하운전
    (1) 축열운전 : 태양이 있는 주간에 차온제어에 의해 축열운전이 되어야 한다 .
    (2) 부하운전 : 부하운전은 난방 및 급탕부하가 있을 때 운전될 수 있어야 한다 .
    5. 구성부품의 제어장치 구비 상세
    5.1 집열기 :
    5.2 축열조
    5.3 자동밸브
    6. 기타 기능
    (1) 모든 장비는 , 최대한 유지 보수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
    (2) 센서 보호
    (3) 센서선 보호
    (4) 센서 설치
    제 8 장 . 시 스 템 의 세 척 , 압 력 시 험 및 시 운 전
    1. 시스템의 세척
    (1) 집열기 , 펌프 , 열 교환기 , 축열조 등의 구성품을 설치 전에 세척한다 .
    (2) 시스템 배관 작업이 끝나면 압력시험 전에 시스템을 세척한다 .
    2. 압력 시험
    (1) 시스템의 보온시공 전에 모든 압력 및 누설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
    (2) 압력시험에 사용하는 유체는 물을 사용하고 이 물질의 침입 이 없는 상태에서 행하여
    (3) 압력시험은 작동압의 1.5 배로 한다 .
    (4) 글리콜과 오일 등은 물이 누설되지 않더라도 누설될 염려가 있으므로 최종 압력시험
    (5) 배기밸브 , 안전밸브 및 기타의 기기들은 압력시험 중에 손상을 입 을 우려가 있으므로
    (6) 모든 누설은 수리된 다음 , 재 누설 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
    (7) 압력시험은 일사량이 없을 때에 수행한다 .
    (8) 압력 측정에 사용하는 압력계는 감리자의 확인 후 설치한다 .
    (9) 편의상 전 기기에 대하여 연결배관을 한 후 동시에 압력 시험을 할 수 있다 .
    (10) 압력시험은 감독관의 입 회하에 실시하여야 한다 .
    (11) 최소한 30 분 이상 시험 압력을 유지하고 모든 연결 부위와 구성요소를 시험한다 .
    3. 시운전
    3.1 제한사항
    3.2 점검과 시운전
    부록
    그림목차
    [ 그림 2- 1] 집열기 설치도
    [ 그림 3- 1] 축열조의 기초
    [ 그림 4- 1] 추천되는 자동배수 배관 연결
    [ 그림 4- 2] Reverse return 방식
    [ 그림 4- 3] 헤더관 사용의 역회수
    [ 그림 4- 6] 온도센서
    [ 그림 4- 7] over flow 관은 단독으로 설치
    [ 그림 6- 1] 콘크리트나 사각 탱크의
    [ 그림 2-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
    [ 그림 2-2] 에 이 들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
    [ 그림 2-2] 태양전지의 구성 ( 셀 , 모듈 , 어레이 )
    [ 그림 2-3] 태양전지의 종류
    [ 그림 2-4] 결정계 실리콘태양전지의 구조 및 원리
    [ 그림 2-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분류 예
    [ 그림 2-6] 역조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7] 역조류 없는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8] 교체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9] 독립형 시스템 구성도
    [ 그림 3-1] 태양광발전시스템 설계 . 계획의 흐름도
    [ 그림 3-2] 에는 가대설치식인 경우의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설치공사의 흐름
    [ 그림 3-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설치공사의 흐름도
    [ 그림 4-1] 공사설명서 작성 예
    [ 그림 1- 1] 풍력발전기 지지물의 구조 예
    [ 그림 2-1] 금매김
    표목차
    < 표 2- 1> 지역별 집열기 설치 높이 (H) 에 따른 간격 (L) ( 단위 : m)
    < 표 2- 2> 그늘이 지지 않기 위한 지역별 태양입 사각 ( θ )
    < 표 6- 1> 배관 경에 따른 보온 두께 ( 옥외 )
    < 표 2-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주요 구성기기 . 장치
    < 표 2-2> 각종 태양전지 시장에 대한 카달로그값
    < 표 2-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방재이 용 방법
    < 표 3-1> 법률에 의한 규정 , 가이 드라인과 관계하는 유의사항
    < 표 3-2> 에 태양전지어레이 의 설치장소 , 고정방법 ( 설치방식 ) 에 관한 보기를 나타내었
    < 표 3-2> 태양전지 어레이 의 설치장소 , 고정방법에 관한 분류보기
    < 표 3-3> 태양전지어레이 의 설치방식
    < 표 3-4>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특징
    < 표 3-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준공시험 항목 예
    < 표 3-6> 에 태양전지 어레이 에 관한 자주 . 법정점검의 내용의 보기를 기술하였다 .
    < 표 3-6> 태양전지 어레이 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7> 파워 컨디션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8> 연계보호장치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9> 축전지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10> 지금까지 발생한 문제점과 대처방법
    < 표 6-1> 의「 건축설비기술기준」 에 만족하도록 설계 및 설치 . 시공해야 할 것 .
    < 표 6-2> 의 「 전기설비의 기술기준 및 내선규정」 에 준하여 설치할 것 .
    < 표 6-1> 주택용 태양광시스템 설비 설치시공 관련 건축법 및 시행령
    < 표 6-2> 태양광시스템 설치시공 관련 전기설비기준기술
    < 표 6-3> 태양광시스템 설치시공 관련 소방법 관련 조항
    < 표 1-1> 접지공사의 종류 및 접지 저항치
    < 표 1-2> 일반용 접지선의 크기
    < 표 1-3> 가동성 접지선의 종류 및 단면적
    < 표 2-1> 도입 장력 측정값의 평균값 범위
    < 표 2-2> 고력볼트의 조임
    < 표 2-3> 1 차조임 토크값
    < 표 3-1> 접지저항치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ZnS:Mn, ZnS:Cu,Cl, ZnS:Ag,Cl
    2. Y O :Eu
    1. Low-Temperature Method
    2. Spray Pyrolysis Method
    3. Sol-Gel Method
    4. Hydrothermal Method
    5. Combustion Method
    6. Solid-State Method
    제 1 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개발의 필요성
    2. 연구개발의 범위
    제 2 장 국내 . 외 기술 개발 현황
    제 1 절 국외 기술 개발 현황
    1. ZnS 계열 nano 형광체
    2. Y O 계열 형광체
    3. YAG 계열 형광체
    4. Al O 계열 형광체
    5. Si O 계열 형광체
    6. 기타
    제 2 절 국내 기술개발현황
    1. ZnS:Mn, ZnS:Cu,Cl, ZnS:Ag,Cl
    2. Y O :Eu
    제 3 장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1. 나노 형광체 제조 기술 연구
    2. 나노 형광체의 물성 및 평가
    제 2 절 나노 형광체 합성 실험
    1. 저온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2. 분무 열분해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3. 졸 - 겔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4. 수열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5. 연소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6. 고상법
    제 3 절 나노 형광체의 이 용 기술
    1. 광 발광 (PL, photoluminescence)
    2. 전계 발광 (EL, electroluminescence)
    3. 형광체 표면 코팅
    4. PL 특성을 이 용한 발광 소자
    5. EL 특성을 이 용한 발광 소자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1 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 . 연구개발의 필요성
    2. 연구개발의 범위
    제 2 장 국내 . 외 기술 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제 2 절 나노 형광체 합성 실험
    1 . 저온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2. 분무 열분해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3. 졸 - 겔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4. 수열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5. 연소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6. 고상법
    제 3 절 나노 형광체의 이용 기술
    1 . 광 발광 (PL, photoluminescence)
    2. 전계 발광 (EL, electroluminescence)
    3. 형광체 표면 코팅
    4. PL 특성을 이용한 발광 소자
    5. EL 특성을 이용한 발광 소자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
    1 . 연구목표의 달성도
    2. 연구 개발의 기술기여 분야
    3. 기술 / 학계에의 기여 분야 ( 논문 / 특허 )
    1. 연소합성공정에 의한 유로퓸 활성 이트륨 바나데이 트 형광체 물질의 제조방법과
    2. 백색 발광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 를 이 용한 전계발광소자 , 출원번호
    3. 저온 단일공정에 의한 적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 등록번호 0431124
    4. 전계방출표시용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 등록번호 0449582
    제 5 장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1 . 추가연구의 필요성
    1) 짧은 수명 ( 형광체 재료의 열화 등 )
    2) 고에너지 효율이 요구
    3) 열적 , 전기적 안정성 필요
    4) 저전압 , 저주파수에서의 구동 요구
    5) 고휘도의 RGB 삼원색 및 백색 구현 요구
    6) 긴 잔광시간
    2. 타 연구에의 응용
    3. 기업화 추진방안
    제 6 장 연구개발과제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 미주 지역
    2. 아시아 지역
    3. 유럽 지역
    참고문헌
    그림목차
    [ 그림 2- 1] The PLE and PL spectra of bulk and nanocrystalline Z
    [ 그림 2- 2] The time decay of the light emission
    [ 그림 2- 3] The recombination kinetics in nanocrystals and bulk
    [ 그림 2- 4]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capture process in a
    [ 그림 2- 5] Decay curves of the emissions of nanocrystalline ZnS
    [ 그림 2 -6] Time-resolved emission spectra of nanocrystalline Zn
    [ 그림 2- 7] The comparison of the luminescent spectra
    [ 그림 2- 8] PL spectra of glass-coated nano-crystal and bulk ZnS
    [ 그림 2- 9] Decay curve of glass-coated nano-crystal ZnS:Tb
    [ 그림 2-10] Decay curve of bulk ZnS:Tb
    [ 그림 2-11] UV-vis spectra of ZnS and ZnS:Cu nanocrystals/polyme
    [ 그림 2-12] Energy-level diagram of ZnS:Cu nanocrystals
    [ 그림 2-13] Absorption and emission
    [ 그림 2-14] Relative luminescence, normalized at 560nm
    [ 그림 2-15] Exciton excitation energy at room and liquid nitroge
    [ 그림 2-16] Bandwidth of the exciton excitation energy at room a
    [ 그림 2-17] Emission spectra of the 10, 20, 50nm, and 10 ㎛ yttri
    [ 그림 2-18] Qualitative cc diagram
    [ 그림 2-19] Variation of the external luminescent efficiency as
    [ 그림 2-20] Variation of the PL in two different samples of Y O
    [ 그림 2-21] The dependence of the D radiative lifetime of nano-c
    [ 그림 2-22] The dependence of the D radiative lifetime on the in
    [ 그림 2-23] PL-emission spectra of different Y O :Eu samples
    [ 그림 2-24] Excitation spectra of Y O :Eu
    [ 그림 2-25] QE of different samples
    [ 그림 2-26] Lifetime of the D state of bulk Y O :Eu and differen
    [ 그림 2-27] Emission spectra of Eu Y Li O (x=0, 0.10, 0.12)
    [ 그림 2-28] The effect of Li doped concentration on the luminesc
    [ 그림 2-29] Emission spectra and excitation spectra of YAG:Ce
    [ 그림 2-30] Average particle size of YAG:Tb phosphor vs pH for v
    [ 그림 2-31] Excitation spectra of (T Tb )Al O phosphor particles
    [ 그림 2-32] Emission spectra of Y Eu Al O phosphors
    [ 그림 2-33] SEM micrograph of Y Eu Al O phosphors
    [ 그림 2-34] Excitation spectra of SrAl O :0.1Eu obtained at init
    [ 그림 2-35] Excitation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luminescenc
    [ 그림 2-36] Decay kinetics of Tb emissions in Zn SiO phosphor
    [ 그림 2-37] Excitation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luminescenc
    [ 그림 2-38] Decay kinetics of Eu emissions in Zn SiO phosphor
    [ 그림 2-39] Luminescent intensity for nanocrystalline and normal
    [ 그림 2-40] Photoluminescence spectra, excited at 254nm
    [ 그림 2-41] Photoluminescence spectra, excited at 254nm
    [ 그림 2-42] Emission spectra of YBO :Eu samples
    [ 그림 2-43] Quenching concentration of YBO :Eu
    [ 그림 2-44] photoluminescence spectra for nanocrystals-BaTiO
    [ 그림 2-45] Photoluminescence spectra in the sample
    [ 그림 2-46] XRD patterns of nano-Gd O :Eu and bulk-Gd O :Eu samp
    [ 그림 2-47]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nano-Gd O :Eu and
    [ 그림 2-48] Excitation spectrum of the as-received CP Eu:NGF sam
    [ 그림 2-49] Excitation spectra and emission spectrum of the La M
    [ 그림 2-50] Excitation and emission spectra of the La Eu Mo O
    [ 그림 2-51] PL spectra of ZnS:Mn nanocrystals and three ZnS base
    [ 그림 2-52] PL spectra of ZnS:Mn nanocrystals and PVCz
    [ 그림 2-53] SEM photograph of Y O :Eu phosphor
    [ 그림 2-54] Relative photoluminescence intensities of Y O :Eu ph
    [ 그림 3- 1] (A) 상태 밀도에 따른 에너지 , (B) 에너지에 따른 상태 밀도
    [ 그림 3- 2] 분말 제조 방법에 따른 합성 방법
    [ 그림 3- 3] 졸 - 겔법의 응용
    [ 그림 3- 4] Auto ball milling method
    [ 그림 3- 5] 희토류 원소의 quenching 현상
    [ 그림 3- 6] 희토류이 온들의 에너지 준위
    [ 그림 3- 7] Luminance vs voltage for two annealed nanoparticle p
    [ 그림 3 -8] Luminous efficiency vs beam current
    [ 그림 3- 9] 저온합성법을 이 용한 ZnS:Eu 의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10] X-ray diffraction of ZnS:Eu
    [ 그림 3-11] ZnS:Eu 의 PL(Photoluminescence) spectra
    [ 그림 3-12] Schematic energy-level model of the ZnS nanocrystal
    [ 그림 3-13] Eu 의 몰농도에 따른 PL spectrum
    [ 그림 3-14] SEM image of Eu doped ZnS
    [ 그림 3-15] Mn 농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6]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Mn concentratio
    [ 그림 3-17]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18] 교반 시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9] Luminescence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20] Luminescence ofZnS:Mn at different Mn concentration
    [ 그림 3-21] ZnS:Mn 의 저온에서의 건조와 진공에서 동결 건조한 powder 의 XRD
    [ 그림 3-22] SEM image of Mn doped ZnS
    [ 그림 3-23] PL(E) of ZnS:Mn synthesized by SSR and room temperat
    [ 그림 3-24] 저온 합성법과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ZnS:Mn PL spectra
    [ 그림 3-25] Luminescence chart of ZnS:Mn phosphors
    [ 그림 3-26] Schematic diagram of the used spray pyrolysis proces
    [ 그림 3-27] 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한 ZnS:Mn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28] 소성된 ZnS:Mn 형광체의 광 발광 스펙트라
    [ 그림 3-29] Emission spectrum of ZnS:Mn phosphor
    [ 그림 3-30] 900 ℃ 에서 pH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31] 소성 온도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r> [ 그림 3-33] XRD patterns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 그림 3-34] 입 도 분리 전의 SEM image
    [ 그림 3-35] 입 도분리 후의 ZnS:Mn 형광체의 SEM images
    [ 그림 3-36] 입 자크기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PL 과 PLE spectrum
    [ 그림 3-37] SEM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 그림 3-38] SEM of ZnS:Mn phosphor used with surface activato
    [ 그림 3-39] FT-IR patterns of ZnS:Mn phosphors sintered at diffe
    [ 그림 3-40] 고상법으로 제조된 ZnS:Mn 의 FT-IR
    [ 그림 3-41] Sol-gel reaction
    [ 그림 3-42] Flow chart of the preparation of ZnS:Cu nanoparticle
    [ 그림 3-43]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4]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5]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bulk and
    [ 그림 3-46] Color coordinate of the ZnS:Cu nanocrystals
    [ 그림 3-47]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ZnS:Cu nanocrystals
    [ 그림 3-48] The SEM of the ZnS:Cu nanocrystals by sol-gel method
    [ 그림 3-49] FT-IR pattern of the ZnS:Cu nanocrystals
    [ 그림 3-50] PL intensity of the ZnS:Mn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1] PL intensity of the ZnS:Mn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2] Color coordinate of the ZnS:Mn nanocrystals
    [ 그림 3-53]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4]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5] Color coordinate of the ZnS:Eu nanocrystals
    [ 그림 3-56] 졸 - 겔법으로 제작한 ZnGa O :Eu 형광체의 합성 순서도
    [ 그림 3-57] ZnGa O :Eu 형광체의 X- 선 회절무늬
    [ 그림 3-58] 졸 - 겔법으로 합성한 약 50nm 크기의 ZnGa O :Eu 형광체
    [ 그림 3-59] Sol-gel 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60]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PLE 스펙트럼
    [ 그림 3-61]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형광체의 XRD pattern
    [ 그림 3-62] 졸 - 겔법으로 제조된 형광체의 XRD pattern
    [ 그림 3-63] PL spectrum : 1000 ℃ 에서 소성된 BaAl S :Eu
    [ 그림 3-64] XRD patterns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5] PL spectrum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6] XRD pattern : 1100 ℃ 에서 H + N 분위기 소성
    [ 그림 3-67] PL spectrum : 1100 ℃
    [ 그림 3-68] SEM : 1100 ℃
    [ 그림 3-69] DTA curve of ZnS:Mn nanocrystalline powders coated w
    [ 그림 3-70] XRD patterns of ZnS:Mn nanocrystalline powders coate
    [ 그림 3-71] Flow chart for the synthesis of Y O :Eu using tartar
    [ 그림 3-72] IR spectra of the powder at different temperature.
    [ 그림 3-73] The XRD spectra of the dry gel sintered
    [ 그림 3-74] Emission spectra of Y O :Eu at (a) 500 ℃ and (b) 800
    [ 그림 3-75] CIE color coordinates for Y O :Eu phosphor
    [ 그림 3-76] Emission intensity as a function of sintering temper
    [ 그림 3-77] SEM micrographs of Y O :Eu phosphors
    [ 그림 3-78] Emission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b)
    [ 그림 3-79] I.R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0] SEM image of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1] 수열합성법으로 제조한 ZnGa O :Eu 형광체의 합성 순서도
    [ 그림 3-82]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83]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한 약 20nm 크기의 ZnGa O :Eu 형광체
    [ 그림 3-84]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FT-IR 스펙트럼
    [ 그림 3-85]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86]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의 PLE 스펙트럼
    [ 그림 3-87]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광 발광 소멸 시간 곡선
    [ 그림 3-88] Microemulsion synthesis route of nanosized YVO :Eu p
    [ 그림 3-89] XRD patterns of nano sized and bulk YVO :Eu phosphor
    [ 그림 3-90] PL spectra excited at 320nm of nano sized and bulk Y
    [ 그림 3-91] Schematic diagram of the Cathodeluminescene measurem
    [ 그림 3-92] CL spectrum from nano sized and bulk YVO :Eu phospho
    [ 그림 3-93] XRD pattern obtain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
    [ 그림 3-94] SEM image of Mn -doped ZnS nanoparticals
    [ 그림 3-95] Photoluminescence spectra for the samples made with
    [ 그림 3-96] Photoluminescent intensities plotted as a function o
    [ 그림 3-97] Relationship between PL intensity and the pH value
    [ 그림 3-98]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99]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100] Color coordinates of Y O :Eu phosphor
    [ 그림 3-101] SEM of Y O :Eu phosphor prepared at 1200 ℃
    [ 그림 3-102] XRD patterns of Y O :Eu phosphors using carbohydraz
    [ 그림 3-103] Brightness of (Gd Eu )O phosphor
    [ 그림 3-104]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
    [ 그림 3-105]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s synthesiz
    [ 그림 3-106]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at 1200 ℃
    [ 그림 3-107]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at 500 ℃
    [ 그림 3-108] Color coordinates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09] SEM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10] IR spectra of Gd O :Eu phosphor prepared at 1200 ℃
    [ 그림 3-111] Emission spectrum of LnPO :Tb phosphor
    [ 그림 3-112] SEM micrograph of (a) LaPO :Tb , (b) YPO :Tb , (c)
    [ 그림 3-113] X-ray diffraction pattern of YPO :Tb phosphor
    [ 그림 3-114]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 GdVO :Eu
    [ 그림 3-115]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 GdVO :Eu
    [ 그림 3-116] SEM photograph of YVO :Eu and GdVO :Eu prepared at
    [ 그림 3-117] XRD patterns of (a) YVO :Eu , (b) GdVO :Eu phosphor
    [ 그림 3-118] Emission spectrum of (a) YAlO :Eu , (b) GdAlO :Eu p
    [ 그림 3-119] SEM micrograph of as-prepared (a) YAlO :Eu, (b) GdA
    [ 그림 3-120] SEM micrograph of (a) YAlO :Eu, (b) GdAlO :Eu phosp
    [ 그림 3-121] X-ray diffraction pattern of (a) YAlO :Eu, (b) GdAl
    [ 그림 3-122] Emission spectra of the BaMgAl O :Eu
    [ 그림 3-123] Size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Ba Eu )MgAl O
    [ 그림 3-124] XRD pattern of (Ba Eu )MgAl O
    [ 그림 3-125] Synthesis processing BaMgAl O :Eu
    [ 그림 3-126] XRD pattern of BaMgAl O :Eu phosphor powder coated
    [ 그림 3-127] TEM micrograph of BaMgAl O :Eu phosphor particles c
    [ 그림 3-128] The emission spectra of BaMgAl O :Eu phosphor parti
    [ 그림 3-129] Schematic diagram of excitation, trapping and recom
    [ 그림 3-130] Energy band model for Photoluminescence
    [ 그림 3-131] EL 소자의 발광 원리
    [ 그림 3-132] Schematic representation to produce Electroluminesc
    [ 그림 3-133]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 그림 3-134]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diff
    [ 그림 3-135]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coated at di
    [ 그림 3-136] EDAX profiles a) coated and b) uncoated phosphors
    [ 그림 3-137] XRD curves of a) uncoated b) coated and c) SiO powd
    [ 그림 3-138] PL spectrum of uncoated and coated phosphor
    [ 그림 3-139]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at differ
    [ 그림 3-140] XRD pattern for the ZnS:Cu,Cl phosphor made after f
    [ 그림 3-141] XRD patterns of ZnS:Cu,Cl phosphor
    [ 그림 3-142] SEM photographs of the coated phosphor particles wi
    [ 그림 3-143] (CdSe)ZnS 양자점과 band diagram
    [ 그림 3-144] CdSe 양자점의 크기에 따른 UV-Vis. Absorption &
    [ 그림 3-145] (CdSe)ZnS 양자점의 UV-Vis. Absorption
    [ 그림 3-146] CdSe 와 (CdSe)ZnS 양자점의 발광 사진
    [ 그림 3-147] (CdSe)ZnS 코어 - 쉘 적색 반도체
    [ 그림 3-148] UV LED 와 적색 반도체 나노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149] 적색 반도체 양자점과 UV LED 를 결합하여 만든 적색 LED
    [ 그림 3-150] Screen printing process
    [ 그림 3-151] EL 소자의 단면
    [ 그림 3-152] PL/PLE spectra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3]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4]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l
    [ 그림 3-155]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6]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s
    [ 그림 3-157]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8]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9] The coordination of emission spectra of
    [ 그림 3-160] 다양한 color 를 구현하는 형광체를 이 용한 ELD
    [ 그림 3-161] ELD 의 활용 예 ( 휴대폰 key-pad, back-light 등에 이 용 )
    [ 그림 2- 1] The PLE and PL
    [ 그림 2- 4] (a) Schematic representation
    [ 그림 2- 5] Decay curves of the spectra of nanocrystalline ZnS:M
    [ 그림 2- 7] The comparison of the
    [ 그림 2-10] Decay curve
    [ 그림 2-12] Energy-level diagram
    [ 그림 2-14] Relative luminescence,
    [ 그림 2-15] Exciton excitation
    [ 그림 2-16] Bandwidth of the
    [ 그림 2-18] Qualitative cc diagram
    [ 그림 2-20] Variation of the PL in
    [ 그림 2-22] 에서 site C 를 나타내는 solid line 은 아래 식과 different fillin
    [ 그림 2-22] The dependence of the
    [ 그림 2-23] PL-emission spectra
    [ 그림 2-25] QE of different samples
    [ 그림 2-27] Emission spectra of
    [ 그림 2-29] Emission spectra(b) and
    [ 그림 2-30] Average particle size of
    [ 그림 2-33] SEM micrograph of (a)
    [ 그림 2-34] (a) Excitation spectra of SrAl O :0.1Eu obtained at
    [ 그림 2-35] Excitation and
    [ 그림 2-36] Decay kinetics of Tb
    [ 그림 2-38] Decay kinetics of Eu
    [ 그림 2-39] Luminescent intensity of Eu
    [ 그림 2-40] Photoluminescence spectra,
    [ 그림 2-42] Emission spectra of
    [ 그림 2-44] Room-temperature
    [ 그림 2-46] XRD patterns of
    [ 그림 2-47] Photoluminescence
    [ 그림 2-48] Excitation spectrum of the
    [ 그림 2-49] Excitation spectra (left)
    [ 그림 2-50] Excitation and emission
    [ 그림 2-51] PL spectra of ZnS:Mn [ 그림 2-52] PL spectra of ZnS:Mn
    [ 그림 2-53] SEM photograph of
    [ 그림 3- 1] (A) 상태 밀도에 따른 에
    [ 그림 3- 2] 분말 제조 방법에 따른 합성 방법
    [ 그림 3- 3] 졸 - 겔법의 응용
    [ 그림 3- 4] Auto ball milling method
    [ 그림 3- 5] 희토류 원소의 quenching 현상
    [ 그림 3- 7] (a) Luminance vs voltage for two annealed nanopartic
    [ 그림 3 -8] Luminous efficiency
    [ 그림 3- 9] 저온합성법을 이 용한 ZnS:Eu 의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10] 은 저온합성법으로 제조한 ZnS:Eu XRD pattern 이 다 . ZnS:Eu 는
    [ 그림 3-10] X-ray diffraction of ZnS:Eu
    [ 그림 3-11] 은 ZnS:Eu 의 PL spectrum 이다 . 다음과 같이 세 개의 emission pea
    [ 그림 3-11] ZnS:Eu 의 PL(Photoluminescence) spectra
    [ 그림 3-12] Schematic energy-level model of the ZnS nanocrystal,
    [ 그림 3-13] Eu 의 몰농도에 따른 PL spectrum
    [ 그림 3-13] 은 Eu 의 몰농도에 따른 PL spectrum 이 다 .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 그림 3-14] SEM image of Eu doped
    [ 그림 3-14] 는 ZnS:Eu 의 SEM 사진이다 . 사진을 통해 약 20nm 의 입 자크기를 확
    [ 그림 3-15] 의 XRD pattern 을 보면 합성된 ZnS:Mn nano-phosphor 의 결정 구
    [ 그림 3-15] Mn 농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6]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Mn
    [ 그림 3-16] 은 Mn 의 몰 농도에 따른 PL 과 PLE spectrum 이 다 . spectrum 을 통
    [ 그림 3-17]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18] 교반 시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7] 은 반응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교반 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PL 과
    [ 그림 3-18] 은 교반 시간에 따른 XRD pattern 을 나타낸 것이 다 . 전체적인 결정구
    [ 그림 3-19] Luminescence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19] 와 [ 그림 3-20] 은 교반 시간과 Mn 의 몰농도에 따른 밝기를 나타낸 그
    [ 그림 3-20] Luminescence of ZnS:Mn at different Mn
    [ 그림 3-21] ZnS:Mn 의 저온에서의 건조와 진공에서 동결 건조한
    [ 그림 3-21] 은 건조방법을 공기 중에서와 진공 상태에서 동결 건조 하였을 때 측
    [ 그림 3-22] 는 저온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ZnS:Mn 의 SEM 사진이다 . 입 자의 크
    [ 그림 3-22] SEM image of Mn
    [ 그림 3-23] PL(E) of ZnS:Mn synthesized by SSR and room
    [ 그림 3-23] 은 주로 bulk 한 형광체 합성 방법으로 이 용되고 있는 고상법과 나노
    [ 그림 3-24] 저온 합성법과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ZnS:Mn PL
    [ 그림 3-25] Luminescence chart of ZnS:Mn phosphors
    [ 그림 3-26] Schematic diagram of the used spray pyrolysis proces
    [ 그림 3-27] 분무 열분해법을 이 용한 ZnS:Mn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28] 은 포집된 ZnS:Mn powder 의 spraying solution 의 pH 값 및 소성
    [ 그림 3-28] 소성된 ZnS:Mn 형광체의 광 발광 스펙트라
    [ 그림 3-29] Emission spectrum of ZnS:Mn phosphor for (a)
    [ 그림 3-30] 900 ℃ 에서 pH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31] 소성 온도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30] 과 [ 그림 3-31] 은 ZnS:Mn 의 900 ℃ 에서 pH 값에 따른 XRD patter
    [ 그림 3-32] 소성 온도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PL spectrum
    [ 그림 3-33] 은 filer 의 위치에 따라서 포집된 형광체 입 자의 XRD pattern 을 나타
    [ 그림 3-33] XRD patterns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a)
    [ 그림 3-34] 는 SEM 사진으로써 , 분무 열분해법으로 만들어진 입자들은 다공성입
    [ 그림 3-34] 입 도 분리 전의 SEM
    [ 그림 3-35] 입도분리 후의 ZnS:Mn 형광체의 SEM images
    [ 그림 3-36] 입 자크기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PL 과 PLE
    [ 그림 3-37] 은 filter 가 위치한 부분에 따라 나타나는 입 자의 SEM 사진으로 (a) 는
    [ 그림 3-37] SEM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 그림 3-38] SEM of ZnS:Mn phosphor used with
    [ 그림 3-39] FT-IR patterns of ZnS:Mn phosphors sintered at
    [ 그림 3-39] 는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ZnS:Mn 의 온도에 따른 FT-IR 이다 . 온
    [ 그림 3-40] 고상법으로 제조된 ZnS:Mn 의 FT-IR
    [ 그림 3-41] Sol-gel reaction
    [ 그림 3-42] Flow chart of the preparation of
    [ 그림 3-43]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3] 은 졸 - 겔법을 이 용해 stirring 시의 pH 의 값을 2 ~ 10 까지 변화시켜가
    [ 그림 3-44]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4] 는 여기 파장을 420nm 로 고정시켰으며 , ZnS:Cu nanocrystals 의 sulf
    [ 그림 3-45]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bulk and
    [ 그림 3-45] 는 bulk size 형광체와 nanosize 형광체의 emission spectrum 을 비
    [ 그림 3-46] Color coordinate of the
    [ 그림 3-46] 은 thiourea 룰 sulfur solution 으로 하였고 용액의 pH 의 값을 7 로
    [ 그림 3-47]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ZnS:Cu
    [ 그림 3-48] The SEM of the
    [ 그림 3-48] 은 졸 - 겔법으로 제조된 nanocrystals 의 ZnS:Cu 형광체의 SEM 사진
    [ 그림 3-49] FT-IR pattern of the ZnS:Cu nanocrystals
    [ 그림 3-49] 는 가장 좋은 photoluminescence 의 특성을 보인 ZnS:Cu
    [ 그림 3-50] 은 졸 - 겔법을 이 용해 stirring 시의 pH 값을 2 ~ 10 까지 변화시켜가며
    [ 그림 3-50] PL intensity of the ZnS:Mn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그림 3-51] 은 장을 420nm 로 고정시켰으며 sulfur solution 을 달리하고 값을 7 로 하
    [ 그림 3-52] Color coordinate of the ZnS:Mn
    [ 그림 3-52] 는 sulfur solution 을 thiourea 를 사용하고 용액의 pH 의 값을 7 로
    [ 그림 3-53]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3] 은 졸 - 겔법을 이 용해 stirring 시의 pH 의 값을 2 ~ 10 까지 변화시켜가
    [ 그림 3-54]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4] 는 여기 파장을 420nm 로 고정시켰으며 , ZnS:Eu nanocrystals 의
    [ 그림 3-55] Color coordinate of the ZnS:Eu
    [ 그림 3-55] 는 sulfur solution 을 thiourea 를 사용하고 용액의 pH 의 값을 7 로
    [ 그림 3-56] 졸 - 겔법으로 제작한 ZnGa O :Eu 형광체의 합성 순서도
    [ 그림 3-57] 은 합성된 ZnGa O :Eu 시료들의 X- 선 회절 무늬를 보여준다 . 졸 - 겔
    [ 그림 3-57] ZnGa O :Eu 형광체의 X- 선 회절무늬
    [ 그림 3-58] 졸 - 겔법으로 합성한 약 50nm
    [ 그림 3-59] Sol-gel 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60]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PLE 스펙트럼
    [ 그림 3-61]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 그림 3-62] 졸 - 겔법으로 제조된
    [ 그림 3-62] 의 1) Eu doping 량은 0.05g 이 고 2) Eu doping 량은 0.05g 이
    [ 그림 3-63] 은 1000 ℃ 에서 N /H 혼합기체 분위기에서 3 시간 소성된 BaAl S :Eu
    [ 그림 3-64] 는 900 ℃ , 1000 ℃ , 1100 ℃ 로 N /H 혼합기체 분위기에서 3 시간 동안
    [ 그림 3-63] PL spectrum : 1000 ℃ 에서 소성된 BaAl S :Eu
    [ 그림 3-64] XRD patterns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5] PL spectrum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6] XRD pattern : 1100 ℃ 에서 H + N 분위기 소성
    [ 그림 3-65] 에서 보면 , 900 ℃ 에서는 물질이 완전히 소성되지 못했기 때문에 발광
    [ 그림 3-66] 은 H /N 혼합가스 분위기에서 3 시간 동안 소성된 BaAl S :Eu 의
    [ 그림 3-67] PL spectrum : 1100 ℃ [ 그림 3-68] SEM : 1100 ℃ 에서 소성
    [ 그림 3-68] 은 (7) 의 조건에서 합성한 형광체의 SEM 사진이 다 . (7) 는 입 자 크기가
    [ 그림 3-69] DTA curve of ZnS:Mn (0.01wt%) nanocrystalline
    [ 그림 3-70] XRD patterns of ZnS:Mn (0.01wt%) nanocrystalline
    [ 그림 3-71] Flow chart for the synthesis of
    [ 그림 3-72] IR spectra of the powder at different
    [ 그림 3-73] The XRD spectra of the dry gel sintered at different
    [ 그림 3-74] Emission spectra of Y O :Eu at (a) 500 ℃ and (b) 800
    [ 그림 3-75] CIE color coordinates for
    [ 그림 3-76] Emission intensity as a function of sintering
    [ 그림 3-77] SEM micrographs of Y O :Eu phosphors
    [ 그림 3-78] Emission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b)
    [ 그림 3-79] I.R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0] a) SEM image of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1] 수열합성법 (Hydrothermal method) 으로 제조한
    [ 그림 3-82] 는 합성된 ZnGa O :Eu 시료들의 X- 선 회절 무늬를 보여준다 . 수열합
    [ 그림 3-82]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83]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한 약
    [ 그림 3-84]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FT-IR 스펙트럼
    [ 그림 3-84] 는 nano size ZnGa O :Eu 와 bulk ZnGa O :Eu 의 FT-IR 스펙트
    [ 그림 3-85]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 그림 3-86]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의 PLE 스펙트럼
    [ 그림 3-87]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광 발광 소멸 시간 곡선
    [ 그림 3-88] Microemulsion synthesis route of nano
    [ 그림 3-89] XRD patterns of nano sized and bulk YVO :Eu
    [ 그림 3-90] (a), (b) 는 광 발광 및 여기 스펙트럼이 다 . 320 nm 로 여기시킨 나노와
    [ 그림 3-90] (a) PL spectra excited at 320nm of nano sized
    [ 그림 3-90](a) 의 광 여기 스펙트럼을 보면 나노크기 YVO :Eu 의 V-O 여기 밴드
    [ 그림 3-91] Schematic diagram of the Cathodeluminescene
    [ 그림 3-91] 는 직접 제작한 CL(cathodoluminescene) 장비 개략도이 다 . ITO 기판위
    [ 그림 3-92] CL spectrum from nano sized and bulk YVO :Eu
    [ 그림 3-93] XRD pattern obtained with (a) the different
    [ 그림 3-94] (a) SEM image of Mn -doped ZnS nanoparticals (b) The
    [ 그림 3-95] Photoluminescence spectra for the samples made with
    [ 그림 3-96] Photoluminescent intensities plotted as a
    [ 그림 3-97] Relationship between PL intensity and the pH
    [ 그림 3-98]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99]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98] 은 기존의 합성방법과 연소합성법으로 1200 ℃ 으로 소성 시 제조된 형
    [ 그림 3-100] Color coordinates of Y O :Eu phosphor
    [ 그림 3-101] SEM of Y O :Eu phosphor prepared at
    [ 그림 3-101] 은 carbohydrazide 를 이용한 Y O :Eu 는 연소합성법에 의해서 그 결정
    [ 그림 3-102] XRD patterns of Y O :Eu phosphors using
    [ 그림 3-103] Brightness of (Gd Eu )O phosphor prepared
    [ 그림 3-104]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
    [ 그림 3-105]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s
    [ 그림 3-106]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107]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108] Color coordinates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09] SEM of Gd O :Eu phosphor prepared
    [ 그림 3-110] IR spectra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11] Emission spectrum of
    [ 그림 3-112] SEM micrograph of (a) LaPO :Tb ,
    [ 그림 3-113] (a), (b), (c) X-ray diffraction pattern of
    [ 그림 3-114]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GdVO :Eu after
    [ 그림 3-115]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 GdVO :Eu as
    [ 그림 3-116] SEM photograph of (a) YVO :Eu at
    [ 그림 3-117] XRD patterns of (a) YVO :Eu , (b) GdVO :Eu
    [ 그림 3-118] Emission spectrum of (a) YAlO :Eu , (b)
    [ 그림 3-119] SEM micrograph of as-prepared (a) YAlO :Eu,
    [ 그림 3-120] SEM micrograph of (a) YAlO :Eu, (b)
    [ 그림 3-121] X-ray diffraction pattern of (a) YAlO :Eu ,
    [ 그림 3-122] Emission spectra of the BaMgAl O :Eu (a) made
    [ 그림 3-123] Size and particle
    [ 그림 3-124] XRD pattern of (Ba Eu )MgAl O obtained
    [ 그림 3-125] Synthesis processing BaMgAl O :Eu
    [ 그림 3-126] XRD pattern of BaMgAl O :Eu phosphor
    [ 그림 3-127] TEM micrograph of
    [ 그림 3-128] The emission spectra of
    [ 그림 3-129] Schematic diagram of excitation, trapping and
    [ 그림 3-130] Energy band model for
    [ 그림 3-131] EL 소자의 발광 원리
    [ 그림 3-132] (a) 는 ZnS 한 개의 입 자 (particle) 에 대하여 전계 (electric fi
    [ 그림 3-132] Schematic representation to produce
    [ 그림 3-133]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 그림 3-134]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 그림 3-135]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 그림 3-136] EDAX profiles a) coated and b) uncoated phosphors
    [ 그림 3-138] PL spectrum of uncoated and coated phosphor
    [ 그림 3-139]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at
    [ 그림 3-140] XRD pattern for the ZnS:Cu,Cl phosphor made after f
    [ 그림 3-141] XRD patterns of ZnS:Cu,Cl phosphor : a) after first
    [ 그림 3-142] SEM photographs of the coated phosphor
    [ 그림 3-143] (CdSe)ZnS 양자점과 band
    [ 그림 3-144] CdSe 양자점의 크기에 따른 UV-Vis. Absorption &
    [ 그림 3-145] (CdSe)ZnS 양자점의 UV-Vis. Absorption &
    [ 그림 3-146] CdSe 와 (CdSe)ZnS 양자점의 발광 사진
    [ 그림 3-147] (CdSe)ZnS 코어 - 쉘 적색 반도체
    [ 그림 3-147] 에 습식화학 합성법에 의하여 만든 (CdSe)ZnS 코어 - 쉘 적색 반도체
    [ 그림 3-148] UV LED 와 적색 반도체 나노
    [ 그림 3-149] 적색 반도체 양자점과 UV LED
    [ 그림 3-150] Screen printing process
    [ 그림 3-151] EL 소자의 단면
    [ 그림 3-152] PL/PLE spectra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3]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4]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 그림 3-153] 은 주파수를 400Hz 로 고정시키고 ZnS:Cu 형광체의 전압에 따른
    [ 그림 3-154] 는 전압을 고정시키고 ZnS:Cu 형광체의 주파수에 따른 emission
    [ 그림 3-155]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5] 는 주파수를 400Hz 로 고정시켰을 때의 ZnS:Cu 형광체의 전압에 따
    [ 그림 3-156]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 그림 3-156] 은 전압을 고정시키고 20 ㎛ 이 하의 ZnS:Cu 형광체의 주파수에 따른
    [ 그림 3-157] 과 [ 그림 3-158] 은 각각 I-V 와 I-F 의 크기에 대한 특성을 보이 며 크
    [ 그림 3-157]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8]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9] The coordination of emission spectra
    [ 그림 3-159] 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색좌표를 나타낸 그래프이현하는 형광체를
    [ 그림 3-161] ELD 의 활용 예 ( 휴대폰 key-pad, back-light 등에 이 용 )
    표목차
    < 표 1- 1> 형광체와 전자분야 이 용 현황
    < 표 1- 2> 연구 범위
    < 표 2- 1> 일반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2> 주요 형광체 업체와 시판되고 있는 형광체
    < 표 2- 3> 최근의 nano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4> Ultrasonic velocities and elastic module of single cr
    < 표 2- 5> Comparison between the wavelengths of nano-scale powd
    < 표 2- 6> Fluorescence branching ratios and fluorescence lifeti
    < 표 2- 7> 국내 형광체 주요 연구 기관 및 연구 현황
    < 표 3- 1> nano powder 의 합성법
    < 표 3- 2> 졸 - 겔법을 이 용한 ZnS 계 형광체의 합성표
    < 표 3- 3> ZnS:C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4> ZnS:Mn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5> ZnS:E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6> Dependence of doped concentration of Mn on the lumine
    < 표 3- 7> Dependence of the coating polymers on the luminescent
    < 표 3- 8> Dependence of calcined temperature on the luminescent
    < 표 3- 9>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Mn concentrati
    < 표 3-10>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hydrothermal s
    < 표 3-11> Result of EDAX
    < 표 3-12> Phot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p
    < 표 3-13>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coated phos
    < 표 3-14> The emission spectrum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표 1- 1> 형광체와 전자분야 이 용 현황
    < 표 1- 2> 연구 범위
    < 표 2- 1> 일반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2> 주요 형광체 업체와 시판되고 있는 형광체
    < 표 2- 3> 최근의 nano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4> Ultrasonic velocities and elastic module of single cr
    < 표 2- 5> 에서 보이 는 바와 같이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에서 크기효과
    < 표 2- 5> Comparison between the wavelengths of nano-scale powd
    < 표 2- 6> Fluorescence branching ratios and fluorescence lifeti
    < 표 2- 7> 국내 형광체 주요 연구 기관 및 연구 현황
    < 표 3- 1> nano powder 의 합성법
    < 표 3- 2> 졸 - 겔법을 이 용한 ZnS 계 형광체의 합성표
    < 표 3- 3> ZnS:C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3> 은 상대휘도와 색좌표를 pH, sulfur solution 에 따라 나타내었고 기준
    < 표 3- 4> 는 상대휘도와 색좌표를 pH, sulfur solution 에 따라 나타내었고 기준
    < 표 3- 4> ZnS:Mn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5> ZnS:E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5> 는 상대휘도와 색좌표를 pH, sulfur solution 에 따라 나타내었고 기준
    < 표 3- 6> Dependence of doped concentration of Mn on the lumine
    < 표 3- 7> Dependence of the coating polymers on the luminescent
    < 표 3- 8> Dependence of calcined temperature on the luminescent
    < 표 3- 9>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Mn concentrati
    < 표 3-10>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hydrothermal s
    < 표 3-11> Result of EDAX
    < 표 3-12> Phot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p
    < 표 3-13>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coated phos
    < 표 3-14> The emission spectrum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C r : Y A G L a s e r 설 계 및 제 작
    1 . C r : Y A G L a s e r 결 정 과 결 정 가 공
    2 . 레 이 저 공 진 기 설 계
    제 3 절 레 이 저 의 발 진 과 파 장 가 변
    1 . 레 이 저 발 진 실 험
    2 . 비 점 수 차 보 정
    3 . 결 정 온 도 에 따 른 발 진 출 력
    4 . 레 이 저 반 복 률 과 공 진 기 길 이
    5 . 파 장 가 변 실 험
    제 4 절 연 구 결 과 와 개 발 성 과 의 활 용 방 안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개 요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기술적 측면
    2.2 경제 . 산업적 측면
    2.3 사회 . 문화적 측면
    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3-1 은 본 기술의 완성을 위하여 연구개발 노력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져 현대 산업 뿐 아니라 미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의 연구개발 현황
    2. 국내의 연구개발 현황
    3. 본 연구팀의 연구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대용량 힘센서 최적화 기술 개발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3. 검 증
    4. 10 MN 고용량 힘센서 개발 및 평가
    5. 30 MN build-up 시스템 구축
    제 2 절 다축 힘센서 동특성 해석
    1. 서 론
    2. 다축 힘센서
    3. PTB 의 동적 힘 평가 장치
    4. 실험 장치
    5. 3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6. 6 분력 힘센서의 측정 결과
    7. 고강성 다축 힘센서의 동적 특성
    8. 동특성 평가 시스템
    9. 결 론
    제 3 절 피에조 필름 응용기술 개발
    1. 서 론
    2. 기존 축중감지기
    3. 축중감지기의 감지부 설계 및 제작
    4. 축중감지기의 특성 평가
    5. 결 론
    제 4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 :
    1. 서 론
    2. 기둥형 다축 힘 / 모멘트 센서
    3. 결과 및 토의
    4. 힘 / 모멘트 성분 추출 일반화
    5. 결론
    제 5 절 Built-in 센서 기술 개발 II : 스마트 탄성받침
    1. 서론
    2. 교량모드해석을 위한 이론적인 접근
    3. 스마트탄성 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안전성 체크 절차
    4. 결 론
    제 6 절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1. 서 론
    2.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3. 크립 특성 해석 및 오차 보상
    4. 결 론
    제 7 절 MEMS 를 이용한 미세 힘센서 개발
    1. 서론
    2. 미세 힘 센서를 위한 감지 요소의 설계
    3. 감도를 위한 완전결선 브릿지 설계
    4. 미세기계 기술을 이용한 감지요소의 설계 과정
    5. 결론
    제 8 절 대용량 힘 평가 정확도 향상
    1. 서론
    2. 10 MN build-up 힘표준기
    3. 6 MN build-up 시스템
    4. 2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측정
    5. NMIJ 20 MN 유압식 힘표준기와의 비교
    6. 결 론
    제 9 절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1. 서 론
    2. 시스템 원리 및 구성
    3. 자기회로 구성
    4. FEA 를 이용한 캔티레버의 설계 및 해석
    5. MEMS 공정에 의한 캔티레버 및 시스템 제작
    6. 결 론
    제 10 절 힘표준기 정확도 분석 DB 구축
    1. 서론
    2. 측정 방법
    3. 고정밀 build-up system
    4. 측정 결과
    5. 결 론
    제 11 절 고정밀 소용량 힘 평가 기술 개발
    가 . 200 N 용량의 실하중 힘표준기 개발
    나 . 나노 힘표준기 개발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 계획대비 목표 달성도
    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1 대용량 힘센서??
    2.3 기둥형 감지부를 이용한 다축 힘센서 개발
    2.4 스마트 탄성받침 개발
    2.5 미세 힘센서 개발
    2.6 고정밀 대용량 힘 발생기 오차 보상기법 개발
    2.7 대용량 힘평가 정확도 향상
    2.8 소용량 힘 평가장치 개발
    2.9 힘표준기 평가 DB 구축
    2.10 마이크로 힘측정 시스템 개발
    2.11 국제 힘표준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Nano Newton level 힘 표준기 개발의 필요성
    2. 현재 NIST 의 나노 힘 표준기 개발시 필요한 장비
    3. 힘표준기를 위한 항온항습실의 필요성
    1. 동적힘 표준 확립
    2. 미세 힘 평가 장치
    3. 대용량 토크표준기 개발
    4. 다축 힘센서 평가 장치
    제 7 장 참 고 문 헌
    1. A. Bray, 1972,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the Cha
    2. G.M. Robinson, 1986, "Errors due to Non-Uniform Axisymmetric
    3. G.M. Robinson, 1995,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Load
    4. G.M. Robinson, 1995, "The Influence of Contact Stresses on C
    5. K.G. Sundin and M. Johsson, 1985, "A Stiff and Compact Impac
    6. Mitchell, R. A., Wooley, R. M. and Fisher, C. R., 1971, "For
    7. Dae-Im Kang, 1994, "Design and Application of Force Measurin
    8. C. Y. Lee, D. I. Kang, 1998,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
    9. R. Kumme, M. Peters and A. Sawla, 1995 "Improvements of dyna
    10. R. Kumme, 1996 "Untersuchungen eines direkten Verfahrens zu
    11. R. Kumme, 1996 "The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dynamic
    12. R. Kumme, 1997 "The main influences on the dynamic properti
    13. Y. Fujii and H. Fujimoto, 1999 "Design Note: Proposal for a
    14. Y. Fujii, H. Fujimoto and S. Namioka, 1999 "Mass measuremen
    15. Y. Fujii and H. Fujimoto, 1999 "Measurement of frictional c
    16. M. Kobusch, T. Bruns, R. Kumme and Y.-K. Park, 2002 "Prelim
    17. Y.-K. Park, R. Kumme and D.-I. Kang, 2002 "Dynamic investig
    18. D.-I. Kang, G.-S. Kim, H.-G. Song and J.-T. Lee, 1997 "Char
    19. G.-S. Kim, D.-I. Kang, S.-Y. Joung and J.-W. Joo, 1997 "Des
    20. D.-I. Kang, S.-Y. Jeoung and J.-W. Joo. 1987 "Design and ev
    21. G.-S. Kim, 2000 "The development of a six-component force/m
    22. 노관섭 , 1997, " 국내 포장의 유지보수 현황 및 개선 방향 ," 도로교통 안점협회 기술보
    23. 손병기 , 1992, 센서의 압전변환기능 , 일진사 , pp.28-30.
    24. 염영 하 , 1996, 신편 기계공작법 , 동명사 , pp.142-154.
    25. K. Ono and Y. Hatamura, 1986, "A New Design for 6-component
    26. Y. Hatamura, K. Matsumoto and H. Morishita, 1989, "A Miniat
    27. 김갑순 , 강대임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병렬판 구조를 이 용한 3 분력 로드셀 감지부의
    28. 강대임 , 김갑순 , 정수연 , 주진원 , 1997, " 실험계획법에 의한 쌍안경식 6 축 로드셀의 설
    29. C. Schwarzinger, L. Supper and H. Winsauer, 1992, "Strain G
    30. The Staff of Measurements Group, 1988, "Strain Gage Based T
    31. 강대임 , 1994, "BUILD-UP 기법을 이 용한 힘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응용 ", 박사학위
    32. C.C. Lin, T.T. Soong and H.G. Natke, 1990, "Real time syste
    33. M. Sanayei and O. Onipede, 1991 "Damage assessment of struc
    34. H.J. Miesseler and R. Lessing, 1989 "Monitoring of load bea
    35. J.M. Caussignac, M. Barbachi and A. Chabert, 1996 "Bridge b
    36. Piezo film sensors technical manual, Measurement Specialtie
    37. R. Hajela and F.I. Soeiro, 1990 "Structural damage detectio
    38. E. Crawely and E. Anderson, 1989 "Detailed models of piezoc
    39. S. Jung and S. Kim, 1994 "Improvement of scanning accuracy
    40. P. Ge and M. Jouaneh, 1996 "Tracking control of piezocerami
    41. 정회원 , 2001 " 압전소자 구동기의 이 력과 크립현상의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박
    42. L.D. Landau and E.M.Lifshitz, 1960 "Electrodynamics of Cont
    43. Preisach F., 1935 "On Magnetic Aftereffect", Zeitschrift fu
    44. Thomas W. Bartel and Simone L. Yaniv, 1997 "Creep and creep
    45. B.J. Kane, M.R. Cutkosy and G.T.A. Kovacs, 1996 "CMOS-compa
    (A), Vol. 54, pp.511-516.
    46. T. Mei, W.J. Li, Y. Ge, Y. Chen, L. Ni and M.H. Chan, 2000
    47. L. Wang and D.J. Beebe, 2000   "A silicon-shear force senso
    48. Timoshenko and Woinowsky-Krieger, 1959 Theory of plates and
    49. ANSYS Ver. 5.5 Manual, 2000.
    50. K.E. Pennywitt, Robotic tactile sensing, in Byte, pp. 177-2
    51. K.E. Petersen, 1982 "Silicon as a mechanical material,"   P
    52. J.J. Wortman and R.A. Evans,   1965 "Youngs modulus, shear
    53. T.C.T. Ting, 1995 "Generalized Dundurs constant for anisotr
    54. J.H. Kim, W.K. Cho, Y.K. Park and D.I. Kang, 2002 "Design a
    55. Mohamed, Gad-el-Hak, 2001, The MEMS Handbook, CRC Press.
    56. M.I.Lutwyche, M.Despont, U.Dreshsler, U.Durig, W.Haberle, H
    57. L. Doering and U.Brand, "Si-cantilever with integrated piez
    58. Stephen A. Joyce and J.E. Houston, 1990 "A new force sensor
    59. Peter J Cumpson and John Hedley, 2003, "Accurate analytical
    60. D.W.Lee, Takahito Ono and M. Esashi, 2000 "Cantilever with
    1. 연구목표 및 내용
    2. 연구수행결과 현황 ( 연구종료시점까지 )
    3. 연구성과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5. 기대효과
    6.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 . 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Ⅰ . 추진경위
    1. 추진배경
    2. 사업의 중요성
    3. 기획 추진 일정
    Ⅱ . 사업추진의 타당성
    1. 국제적 요구 환경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2. 표준 ( 연 ) 환경 기준
    가 . 표준 ( 연 ) ISO 품질방침
    나 . 교정 . 시험 . 표준물질 환경 관리 절차
    3.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4. 추진 타당성 및 성공 가능성
    가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정부가 지원해야 할 타당성
    나 . 국가 지원 근거
    다 . 2005 년도 추진대상 사업으로 선정해야 하는 당위성 . 시급성
    Ⅲ . 세부 기획 내용
    1. 사업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추진전략 및 체계
    5. 소요 예산 규모
    가 . 연차별 투자 계획
    나 . 세부내역 ( 총괄 )
    다 . 청정 연구실 설치 내역
    참고문헌
    부록
    목차
    목차
    1. MBE Growth System and QD Analysis Techniques
    2. In-situ Real-time QD Monitoring Technique by RHEED
    1.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ingle-Layered QD (SQD)
    2. Formation and Analysis of Multi-Layered QD (MQD)
    3. Analysis of Power and Temperature Dependences of PL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 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장비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 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고문헌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1. 연차 및 최종 목표
    2. 주요 내용 및 범위
    3. 추진 체계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기술개발 현황 및 분석
    1. 연구개발 개요
    2. 연구개발 실적 및 동향 분석
    제 2 절 기대성과 및 향후 전망
    1. 기대성과
    2. 향후 전망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MBE 를 이용한 양자점 성장 제어 및 분석 기술
    1. MBE 성장 및 양자점 분석 기술
    2. RHEED 를 이용한 실공간 - 실시간 양자점 제어 기술
    제 2 절 (InGa)As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적층 및 특성 분석
    제 3 절 (InGa)N 계열 양자점 성장 및 제어 기술
    1. 단층 양자점 (SQD) 제작 및 특성 분석
    2. 다층 양자점 (MQD) 형성 및 특성 분석
    3. 여기출력 및 온도 의존성 발광 특성 분석
    제 4 절 (InGa)As 계열 양자점의 파장변조 기술
    1. InAs 단층 양자점 (S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2. InAs 복층 양자점 (DQD)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3. InGaAs 양자점 사슬 (QDC) 파장변조 및 특성 분석
    제 4 장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제 6 장 참 고 문 헌
    A. Y. Kim, G. O. Mueller, J. C. Bhat, S. A. Stockman, and P. S.
    부록
    목차
    1.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 자문회의 (NSERC)
    2.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연구 자문회의 (SSHRC)
    3. 캐나다 보건연구소 (CIHR)
    1. 캐나다 산업부 (IC)
    2. 캐나다 국립연구자문회의 (NRC)
    3. 캐나다 농무식?부 (DFO)
    6. 캐나다 보건부 (HC)
    7. 캐나다 천연자원부 (NRCan)
    (1) 독일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독일연방물리기술청 ( Phisikalisch Technische Bundesanstalt)
    (2) 영국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영국물리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 라 ) 국립공학연구소 (National Engineering Labolatory)
    ( 마 ) 정부화학공무원연구소 (Laboratory of the Government Chemist)
    ( 바 ) 국립법정계량연구소 (National Weights and Measures Laboratory)
    (3) 프랑스
    ( 가 ) 국가연구개발체계
    ( 나 )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 다 ) 국가표준 체계
    ( 라 ) 표준국 (Bureau National de Metrologie,BNM)
    (4) 이태리
    ( 가 ) 국가연구개발 체계
    ( 나 ) 국가표준 체계
    ( 다 ) 국립표준연구소 (CNR-IMGC)
    ( 라 ) 국립전기기술연구소 (IEN)
    1.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
    2. MEP(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Program)
    3. BNQP(Baldrige National Quality Program)
    ⅰ ) ATP
    ⅱ ) MEP
    ⅲ ) BNQP
    1. 요약
    2. Goal 1 의 영향
    (1) 보건의 질 확보
    (2) 정보 / 지식관리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3. Goal 1 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영역
    (1) 보건의 ( 품 ) 질 확보
    ⅰ ) 기술 / 산업 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공헌 ( 기여 )
    ⅳ ) 영향 ( 파급효과 )
    (2) 정보 / 지식관리
    ⅰ ) 기술 /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 / 연구목표
    ⅲ ) NIST 의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3) 나노크기의 측정과 data
    ⅰ ) 기술 및 산업동향
    ⅱ ) 전략적 필요성과 연구목표
    ⅲ ) NIST 부가가치
    ⅳ ) 파급효과
    1. 기대효과
    2. Goal 3 을 이루기 위한 전략
    1. 기대효과
    2. 전략
    (1) 높은 성과를 내는 사업관행과 관련된 data 와 정보를 수입 하고 보급 , MEP
    (2) MEP program 의 marketing 능력을 향상시킴
    (3) NIST 의 연구실 능력과 핵심역량을 상승작용으로 이용하여 program 의 서
    (4) 매출기반을 확대하고 안정화시킴
    1. 기대효과
    2. 전략
    (1) 다양한 원천의 고객 data 와 정보를 수집
    (2) 고객과의 접촉을 확대
    (3) 고객의 필요 / 요구사항 / 기대를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 data 를 수집하고
    (4) 작업시스템과 프로세스 속으로 고객의 초점을 구축
    1. 기대효과
    2. 전략
    (1) 측정과 관련된 정보의 세계화를 위한 주요 관문국 ( 창구 ) 이 되라 .
    (2) 통합된 행정 , 사무 , project 관리시스템에 대한 모든 NIST staff 의 단일관문 ( 단
    (3) 10% 향상
    (4) 모든 NIST 파트너 , 자금 수혜자와 신청자 , 고객들과 보안성 있고 , 단일관문국이
    (5) 지식관리를 통해 모든 NIST 활동 수행에서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라 .
    (6) 통합된 기반구조와 독립적인 연구실 자원 모두를 포함하여 중요한 과학적인 컴
    1. Introduction
    2. 전략적 기획 배경
    2.1 NMS 에서 NMI 의 역할
    2.2 NMI 의 미래 역할
    2.3 INMS 의 도전과 기회
    2.3.2 교정 및 측정서비스의 보급
    3. 비전 , 미션 , 전략적 목표
    4. 전략적 제안
    4.1 주요한 측정표준 연구
    4.2 측정과 교정능력에 대한 연구 개발
    4.2.1 산업계 주도의 연구 및 개발
    4.2.2 공공제품의 측정 능력과 보급을 향상시키는 연구 개발
    4.3 교정 및 측정서비스 보급
    4.3.1 화학측정
    4.3.2 물리적인 측정 : 교정시험소 평가서비스
    4.3.3 물리적인 측정 : 다른 보급 서비스
    4.4 국제 측정과학
    4.5 Canada 의 NMS 에 대한 지도자 역할
    4.6 확산과 교육
    5. 자원에 관한 요구사항
    6. 실행전략 (implementation strategy)
    6.1 지금까지의 진행과정
    6.2 추가자원에 대한 필요성
    7. 2012 년의 INMS
    8. 성과목표와 측정
    9. 성과보고
    10. 비용 / 편익 분석
    11. 투자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
    11.1 Canada 의 혁신 전략을 위한 측정과학 지원의 부족
    11.2 새로운 측정과학의 영역에서 기회를 상실할 경우
    11.3 선두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짐
    11.4 국가측정시스템 (NMS) : 정부의 과학에 대한 핵심 역할
    (1) Division 1 : mechanics and acustics
    (2) Division 2 : electricity
    (3) Division 3 : thermodynamics and explosion protection metrol
    (4) Divesion 4 : optics photometry, radiomerty, time
    (5) Division 5 : precision engineering, mask metrology, coordin
    (6) Division 6 : ionising radiation
    (7) Division 7 : temperature and synchrotron radiation
    (8) Division 8 : medical physics and metrological IT
    (9) Division Q : scientific and technical cross-sectional tasks
    (10) Division Z : 행정 및 서비스 부 .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양식
    2. 외부전문가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
    1. 비전설정은 공감을 주는가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장동향은 잘 기술되어 있는가 ?
    3. 전체사업 맥락에서 세부과제 구성은 잘 되었는가 ?
    4. 사업목표와 세부과제의 연구 내용 및 범위는 구체적인가 ?
    5.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은
    6. 기타 본 사업계획서를 보시고 느낀점과 보완해야할 부분을 말씀해
    제 1 절 기술의 정의 및 개요
    제 2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제 3 절 기술환경 분석
    1. 국내외 동향
    가 . 국외동향
    나 . 국내 동향
    2. 핵심요소기술 분석
    가 . 핵심요소기술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나 . 핵심요소기술 확보 방안
    3. 국내외 관련산업 현황
    4. 시장 성숙도 및 수요 예측
    가 . 시장성숙도 예측
    나 . 시장 수요 예측
    5. 정부정책 및 관련 국가사업 현황
    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황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가 . 최종목표
    나 . 연구내용
    2.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기술개발 이정표
    4. 연구개발결과 평가 기준
    제 5 절 연구개발 소요예산
    1. 단계별 소요예산
    2. 소요예산 산출 내역
    제 6 절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체계
    1. 연구개??
    가 . 추진체계
    나 . 추진 일정
    제 7 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기대효과
    가 . 기술적 측면
    나 . 경제 . 산업적 측면
    2. 활용방안
    참고문헌
    목차
    제 1 절 서론
    제 2 절 인체 진동 측정 좌표 계
    제 3 절 전신 진동 측정 장치 및 방법
    제 4 절 전신 진동의 평가방법 및 인체 영향 고찰
    제 5 절 맺음말
    제 1 절 서 론
    제 2 절 가중함수의 특징과 모델
    제 3 절 건물진동의 측정 및 결과
    제 4 절 결 론
    제 1 절 개인 신상에 관한 질문
    1. 생년월일과 성별을 기입해 주세요 . 년 월 일
    2. 키는 얼마입니까 ? cm
    3. 어느 쪽 손을 주로 사용하십니까 ?
    4. 당신이 속하는 인종은 ?
    5. 당신은 한 달 이상동안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십니까 ?
    6. 지난 일주일 동안 업무 (a paid job) 를 보셨습니까 ? 예 □ , 아니오 □
    제 2 절 주 업무에 관한 질문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7. 시간 분
    8. 시간 분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
    5. 시간 분
    6. 시간 분
    제 3 절 다른 업무의 수행
    1. 시간 분
    2. 시간 분
    3. 시간 분
    4. 시간 분?간 분
    제 4 절 과거의 업무와 피폭
    1. 2.
    제 5 절 건강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 구 개 발 과 제 의 개 요
    제 1 절 연 구 개 발 의 목 적
    1 . 연 구 개 발 의 최 종 목 표
    2 . 연 구 개 발 의 내 용 및 범 위
    제 2 절 연 구 개 발 의 필 요 성
    제 2 장 국 내 외 기 술 개 발 현 황
    제 3 장 연 구 개 발 수 행 내 용 및 결 과
    제 1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이 론 적 배 경
    1 . 세 슘 원 자 의 에 너 지 준 위
    2 . 원 자 의 레 이 저 냉 각 및 포 획
    3 . 이 광 자 냉 각 이 론
    4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의 원 리
    제 2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원 자 분 수 용 진 공 조 제 작
    3 . 원 자 분 수 실 험
    4 . R a m s e y 공 진 신 호 관 측
    제 3 절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1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실 험 실 마 련
    2 .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용 부 품 성 능 개 선
    3 . 자 기 차 폐 및 정 자 장 발 생 장 치 제 작
    4 . 두 번 째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에 서 레 이 저 냉 각 실 험
    제 4 절 원 자 분 수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관 련 기 초 연 구
    1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의 속 도 선 택 용 레 이 저 시 스 템 개 발
    2 . G P S / G L O N A S S 를 이 용 한 시 각 비 교
    3 . M O T 에 포 획 된 원 자 구 름 의 공 간 분 포
    4 . 레 이 저 냉 각 된 원 자 에 서 전 자 기 유 도 투 과 현 상 에 대 한 연 구
    5 . 라 만 필 드 에 의 해 유 도 된 결 맞 음 의 일 시 적 진 동 에 관 한 연 구
    6 . 루 비 듐 셀 을 이 용 한 주 파 수 표 준 기 개 발 연 구
    제 5 절 국 가 지 정 연 구 실 운 영 현 황
    1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2 . 인 터 넷 을 통 한 한 국 표 준 시 보 급
    3 . 국 가 지 정 연 구 실 현 판 부 착
    제 4 장 목 표 달 성 도 및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제 1 절 연 구 목 표 달 성 도
    1 . 연 구 목 표 달 성 도
    2 . 연 구 개 발 주 요 결 과
    3 . 연 구 개 발 성 과
    제 2 절 관 련 분 야 에 의 기 여 도
    가 . 홈 페 이 지 운 영 및 활 용 현 황
    나 . 산 . 학 . 연 연 구 협 력
    다 . 국 내 외 연 구 기 관 과 협 력
    제 5 장 연 구 개 발 결 과 의 활 용 계 획
    제 6 장 연 구 개 발 과 정 에 서 수 집 한 해 외 과 학 기 술 정 보
    1 . 세 계 각 국 표 준 기 관 의 원 자 시 계 개 발 기 술 현 황 및 기 술 정 보 .
    2 . 학 회 참 석 등 을 통 한 국 제 연 구 동 향 파 악
    가 . 루 비 듐 원 자 주 파 수 표 준 기
    나 . 우 주 시 계 개 발 연 구
    다 . 광 시 계 (optical clock) 연 구
    제 7 장 참 고 문 헌
    그림목차
    ( 그림 3.5.6)
    목차
    제출문
    요약문
    I. Title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III. Contents and scopes
    IV. Results
    V. Applications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분야
    제 2 절 압전센서 기술 분야
    제 3 절 형상기억합금 분야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광섬유 센서기술
    1. 서론
    2. 브래그 격자 센서와 다중화 기법
    3. 온도 보상형 브래그 격자 센서의 탐촉자 개발
    4. Laser diode driver 설계 및 시험
    5. 분포형 광섬유 센서의 신호처리 향상
    6. 결론
    제 2 절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1. 서론
    2. 고분자 압전필름을 이용한 미소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3. PZT 를 이용한 초소형 탄성파 검출센서 설계 . 제작 및 평가
    4. MEMS 공정을 이용한 박막형 압전센서 개발 및 평가
    5. 스마트 능동 레이어 (SAL) 센서
    6. 탄성파 검출용 SAW 센서 개발
    7. 결론
    제 3 절 형상 기억 합금 기술
    1. 서 론
    2. SMA 의 특성평가
    3. SMA 변형률 센서 개발
    4.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개발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2 절 대외기여도
    1. 광섬유 센서기술
    2. 탄성파 검출용 미소 압전센서 기술
    3. 형상기억합금 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Ⅰ . 제 목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Ⅳ . 연구개발결과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방법
    1. 압전효과
    2. PVDF 센서
    제 2 절 실험적 접근 방법
    1. 음향방출
    2. 위치표정
    제 3 절 연구 내용
    1. 실험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제 4 절 연구 결과
    1. PVDF 와 P(VDF-TrFE) 센서를 이 용하여 손상감지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여 감지능이
    3. PVDF 센서의 열손상 온도가 증가 할수록 AE amplitude 가 감소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4. PVDF 센서의 사이 즈에 따른 손상 감지능 비교 결과 센서의 사이 즈가 클수록 신호 감
    5. 에폭시 matrix 의 손상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 센서 사이 에서 측정된 도달시간 차이는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제 2 절 대외기여도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연구개발결과의 경제 . 사회 . 기술적 중요성
    제 2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1. Kawai, H. 1969. The piezoelectricity of poly(vinylidene fluo
    2. Bharti V, Shanthi G, Xu H, Zhang QM, Liang K. Evolution tran
    3. Tuzzolino AJ. Applications of PVDF dust sensor systems in sp
    4. Gu, H. and Young, R. J. 1995. Deformation micromechanics in
    5. Lawrence, P. H. and Douglas, E. H. 1995. Simulating with mic
    6. Schutte, C. L., McDonough, W., Sioya, M. and Greenwood, M. 1
    7. Drazal, L. T. and Madhukar, M. 1993. Fiber-matrix adhesion a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EMAT 분야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분야
    제 3 절 초소형 음향방출 센서기술
    제 4 절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1. 서 론
    2. EMAT 의 초음파 송수신 원리
    3. 배관 결함 탐상용 EMAT 를 이용한 결함 탐지 기술
    4. 고 출력 펄서 & 리시버 개발
    5. 국내 석유화학설비에의 현장 적용화 실험
    6. 결 론
    제 2 절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개발
    1. 서 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의 기초
    3.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송 , 수신 기술 개발
    4. 결 론
    제 3 절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1. 서론
    2. PZT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 제작
    3. 고분자 압전재료를 이용한 소형 AE 센서제작
    4. PZT 박막 증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및 평가
    5. 집적화된 초소형 AE 신호증폭기 제작 및 성능평가
    6. 결 론
    제 4 절 전자기법 비파괴 센싱 기술 개발
    1. 서 론
    2. Capacitive probe 를 적용한 코팅관의 검사기술
    3. 자속 변화 감지 센서를 적용한 wire rope 검사 기술
    4. 펄스 와전류 검사 기술 개발
    5. 현장 적용시험
    6. 결 론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1. 배관결함 검출용 EMAT 개발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개발
    4. 전자기법 센싱기술 개발
    제 2 절 대외기여도
    1. EMAT 센서기술
    2.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술
    3. 마이크로 AE 센서 기술
    4. 전자기법 센싱기술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7 장 참고문헌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1.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 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가 . 전기화학적 효율
    나 . 열가치 효율 및 시스템 효율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1. 연료극 지지체 구조 개선을 통한 세라믹 연료전지 성능개선
    2.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제 2 절 세라믹 연료전지 구성 요소 개발
    1. 금속 / 전도성 세라믹 코팅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재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설계 및 구성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조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SOFC 전극의 개요 및 연구개발 동향
    제 2 절 SOFC 전극의 내구성
    제 3 장 연구방법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4 장 연구결과
    제 1 절 고성능 연료극 소재의 개발
    1. NiO-YSZ 연료극 소재의 기계적 특성
    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3. NiO-YSZ 연료극의 장기 내구성 평가
    제 2 절 고성능 공기극 소재의 개발
    1. 공기극 소재의 합성
    2. 공기극 소재의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제 3 절 전극 소재의 다양화
    1. NiO-CeO 계 연료극 소재
    2. LSGM 계 소재
    제 4 절 단전지용 전극 지지체의 제조
    1.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2. 원통형 공기극 지지체의 제조
    제 5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1 . 세라믹 연료전지의 열역학적 원리
    2. 세라믹 연료전지의 효율 (
    3. 세라믹 연료전지의 전력 생산
    제 2 장 고성능 세라믹 단위전지 및 구성요소 개발
    제 1 절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① SOFC 의 작동온도가 높기 때문에 전극 반응이 빠르다 . 따라서 전극에서 촉매제는 필요하
    ② SOFC 는 CO 오염의 문제가 없다 . 사실상 CO 는 SOFC 에서 직접 연료로 사용된다 . SOFC 는
    ③ SOFC 는 다양한 연료를 이 용할 수 있다 . 수소뿐만 아니라 석탄 , 공장 , 그 밖의 가능성으로
    ④ SOFC 는 유용한 고온을 방출하므로 열은 폐열발전이 나 기본 사이 클로 사용하기에 적당하
    ⑤ SOFC 전해질이 고체이 므로 전해질손실과 조성변화를 막기 위한 전해질운영 은 문제가 되
    ⑥ 모두 고체 상태이 므로 SOFC 는 액체전해질을 갖는 연료전지에서 불가능한 기하학적 형태
    ⑦ SOFC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 전지 구성요소는 내부저항손
    제 2 절?도성 세라믹 코팅 층 계면 특성 분석
    2. 구성 요소간 접촉저항 특성 평가
    3. 세라믹 연결제 제조 공정 개선
    제 3 장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구성 및 제작
    제 1 절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 개념
    제 2 절 메니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구조
    2. 메니 폴드 일체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제작
    제 3 절 메니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1 .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셀 제작
    2. 메니 폴드 분리식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설계
    제 4 장 결 론
    참고문헌
    그림목차
    [ 그림 1- 1] 에서 전류가 증가하면서 선형으로 나타남에 따라 저항 분극 또는 옴믹 손실이 우
    [ 그림 1- 1] 작동하는 연료전지에서의 전형적인 전압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1- 2] 연료전지에서 전형적인 전력 / 전류 상관곡선
    [ 그림 2- 1] Westinghouse 의 평관형 지지체의 골격 구조에 따른 전류흐름 분석 [5]
    [ 그림 2- 2] 원통형과 평관형 세라믹 연료전지의 이 론적 성능곡선의 비교 [5]
    [ 그림 2- 3] 연료극 지지체 구조 변경 사진 ; ①개선 전 ②개선 후
    [ 그림 2- 4] 연료극 지지체의 운전온도에서 압축 강도 시험
    [ 그림 2- 5] 연료극 지지체 유로 형상 개선 ; ①개선 전 구조파괴 형상 ②개선 후 연료극 유로
    [ 그림 2- 6] 연료극 다기능성 막 코팅 ; ①다기능성 막 코팅 SEM 사진 ② 습식 코팅횟수 증
    [ 그림 2- 7] 에서 연료극 다기능성 박막을 도입 한 단위전지와 기존의 단위전지와의 성능을
    [ 그림 2- 7] 연료극 기능성 막에 따른 단전지 성능 비교 ; ①기존의 단전지 , ②연료극 기능성
    [ 그림 2- 8] 단전지 장기 시험 (430 시간 )
    [ 그림 2- 9] 전해질 코팅층 표면 SEM 분석 ; ①기존 전해질표면 ②연료극 기능성막위에 코
    [ 그림 2- 10] 전해질 코팅 단층 SEM 사진
    [ 그림 2- 11]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세라믹 코팅층 LSM 은 1000 ℃ 에서 소결시 오직
    [ 그림 2- 11]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LSM-coated interc
    [ 그림 2- 12] 는 LSM 이 코팅된 금속연결재의 단면도로서 코팅층인 LSM 과 금속연결재
    [ 그림 2- 13] 은 세라믹 / 금속 계면에 형성된 oxide 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Electron
    [ 그림 2- 12] SEM micrographs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3] X - ray mapping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LSM-co
    [ 그림 2- 14] 는 four-point DC method 로 650 ℃ ~ 850 ℃ 에서 Area spec
    [ 그림 2- 14] Dependence of ASR on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 그림 2- 15] 은 스택 구성에 있어 서 중요한 단위전지와 금속연결판과의 접촉저항을 측정
    [ 그림 2- 15]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단전지와 바이 폴라플레이 트 간의 접 촉저항 테스트 장치
    [ 그림 2- 16] 평관형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접촉저항 전기 회로도
    [ 그림 2- 17] 은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위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8] 는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지와 LSM 이 코팅되어 있는
    [ 그림 2- 17] 압축압력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 그림 2- 18]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6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거동 (220 시간 동안 )
    [ 그림 2- 19] 는 그림 4 의 실험과 마찬가지로 연료극에 세라믹연결재가 코팅되어 있는 단전
    [ 그림 2- 20] 은 La Ca CrO 을 이 용하여 플라즈마 용사코팅을 실시한 후 , SEM 으로 관
    [ 그림 2- 23] 은 플라즈마 용사 코팅한 시편과 용사코팅 후 다시 La Ca CrO 슬러 리로
    [ 그림 2- 20] Plasma 용사 코팅후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사진 .
    [ 그림 2- 21] 플라즈마 용사코팅 후 , 1200 ℃ 에서 3 시간 소결후의 EDS mapping 사진 .
    [ 그림 2- 22] La Ca CrO 슬러리 dip coating 후 2-step 소결을 이 용한 사진 .
    [ 그림 2- 23] La Ca CrO 플라즈마코팅 후 , 플라즈마후 +La Ca CrO dip 코팅 적용후
    [ 그림 3- 1] 에서 전형적인 상압에서 운전되는 SOFC 시스템의 주요 BOP 장치에 대한 개략
    [ 그림 3- 1] 전형적인 SOFC 시스템 주요 구성요소 개략도
    [ 그림 3- 2] 가스 매니폴드 분리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스택 적층구조 , ⒝가스매니폴드에
    [ 그림 3- 2] 와 같은 가스 매니폴드 분리 형의 경우 적층 단과 단사이 에 부도체를 삽입 함으
    [ 그림 3- 3] 가스 메니 폴드 일체형 직렬 적층 스택 구조 ; (a) 가스 유로흐름 및 단위전지 배열
    [ 그림 3- 4] 일체형 1 층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5] 분리형 및 일체형 스택 제작 후 사진 ; (a) co-flow (b) cross-flow
    [ 그림 3- 7] 에서 전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개발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 본 모
    [ 그림 3- 6]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성능 평가 장치 ; (a) 가열로 및 가스조절 장치 , (b) 공급가
    [ 그림 3- 7] 500W 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개발 모식도
    [ 그림 3- 8] 세라믹 연료전지 스택 파괴사진 ; (a) cross-flow 스택 유리 밀봉재 파괴 사진 (b
    [ 그림 3- 9] 브레이 징 cap 과 세라믹 단위전지 접합 형태
    [ 그림 3- 10] 브레이 징법을 이 용한 평관형 단위전지와 원통형 단위전지 용접 실험
    [ 그림 3- 11] 브레이 징 용접을 통하여 제조한 단위전지
    [ 그림 3- 12] 브레이 징법으로 용접한 단위전지 가스누출 시험
    [ 그림 3- 13] 브레이 징법에 의한 용접된 단위전지의 용접 부위 단면 사진
    [ 그림 3- 14] 브레이 징을 이 용한 500W 급 세라믹 연료전지 메니폴드 설계도
    [ 그림 3- 15] 설계한 메니폴드를 U-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6] U-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20] 에는 브레이 징법을 통하여 가스 밀봉한 세라믹 연료전지 단위전지에 대한 성
    [ 그림 3- 17] 설계한 메니 폴드를 Z-Type 으로 적용 시 속도분포 모델링 ( 단위 :mm/s)
    [ 그림 3- 18] Z-Type 으로 적용 시 반응채널의 속도분포 ( 단위 :mm/s)
    [ 그림 3- 19] 브레이 징을 이 용한 병렬 식 500W 스택구성 개념도 및 구성품
    [ 그림 3- 20] 브레이 징을 이 용한 세라믹 연료전지의 성능곡선
    [ 그림 3- 21]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셀 . (a) 전해질 코팅후 , (b) 공기극 코팅후
    [ 그림 1-1]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구조 및 작동 원리
    [ 그림 2-1] 입 자크기 , 조성 및 기공율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극 구조의 모식도
    [ 그림 3-1] (a) 4-probe 법에 의한 전도도 측정 모식도 및
    [ 그림 3-2] 반복 열충격시험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3] 고온 장기 환원시험의 시간에 따른 열적 이 력
    [ 그림 3-4] 분무열??림 3-5] 분무열분해에 의한 분말합성공정 모식도
    [ 그림 3-6] 산소투과특성 평가장치의 모식도
    [ 그림 3-7] 압출성 형 기 및 압출성 형 공정
    [ 그림 3-8] NiO-YSZ 연료극소재의 압출성 형 을 위 한 몰드
    [ 그림 4-2] 는 각각 Y O 의 첨 가량이 8 mol% 와 10 mol% 인 NiO-YSZ 소결체의 파단면
    [ 그림 4-1] Y O 가 각각 8 mol% 와 10 mol% 치환되고 , 기공형성제로 활성탄이 첨 가된
    [ 그림 4-2] NiO-YSZ 연료극 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a) Y O 함량 8 mol%, 소결온도
    [ 그림 4-3] 기공형성제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a) 활성탄 (activated carbon);
    [ 그림 4-4] 10 mol% 의 Y O 가 첨 가되고 서로 다른 기공형성제를 갖는 NiO-YSZ
    [ 그림 4-5] 에는 다른 종류의 기공형성제를 첨 가하여 1400 C 에서 제조된 연료극 소결체의
    [ 그림 4-5] 기공형성제를 달리하여 1400 ℃ 에서 제조된 NiO-YSZ 소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 그림 4-6] 압출공정으로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기공분포 , (a) 8Y-AC 환원 전 ,
    [ 그림 4-7] ZrO 의 일부를 Zr(OH) 또는 ZrO(NO ) . xH O 로 대체한
    [ 그림 4-8] 다른 크기의 원료분말 (ZrO ) 을 이 용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의 강도 변화
    [ 그림 4-9] 다른 크기의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 1400 C 에서 소결하여 제조된 NiO-YSZ 연료극
    [ 그림 4-10] NiO-YSZ 연료극의 기공율에 따른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1] NiO-YSZ 연료극소재의 작동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
    [ 그림 4-12] 800 ℃ , 4%H -Ar 분위기에서 측정한 , 시간에 따른 Ni-YSZ
    [ 그림 4-13] Y O -ZrO 의 상평형도
    [ 그림 4-14] 반복 열충격 싸이 클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파괴강도 변화
    [ 그림 4-15] 고온의 환원분위기하에서 유지시간에 따른 NiO-YSZ 연료극의
    [ 그림 4-17] 은 비산화물계 출발물질인 Co(NO ) . 6H O 의 열분석 거동곡선으로서 , 3 단계의
    [ 그림 4-16] SrC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7] Co(NO ) . 6H O 의 열분석 거동
    [ 그림 4-18] LSCF 합성분말의 열분석 곡선
    [ 그림 4-19] 600, 800, 및 1000 ℃ 에서 열처리된 LSCF 혼합분말의 XRD
    [ 그림 4-20]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한 LaSrCoO 분말의 합성온도에 따른 XRD
    [ 그림 4-21]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2] 각각 (a) 800 ℃ , (b) 900 ℃ 및 (c) 1,000 ℃ 에서 분무열분해법으로
    [ 그림 4-23] 분무열분해법으로 합성한 후 , 스크린프린팅한 LaSrCoO 분말의 SEM 사진 :
    [ 그림 4-24] LSCF 공기극 소재 소결체의 소결온도에 따른 미세구조
    [ 그림 4-25] 유지시간에 따른 LSCF 소결체의 (a) 파괴강도와 (b) 파괴인성 및 경도 변화
    [ 그림 4-26] 온도와 산소분압에 따른 LSCF 소결체의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27] 소결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LSCF 공기극소재의 온도에 따른
    [ 그림 4-28]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후의 미세구조 : (a) Ni-SDC; (b) Ni-GD
    [ 그림 4-29] NiO-CeO 계 연료극 소재의 환원 전후의 기공율 변화
    [ 그림 4-30] Ni-SDC 및 Ni-YSZ 의 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 그림 4-31] 에 합성된 LSGM 분말의 미세구조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 열처리 온도에 따른
    [ 그림 4-31] LSGM 합성분말의 SEM 사진
    [ 그림 4-32] 소결온도에 따른 LSGM 합성분말의 XRD
    [ 그림 4-33] (a) NiO-YSZ 및 NiO-SDC 연료극 원통형 지지체의 외관 ; (b) NiO-YSZ
    [ 그림 4-34] 장경비가 큰 LSCF 소재의 공기극 압출성형체
    [ 그림 2-1] Flat-tube SOFC stack design (2 × 2 cells)
    [ 그림 2-2] 은 2 × 2 stack 중 2 개의 cells 로 구성된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 그림 2-2] Computation domain for anode manifold (2 cells)
    [ 그림 2-3] 는 속도분포와 압력분포를 보여준다 .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 대부분의 연료전지
    [ 그림 2-3] Velocity distribution & Pressure distribution at anod
    [ 그림 2-4] Flow rate at each section in anode manifold
    [ 그림 2-5] 는 2 × 2 cells 로 구성된 cathode manifold 의 계산 격자를 보여 주고 있
    [ 그림 2-5] Computation domain for cathode manifold
    [ 그림 2-5] 를 보면 하나의 입 구에서 공기가 들어와 첫 번째 20 개의 분배관으로 분배된 후
    [ 그림 2-6] 에서는 속도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분의 속도가
    [ 그림 2-9] 은 수정된 분배관으로부터 interconnect 유로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나타
    [ 그림 2-6] Velocity distribution at cathode manifold
    [ 그림 2-7]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at in
    [ 그림 2-8] The design of distributor of cathode manifold
    [ 그림 2-9] The comparison of flow rate from the centerline
    [ 그림 2-12] 및 [ 그림 2-13] 은 압력별 공기 측 연료측의 유동 분포를 나타낸다 .
    [ 그림 2-10] 유동 simulator 구조 [ 그림 2-11] 유동 실험장치 및 실험장면
    [ 그림 2-12] 공기측 유동 분포
    [ 그림 2-13] 연료측 유동문포
    [ 그림 2-12], [ 그림 2-13] 에서 볼때 운전 조건에서 압력 (1-3 기압 ) 범위에서 약 5-25%
    [ 그림 2-14] Schematic diagram of SOFC
    [ 그림 2-15] 는 실제 실험데이 터를 토대로 연료극 활성화 과전압과 공기극 활성화 과전압으
    [ 그림 2-15] Decomposition of operating voltage
    [ 그림 2-16] 은 표본 실험 데이터 (0.82386[V], 2040[A/ ㎡ ]) 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나
    [ 그림 2-16] Error w.r.t. weighting factor( α ) (0.82386[V], 2040
    [ 그림 2-17] Flat-tube SOFC
    [ 그림 2-18] Comparison of 3-component conductivity
    [ 그림 2-18] 에서 알 수 있듯이 연료극 지지체식 flat-tube 형 SOFC 의 특성은 다른 두 가지
    [ 그림 2-19]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deviation
    [ 그림 2-20] Computational scheme
    [ 그림 2-22] Geometry of unit cell and grid generation
    [ 그림 2-23] 에서 보듯이 연료 유로와 공기 유로에서 완전 발달된 유동을 보이 며 다공성 매
    [ 그림 2-23] Velocity distribution in unit cell
    [ 그림 2-24] 에서는 각 전극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 반응층에서의 열생성으로 인
    [ 그림 2-24] Temperature distribution in unit cell ( left : catho
    [ 그림 2-25] 에서는 화학종들에 관한 질량분율에 대해 나타내었다 . 연료 반응층에서 수소의
    [ 그림 2-25] Concentration(mass-fraction) distribution in unit ce
    [ 그림 2-26]( 위쪽 ) 은 단위전지의 작동전압을 달리하여 각각의 전류밀도를 유동방향에 관해
    [ 그림 2-26] Current density & Concentration distribution w.r.t.
    [ 그림 2-26]( 아래쪽 ) 에서는 anode 와 cathode 의 반응층내에서의 반응물들의 질량 분율 ( 수
    [ 그림 2-27] Specification & Computation domain of flat-tube SOFC
    [ 그림 2-28] (a) 에서는 속도 분포에 대해 나타내었다 . 보는 바와 같이 유동이 다공성 매질층
    [ 그림 2-28](b) 에서는 단위전지의 전극표면에서의 3 차원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입 구 온
    [ 그림 2-28] (c) 와 (d) 에서는 유동방향으로 화학종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 공기극의
    [ 그림 2-29] 는 전극표면에서의 평형기전력 (=Nernst potential) 과 과전압 손실 및 내부저항
    [ 그림 2-29] 에서는 활성화 손실이 유동방향에 대해 감소하는 데 , 이 는 온도의 변화에 활성
    [ 그림 2-30] 는 유동방향으로의 국부적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영 역 에서 가장
    [ 그림 2-32] 은 각각의 voltage 에 따른 전력밀도와 효율을 나타내었다 . 작동전압이 낮을수
    [ 그림 2-31]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along the flow directio
    [ 그림 2-32] Power density & Efficiency w.r.t. operating voltage
    [ 그림 2-33] Polarization curv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 그림 2-34] (a) 는 유입 가스 온도 변화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 유입 가
    [ 그림 2-34] (e) 는 유동방향에 따른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 입 구가스의 온도가 상승함에
    [ 그림 2-34](f) 는 유입 가스온도에 대한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입 가스온도가 상승
    [ 그림 2-34]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inlet gas tem
    [ 그림 2-35](a) 는 유량에 따른 연료전지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면서 내부
    [ 그림 2-35] (f) 는 반응가스의 유량에 따른 전력밀도 및 효율을 나타내었다 . 유량이 증가하
    [ 그림 2-35]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volume flow r
    [ 그림 2-36](a) 는 유동방향에 대한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 길이 가 길어짐에 따라 온도가 상
    [ 그림 2-36] Flow direction variation for different channel lengt
    [ 그림 3-1] SOFC 시스템의 기본 설계
    [ 그림 3-2] SOFC 스택의 개략도
    [ 그림 3-3] 당량비와 개질기의 온도에 따른
    [ 그림 3-4] Case 1 의 운전 조건에 따른 시스템 구성요소의 온도
    [ 그림 3-5] 연료와 공기의 다단 예열을 이용한 시스템
    [ 그림 3-1], [ 그림 3-4] 와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였고 [ 그림 3-5] 와 같
    [ 그림 3-6] 가정용 열 . 전기 발생용 SOFC RPG 설계
    [ 그림 3-1] 의 기본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열 (exhaust) 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 그림
    [ 그림 4-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전동 카의 구성도
    [ 그림 4-2] 연료전지 스택
    [ 그림 4-3]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곡선
    [ 그림 4-4] 는 본 연구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 다 .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4] 연료전지 제어 시스템 구성도
    [ 그림 4-5] 연료전지 공기 유량 제어
    [ 그림 4-6] 연료전지 스택 수소
    [ 그림 4-7] 연료전지 시스템
    [ 그림 4-8] 연료전지 시스템 순차
    [ 그림 4-7] 은 연료전지 시스템 , 제어기등의 실험 장치이 며 , [ 그림 4-8] 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 그림 4-10]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 그림 4-9] ANN 축전지 SoC 계산 방
    [ 그림 4-10] 은 퍼지 (fuzzy) 논리 제어기의 출력 결과 이다 . 이결과는 연료전지 제어기의 제어량
    [ 그림 4-11] 연료전지 축전지 복합
    [ 그림 4-12] 부하제어 결과
    [ 그림 4-13] 전동카트의 주행 시험 특성
    [ 그림 4-14] 연료전지 축전지 시스템 차량 장착 장면
    [ 그림 4-15] 연료전지 하이 브리드 자동차 실차 테스트 결과 샘플
    표목차
    < 표 1- 1> 몇 가지 전극반응에 대한 열역 학적 data 와 열역 학적 효율 [1]
    < 표 2-1> SOFC 연료극 소재의 연구개발동향
    < 표 2-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공기극 소재 개발동향
    < 표 2-3> 에는 미국 NETL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에서
    < 표 2-3> SOFC 단전지 및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개발 동향
    < 표 3-1> NiO-YSZ 및 NiO-SDC 계 연료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3-2> LSCF 공기극 소재의 압출성형을 위한 조성
    < 표 4-1> NiO-YSZ 연료극 소재의 소결수축율
    < 표 4-1> 의 소결수축율 결과에서 , 활성탄이 첨 가된 10Y-AC 와 카본블랙이 첨 가된 10Y-CB
    < 표 4-2> SOFC 연료극을 위한 NiO-YSZ 및 NiO-SDC 원통형 지지체의 특성
    < 표 2-1> Flat-tube SOFC stack operating condition
    < 표 2-2> The comparison of theoretical OCV with experimental OC
    < 표 2-4> Specifica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2-5> Operating condition of the reference unit cell
    < 표 3-1> SOFC 시스템의 운전 조건
    < 표 3-2> SOFC 시스템의 조건에 따른 운전 성능
    < 표 3-3> 가정용 SOFC 시스템의 출력과 효율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2.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가 . 보급보조사업
    나 . 융자지원사업
    다 . 태양광주택 보급사업
    제 2 장
    Ⅰ . 태 양 열
    제 1 장 . 집열기 설치대의 공사
    1. 일반사항
    (1) 집열기 설치대는 건물의 구조에 집열기의 설계하중을 고려한다 .
    (2) 설치대 기초나 배관설치로 인한 빗물의 누수가 없도록 설계 시점부터 건축공사 및 기
    (3) 외기에 노출되는 집열기 틀 및 지지대는 부식과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4) 집열기 설치는 다른 구조체가 풍하중 또는 설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5) 지상에 설치되는 집열기는 지면으로부터 최소한 300 ㎜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게 한다 .
    (6) 설치대의 제작은 치수를 정확하게 하고 또한 수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정확하지
    2. 하중 및 외력과 안전성의 확인
    (1) 하중 및 외력과 안전성의 확인
    (2) 하중 및 외력에 의한 응력의 조합
    3. 압축재 및 기둥재
    (1) 사용재에 압축력 또는 휨에 의한 면내 압축력을 발생시킬 경우는 , 국부 좌굴을 고려
    (2) 압축재의 허용 압축 응력도는 세장비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
    (3) 압축재의 좌굴 길이는 구면 내 좌굴에 대해서는 절점간 거리를 좌굴 길이로 한다 .
    (4) 압축재의 세장비는 250 이하로 한다 .
    4. 휨재 및 보재
    (1) 휨재에 작용하는 허용 휨 응력도는 좌굴의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2) 보의 단면계수는 단면의 인장측 볼트 또는 고력 볼트의 구멍을 뺀 단면에 대하여 산
    5. 인장재
    (1) 인장재에 볼트 또는 고력 볼트 등에 의한 구멍이 있는 경우는 연결 시 예상되는 각종
    (2) 조립 인장재에서 2 개 이상의 형강을 조합하는 경우는 그것을 접합하는 볼트 , 고력 볼
    (3) 봉강은 경미한 인장재에 한해 사용할 수 있다 . 턴버클 (Turn Buckle) 을 사용한 경우의
    (4) ㄱ 형강 , ㄷ형강 등이 설치대의 한쪽에만 설치되는 경우는 편심의 영향을 고려하며 , 그
    6. 접합
    (1) 접합부는 접합되는 부재의 존재 응력을 완전히 전달하도록 설계한다 .
    (2) 구조상 주요한 부재의 접합재는 볼트 및 고력 볼트 접합으로 할 때 최소 2 개 이상 배
    (3) 축 방향력을 받는 2 개 이상의 부재를 접합할 때는 각재의 중심축이 한 점에 모이도록
    (4) 한 접합부에 2 종류 이상의 용접을 병용할 때는 각 용접의 허용력에 따라 응력을 분
    7. 설치대 기초
    (1) 주각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 주각의 전단력을 앵커 볼트로 부담시키고 , 인장력
    (2) 기초구조는 상부응력을 하부구조로 균등하게 전달시켜야 하나 , 하부구조의 기능 ( 예를
    제 2 장 . 집 열 기 설 치 공 사
    1. 향 (Orientation) 및 경사각
    (1) 설치 방위각은 정남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상 부득이한 경우 동 . 서로 30 도의 변
    (2) 집열기 설치 경사각은 용도별로 다음을 기준으로 하되 현장 여건이나 기타 특별한 이
    (3) 단일진공관식 집열기와 같이 흡수판의 각도를 조정 가능한 경우 집열기의 경사각은
    2. 집열기 배열의 주의사항
    (1) 동일 성능 ( 동일한 집열기 ) 의 집열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집열기를 통과하는 열매체
    (2) 성능이 다른 집열기 ( 다른 형태의 집열기 ) 는 종류별로 열매체의 유량이 같지 않아도
    (3) 집열회로내 공기가 차지 않도록 최상단부까지 공급배관은 상향 , 환수 배관은 하향 설
    (4) 자동배수식 집열회로는 동파될 조건에서 외기에 노출되는 ( 비 난방구간 ) 전회로 내의
    (5) 그늘이 지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 배치한다 .
    (6) 집열기 배열
    3. 집열기의 설치
    (1) 집열기 설치 시에 집열기의 가장자리는 밟지 않는다 .
    (2) 집열기의 청소 및 보수에 편리한 공간을 확보하거나 이를 위한 이동식 사다리를 설치
    (3) 집열기를 지붕 일체식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집열기와 지붕면의 접촉부위가 빗물이나
    (4) 집열기를 크레인에 매다는 경우 , 로프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판을 넣는다 .
    (5) 결로 방지용 배수구 등으로 인해 집열기의 상ㆍ 하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확인하여 설
    (6) 집열기는 방수에 특히 신경을 써서 제작되므로 투과체를 분리하거나 장식쇠 등의 구
    (7) 집열기는 강풍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집열기 설치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며 ,
    (8) 집열기 연결 배관은 제작업체의 접속 부품이 있으므로 가능한 표준 품을 채택한다 .
    (9) 히트파이프를 열전달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집열기 ( 예 ; 단일 진공관식 ) 는 열매체를
    제 3 장 . 축 열 조 설 치 공 사
    (1) 축열조의 구조체가 철근콘크리트인 경우는 건축공사에 포함되고 , STEEL 및 FRP 탱
    (2) 운반 및 기계실 반입 이 곤란하여 현장 조립이 부득이한 경우에는 이를 입 찰서 상에
    (3) 축열조는 방수처리를 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한다 ( 수압시험 수행 ).
    (4) 축열조에 연결되는 모든 배관의 입ㆍ 출구에는 축열매체의 온도성층화를 위한 디퓨져
    (5) 축열조 제작이 완료되면 물을 채워 24 시간 방치시킨 후 수압시험과 , 누수 및 변형 여
    (1) 축열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옥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
    (2) 부득이하게 외부에 설치하여야 할 경우 바닥은 콘크리트 패드를 치고 , 반드시 단열 (5
    (3) 축열조 주변은 450 ㎜이상의 점검 공간을 확보한다 .
    (4) 집열기와 축열조 , 축열조와 급탕 시설과의 배관연결이 가능한 한 짧은 장소를 선정한
    (5) 통기구나 over flow 에서는 다량의 습기가 나오므로 기계실 등에 습기를 꺼리는 기기
    (6) 축열조 배수 시 필요한 배수구가 반드시 근처에 있어야 한다 .
    제 4 장 . 배 관 공 사
    1. 일반사항
    (1) 태양열시스템의 운전 중에 어떠한 조건에서나 시수 주관으로 오염되거나 불결한 시스
    (2) 시수관을 하수관에 연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연결된 두 배관의 직경정도의 공기
    (3) 태양열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에 있어서 비 음료수관은 식수로 마시거나 이용하지 못
    (4) 배관 루프 내에서 어떤 이종 재료간의 결합부에도 모두 절연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
    2. 배관재료
    2.1 집열부
    2.2 이음쇠
    3. 밸브류
    (1) 밸브류는 50A 이하는 나사 접속형으로 하고 65A 이상은 플랜지 접속형으로 하는 것
    (2) 태양열 시스템 , 특히 집열부에 사용되는 밸브는 볼밸브 보다는 게이트 밸브를 사용하
    (3) 모든 밸브는 -10 ~ 95 ℃ 온도범위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 .
    (4) 전동밸브 설치
    (5) 안전밸브
    (6) 역지밸브 (Check Valve)
    (7) 글로브밸브 : 글로브밸브의 사용은 청동제 KS B 2301(10 ㎏ / ㎠ ), 주철제 KS B
    (8) 볼밸브 : 황동제 KS B 2308(10 ㎏ / ㎠ ) 에 준한다 .
    (9) 스트레이너 : 접속배관 구경과 같은 크기로 하며 Y-type 을 사용한다 .
    (10) 압력계 : 압력계는 규격품으로서 눈금판의 외경은 100 ㎜ , 콕크가 붙어 있는 것으로
    (11) 온도계 : L 형 또는 바이메탈식을 사용하며 , 원형 바이메탈식은 그 직경이 100 ㎜로
    (12) 실리콘 콤파운드 : 나사 배관용 접합에 사용하는 재질로서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 수
    (13) 볼트 , 너트 : 사용압력 10 ㎏ / ㎠ 이상의 배관기종 헤더 및 열교환기류에는 반드시 고
    (14) 공기분리기
    (15) 자동 배기밸브
    4. 시공
    4.1 관의 접합
    4.2 관의 분기 및 구조물 관통
    4.3 관의지지
    4.4 집열배관공사
    4.5 축열조 배관공사
    4.6 배관 부속품
    4.7 감지기 및 검출기 취부구의 사용
    제 5 장 . 기 타 구 성 품 설 치 공 사
    1. 판형열교환기 설치
    (1) 가능하면 열교환기의 유로를 보호하고 열교환기 오염을 최소화 하도록 열교환기의 입
    (2) 배관작업 수행 후 배관 세척 (Flushing) 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때 열교환기 입 구 측의
    (3) 열교환기의 분해 청소가 용이하도록 열교환기의 양측에 충분한 작업공간 (1m 전후 ) 을
    (4) 가능한 한 판형 열교환기 운전 , 보수 매뉴얼을 제출하고 운전자에게 교육을 실시하여
    (5) 동절기의 야간 또는 흐린 날 집열회로의 자연대류 현상으로 인한 집열 열교환기의 동
    (6) 열교환기의 성능 및 작동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온도계와 압력계를 공급 및 환수관
    (7) 열교환기의 내면은 열매체를 주입 하기 이전에 물로 씻어내어 청결하게 한다 .
    2. 집열 및 축열순환?? ) 는 윗면 주위에 배수 홈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호칭지
    (2) 대용량의 펌프와 전동기는 동일 베드 상에 수평으로 견고히 고정하고 , 스프링 , 방진
    (3) 도면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 따라 기초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수평을 정밀 조정하여야
    (4) 각 배관 시 그 하중이 장비류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
    (5) 펌프모터 하우징에는 토출측 압력게이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
    (6) 펌프 토출측에는 역지밸브 (Check Valve) 를 설치한다 .
    (7) 외부의 방청 도장은 미리 하여야 하며 벗겨진 부분이 없어야 한다 .
    (8) 원심식 펌프는 지반에 또는 배관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
    (9) 펌프는 집열회로의 공급 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
    (10) 펌프는 언제나 작동이 용이하도록 열매체가 차 있어야 한다 .
    (11) 모터 하우징은 절대로 보온해서는 안 된다 .
    (12) 밀폐회로에서는 펌프의 흡입구 측에 황동 및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여과기가 설치되
    (13) 개방식 회로에서는 펌프의 작동을 위한 적정한 흡입 양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
    3. 팽창탱크 설치
    (1) 팽창탱크는 온도변화에 의한 열매체의 유출방지 및 허용압력 유지를 위하여 격리된
    (2) 아연도 재질로 된 팽창탱크는 글리콜 용액에 사용 되서는 안 된다 .
    (3) 팽창 탱크는 펌프의 입구 측에 연결되어야 하며 , 가능한 한 펌프에 가까게 위치되도
    4. 보충수 탱크 설치
    (1) 부동액 보충탱크는 자체 하중 및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견고한 구조 위에
    (2) 탱크에 부착된 기기 또는 밸브들은 교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
    (3) 부동액을 보충할 때나 주입 할 때 사용하는
    1. 보온재 선정조건
    (1) 열전도율이 작을 것 ( 열전도율이 65.5 ℃에서 0.04W/m. ℃보다 작을 것 )
    (2) 최대 작동 허용온도에서 견딜 수 있을 것
    (3) 경년 변화가 적을 것 ( 옥외용으로 강우 , 태양광 , 그리고 통상적인 사람의 접촉에 견딜
    (4) 흡습성이 적을 것
    (5) 불연성인 재료가 바람직함
    2. 보온재료
    (1) 보온재로는 발포폴리스틸렌 , 압출발포폴리스틸렌 , 경질우레탄폼 , 암면 , 고무발포 , 유리
    (2) 축열조의 보온재는 전열저항 , 투습저항이 크고 , 고습도하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
    (3) 배관 보온재의 허용온도는 작동 최대온도보다 높아야 하며 , 최대 작동온도보다 20 ℃
    (4) 외기에 노출되는 보온 부는 내후성 및 동물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보온카바로
    3. 보온재의 두께
    (1) 배관의 보온은 최대 열손실이 25W/m(21.5 ㎉ /hr.m) 이하로 하되 최소 두께는 옥내는
    (2) 축열조의 보온재 두께는 열손실율이 30.49W/ ㎡ (26.22 ㎉ /hr. ㎡ )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4. 보온재의 시공
    4.1 일반사항
    4.2 축열조
    4.3 배관 및 기타
    제 7 장 . 자 동 제 어 및 전 기 공 사
    1. 일반사항
    (1) 모든 운전은 완전자동 및 수동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
    (2) 중대형에서는 작동 감시기능 ( 경고장치 ) 이 있는 것이 추천된다 .
    (3) 모든 계측기들은 적정하게 접지되어야 하며 , 시험 및 교체 시에 쉽게 분리할 수 있어
    (4) 동력반 및 무인 운전반은 자립 형으로 하고 문에는 잠금 장치를 하여야 한다 .
    (5) 제어설비 및 계측기류는 태양열 설비를 고효율로 운전할 수 있는 설비로 구성하여야
    (6) 제어 케이블은 차폐케이블 (CVVS) 을 사용하여야 한다 .
    (7) 펌프 전동기에는 적정 용량의 진상 콘덴서를 부착하여야 한다 .
    (8) 퓨즈는 규격별로 1 개의 예비 퓨즈를 납품하여야 한다 .
    (9) 전기공사는 전기 사업법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 " 에 준하여야 한다 .
    2. 차온 제어장치
    (1) 승인 또는 검증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
    (2) 접속단자의 결선은 결선도에 따르고 압착단자 , 또는 포크단자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3) 전원전압은 전압변동 , 노이즈 , 서지 (surge) 등이 지극히 적은 장소에서 사용한다 .
    (4) 센서는 검출온도 오차가 적은 것을 선택한다 ( ± 1 ℃ 미만 ).
    (5) 여름철에 집열기가 정지상태일 때 200 ℃ 근처까지 승온하는 수가 있으므로 고온 센서
    (6) 정전 시에 동결방지 Heater, 전자밸브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별도의 대책을 세운다 .
    (7) 차온제어장치의 주위온도는 -10 ~ 49 ℃ 안에 있어야 한다 .
    (8) 축열조에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 센서 끝이 축열조 내 수중으로 50 ㎜ 이상 삽입한다 .
    (9) 정상적으로 설계된 태양열 시스템의 ON/OFF 온도차는 11 ℃ /4 ℃ 가 추천할 만한 설정
    (10) 과열방지를 위한 축열조 과열온도는 보통 70 ~ 95 ℃ 범위에서 설정한다 .
    3. 제어반
    (1) 가능한 한 실내에 설치하되 보기 쉬운 곳에 지상 1.5m 정도 높이에 설치한다 .
    (2) 고온 , 다습한 장소는 피한다 .
    (3) 옥외 판은 반드시 열쇠를 채워 관련자 이외에는 조작을 못하도록 한다 .
    (4) 보일러실 내의 설치는 버너나 연도에서 2.5m 이상 떨어진 환기가 좋고 고온이 아닌 장
    (5) 벽면의 설치는 앙카 볼트로 취부 한다 .
    (6) 제어반은 내선규정에 의해 반드시 접지를 잡는다 .
    (7) 무인운전반은 별도 자립 형으로 하고 , 문에는 잠금 장치를 하여야 한다 .
    (8) 모든 계측기 , 제어기 및 스위치들은 반내에 유효하게 접지되어야 하며 , 시험 및 교체
    (9) 태양열시스템 각 기기의 운전상태 및 이상상태 표시등을 설치하여 , 각 장비의 상태를
    (10) 중대형 시스템의 제어장치에는 아래 주요부의 온도를 항시 나타내도록 , 각각의 디지
    (11) 모든 운전은 완전자동 , 운전모드별 자동 및 각 개별기기의 수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12) 정전에 대비하여 정전 복구시 조작자의 별도 조작 없이 미리 일련의 복귀 프로그램
    (13) 실내 온도조절기는 실내의 평균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
    (14) 집열기와 축열조의 온도 감지기는 외부의 조건에 의한 영향을 가능한한 없도록 하여
    4. 축열 및 부하운전
    (1) 축열운전 : 태양이 있는 주간에 차온제어에 의해 축열운전이 되어야 한다 .
    (2) 부하운전 : 부하운전은 난방 및 급탕부하가 있을 때 운전될 수 있어야 한다 .
    5. 구성부품의 제어장치 구비 상세
    5.1 집열기 :
    5.2 축열조
    5.3 자동밸브
    6. 기타 기능
    (1) 모든 장비는 , 최대한 유지 보수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
    (2) 센서 보호
    (3) 센서선 보호
    (4) 센서 설치
    제 8 장 . 시 스 템 의 세 척 , 압 력 시 험 및 시 운 전
    1. 시스템의 세척
    (1) 집열기 , 펌프 , 열 교환기 , 축열조 등의 구성품을 설치 전에 세척한다 .
    (2) 시스템 배관 작업이 끝나면 압력시험 전에 시스템을 세척한다 .
    2. 압력 시험
    (1) 시스템의 보온시공 전에 모든 압력 및 누설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
    (2) 압력시험에 사용하는 유체는 물을 사용하고 이 물질의 침입 이 없는 상태에서 행하여
    (3) 압력시험은 작동압의 1.5 배로 한다 .
    (4) 글리콜과 오일 등은 물이 누설되지 않더라도 누설될 염려가 있으므로 최종 압력시험
    (5) 배기밸브 , 안전밸브 및 기타의 기기들은 압력시험 중에 손상을 입 을 우려가 있으므로
    (6) 모든 누설은 수리된 다음 , 재 누설 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
    (7) 압력시험은 일사량이 없을 때에 수행한다 .
    (8) 압력 측정에 사용하는 압력계는 감리자의 확 연결배관을 한 후 동시에 압력 시험을 할 수 있다 .
    (10) 압력시험은 감독관의 입 회하에 실시하여야 한다 .
    (11) 최소한 30 분 이상 시험 압력을 유지하고 모든 연결 부위와 구성요소를 시험한다 .
    3. 시운전
    3.1 제한사항
    3.2 점검과 시운전
    부록
    그림목차
    [ 그림 2- 1] 집열기 설치도
    [ 그림 3- 1] 축열조의 기초
    [ 그림 4- 1] 추천되는 자동배수 배관 연결
    [ 그림 4- 2] Reverse return 방식
    [ 그림 4- 3] 헤더관 사용의 역회수
    [ 그림 4- 6] 온도센서
    [ 그림 4- 7] over flow 관은 단독으로 설치
    [ 그림 6- 1] 콘크리트나 사각 탱크의
    [ 그림 2-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
    [ 그림 2-2] 에 이 들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
    [ 그림 2-2] 태양전지의 구성 ( 셀 , 모듈 , 어레이 )
    [ 그림 2-3] 태양전지의 종류
    [ 그림 2-4] 결정계 실리콘태양전지의 구조 및 원리
    [ 그림 2-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분류 예
    [ 그림 2-6] 역조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7] 역조류 없는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8] 교체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2-9] 독립형 시스템 구성도
    [ 그림 3-1] 태양광발전시스템 설계 . 계획의 흐름도
    [ 그림 3-2] 에는 가대설치식인 경우의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설치공사의 흐름
    [ 그림 3-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설치공사의 흐름도
    [ 그림 4-1] 공사설명서 작성 예
    [ 그림 1- 1] 풍력발전기 지지물의 구조 예
    [ 그림 2-1] 금매김
    표목차
    < 표 2- 1> 지역별 집열표 2- 2> 그늘이 지지 않기 위한 지역별 태양입 사각 ( θ )
    < 표 6- 1> 배관 경에 따른 보온 두께 ( 옥외 )
    < 표 2-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주요 구성기기 . 장치
    < 표 2-2> 각종 태양전지 시장에 대한 카달로그값
    < 표 2-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방재이 용 방법
    < 표 3-1> 법률에 의한 규정 , 가이 드라인과 관계하는 유의사항
    < 표 3-2> 에 태양전지어레이 의 설치장소 , 고정방법 ( 설치방식 ) 에 관한 보기를 나타내었
    < 표 3-2> 태양전지 어레이 의 설치장소 , 고정방법에 관한 분류보기
    < 표 3-3> 태양전지어레이 의 설치방식
    < 표 3-4>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특징
    < 표 3-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준공시험 항목 예
    < 표 3-6> 에 태양전지 어레이 에 관한 자주 . 법정점검의 내용의 보기를 기술하였다 .
    < 표 3-6> 태양전지 어레이 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7> 파워 컨디션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8> 연계보호장치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9> 축전지의 자주 . 법정점검
    < 표 3-10> 지금까지 발생한 문제점과 대처방법
    < 표 6-1> 의「 건축설비기술기준」 에 만족하도록 설계 및 설치 . 시공해야 할 것 .
    < 표 6-2> 의 「 전기설비의 기술기준 및 내선규정」 에 준하여 설치할 것 .
    < 표 6-1> 주택용 태양광시스템 설비 설치시공 관련 건축법 및 시행령
    < 표 6-2> 태양광시스템 설치시공 관련 전기설비기준기술
    < 표 6-3> 태양광시스템 설치시공 관련 소방법 관련 조항
    < 표 1-1> 접지공사의 종류 및 접지 저항치
    < 표 1-2> 일반용 접지선의 크기
    < 표 1-3> 가동성 접지선의 종류 및 단면적
    < 표 2-1> 도입 장력 측정값의 평균값 범위
    < 표 2-2> 고력볼트의 조임
    < 표 2-3> 1 차조임 토크값
    < 표 3-1> 접지저항치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1. ZnS:Mn, ZnS:Cu,Cl, ZnS:Ag,Cl
    2. Y O :Eu
    1. Low-Temperature Method
    2. Spray Pyrolysis Method
    3. Sol-Gel Method
    4. Hydrothermal Method
    5. Combustion Method
    6. Solid-State Method
    제 1 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개발의 필요성
    2. 연구개발의 범위
    제 2 장 국내 . 외 기술 개발 현황
    제 1 절 국외 기술 개발 현황
    1. ZnS 계열 nano 형광체
    2. Y O 계열 형광체
    3. YAG 계열 형광체
    4. Al O 계열 형광체
    5. Si O 계열 형광체
    6. 기타
    제 2 절 국내 기술개발현황
    1. ZnS:Mn, ZnS:Cu,Cl, ZnS:Ag,Cl
    2. Y O :Eu
    제 3 장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1. 나노 형광체 제조 기술 연구
    2. 나노 형광체의 물성 및 평가
    제 2 절 나노 형광체 합성 실험
    1. 저온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2. 분무 열분해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3. 졸 - 겔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4. 수열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5. 연소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6. 고상법
    제 3 절 나노 형광체의 이 용 기술
    1. 광 발광 (PL, photoluminescence)
    2. 전계 발광 (EL, electroluminescence)
    3. 형광체 표면 코팅
    4. PL 특성을 이 용한 발광 소자
    5. EL 특성을 이 용한 발광 소자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
    제 5 장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1 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 . 연구개발의 필요성
    2. 연구개발의 범위
    제 2 장 국내 . 외 기술 개발 현황
    제 3 장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이론적 접근
    제 2 절 나노 형광체 합성 실험
    1 . 저온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2. 분무 열분해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3. 졸 - 겔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4. 수열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5. 연소합성법에 의한 나노 형광체 합성
    6. 고상법
    제 3 절 나노 형광체의 이용 기술
    1 . 광 발광 (PL, photoluminescence)
    2. 전계 발광 (EL, electroluminescence)
    3. 형광체 표면 코팅
    4. PL 특성을 이용한 발광 소자
    5. EL 특성을 이용한 발광 소자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
    1 . 연구목표의 달성도
    2. 연구 개발의 기술기여 분야
    3. 기술 / 학계에의 기여 분야 ( 논문 / 특허 )
    1. 연소합성공정에 의한 유로퓸 활성 이트륨 바나데이 트 형광체 물질의 제조방법과
    2. 백색 발광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 를 이 용한 전계발광소자 , 출원번호
    3. 저온 단일공정에 의한 적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 등록번호 0431124
    4. 전계방출표시용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 등록번호 0449582
    제 5 장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1 . 추가연구의 필요성
    1) 짧은 수명 ( 형광체 재료의 열화 등 )
    2) 고에너지 효율이 요구
    3) 열적 , 전기적 안정성 필요
    4) 저전압 , 저주파수에서의 구동 요구
    5) 고휘도의 RGB 삼원색 및 백색 구현 요구
    6) 긴 잔광시간
    2. 타 연구에의 응용
    3. 기업화 추진방?기술정보
    1 . 미주 지역
    2. 아시아 지역
    3. 유럽 지역
    참고문헌
    그림목차
    [ 그림 2- 1] The PLE and PL spectra of bulk and nanocrystalline Z
    [ 그림 2- 2] The time decay of the light emission
    [ 그림 2- 3] The recombination kinetics in nanocrystals and bulk
    [ 그림 2- 4]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capture process in a
    [ 그림 2- 5] Decay curves of the emissions of nanocrystalline ZnS
    [ 그림 2 -6] Time-resolved emission spectra of nanocrystalline Zn
    [ 그림 2- 7] The comparison of the luminescent spectra
    [ 그림 2- 8] PL spectra of glass-coated nano-crystal and bulk ZnS
    [ 그림 2- 9] Decay curve of glass-coated nano-crystal ZnS:Tb
    [ 그림 2-10] Decay curve of bulk ZnS:Tb
    [ 그림 2-11] UV-vis spectra of ZnS and ZnS:Cu nanocrystals/polyme
    [ 그림 2-12] Energy-level diagram of ZnS:Cu nanocrystals
    [ 그림 2-13] Absorption and emission
    [ 그림 2-14] Relative luminescence, normalized at 560nm
    [ 그림 2-15] Exciton excitation energy at room and liquid nitroge
    [ 그림 2-16] Bandwidth of the exciton excitation energy at room a
    [ 그림 2-17] Emission spectra of the 10, 20, 50nm, and 10 ㎛ yttri
    [ 그림 2-18] Qualitative cc diagram
    [ 그림 2-19] Variation of the external luminescent efficiency as
    [ 그림 2-20] Variation of the PL in two different samples of Y O
    [ 그림 2-21] The dependence of the D radiative lifetime of nano-c
    [ 그림 2-22] The dependence of the D radiative lifetime on the in
    [ 그림 2-23] PL-emission spectra of different Y O :Eu samples
    [ 그림 2-24] Excitation spectra of Y O :Eu
    [ 그림 2-25] QE of different samples
    [ 그림 2-26] Lifetime of the D state of bulk Y O :Eu and differen
    [ 그림 2-27] Emission spectra of Eu Y Li O (x=0, 0.10, 0.12)
    [ 그림 2-28] The effect of Li doped concentration on the luminesc
    [ 그림 2-29] Emission spectra and excitation spectra of YAG:Ce
    [ 그림 2-30] Average particle size of YAG:Tb phosphor vs pH for v
    [ 그림 2-31] Excitation spectra of (T Tb )Al O phosphor particles
    [ 그림 2-32] Emission spectra of Y Eu Al O phosphors
    [ 그림 2-33] SEM micrograph of Y Eu Al O phosphors
    [ 그림 2-34] Excitation spectra of SrAl O :0.1Eu obtained at init
    [ 그림 2-35] Excitation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luminescenc
    [ 그림 2-36] Decay kinetics of Tb emissions in Zn SiO phosphor
    [ 그림 2-37] Excitation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luminescenc
    [ 그림 2-38] Decay kinetics of Eu emissions in Zn SiO phosphor
    [ 그림 2-39] Luminescent intensity for nanocrystalline and normal
    [ 그림 2-40] Photoluminescence spectra, excited at 254nm
    [ 그림 2-41] Photoluminescence spectra, excited at 254nm
    [ 그림 2-42] Emission spectra of YBO :Eu samples
    [ 그림 2-43] Quenching concentration of YBO :Eu
    [ 그림 2-44] photoluminescence spectra for nanocrystals-BaTiO
    [ 그림 2-45] Photoluminescence spectra in the sample
    [ 그림 2-46] XRD patterns of nano-Gd O :Eu and bulk-Gd O :Eu samp
    [ 그림 2-47]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nano-Gd O :Eu and
    [ 그림 2-48] Excitation spectrum of the as-received CP Eu:NGF sam
    [ 그림 2-49] Excitation spectra and emission spectrum of the La M
    [ 그림 2-50] Excitation and emission spectra of the La Eu Mo O
    [ 그림 2-51] PL spectra of ZnS:Mn nanocrystals and three ZnS base
    [ 그림 2-52] PL spectra of ZnS:Mn nanocrystals and PVCz
    [ 그림 2-53] SEM photograph of Y O :Eu phosphor
    [ 그림 2-54] Relative photoluminescence intensities of Y O :Eu ph
    [ 그림 3- 1] (A) 상태 밀도에 따른 에너지 , (B) 에너지에 따른 상태 밀도
    [ 그림 3- 2] 분말 제조 방법에 따른 합성 방법
    [ 그림 3- 3] 졸 - 겔법의 응용
    [ 그림 3- 4] Auto ball milling method
    [ 그림 3- 5] 희토류 원소의 quenching 현상
    [ 그림 3- 6] 희토류이 온들의 에너지 준위
    [ 그림 3- 7] Luminance vs voltage for two annealed nanoparticle p
    [ 그림 3 -8] Luminous efficiency vs beam current
    [ 그림 3- 9] 저온합성법을 이 용한 ZnS:Eu 의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10] X-ray diffraction of ZnS:Eu
    [ 그림 3-11] ZnS:Eu 의 PL(Photoluminescence) spectra
    [ 그림 3-12] Schematic energy-level model of the ZnS nanocrystal
    [ 그림 3-13] Eu 의 몰농도에 따른 PL spectrum
    [ 그림 3-14] SEM image of Eu doped ZnS
    [ 그림 3-15] Mn 농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6]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Mn concentratio
    [ 그림 3-17]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18] 교반 시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9] Luminescence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20] Luminescence ofZnS:Mn at different Mn concentration
    [ 그림 3-21] ZnS:Mn 의 저온에서의 건조와 진공에서 동결 건조한 powder 의 XRD
    [ 그림 3-22] SEM image of Mn doped ZnS
    [ 그림 3-23] PL(E) of ZnS:Mn synthesized by SSR and room temperat
    [ 그림 3-24] 저온 합성법과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ZnS:Mn PL spectra
    [ 그림 3-25] Luminescence chart of ZnS:Mn phosphors
    [ 그림 3-26] Schematic diagram of the used spray pyrolysis proces
    [ 그림 3-27] 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한 ZnS:Mn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28] 소성된 ZnS:Mn 형광체의 광 발광 스펙트라
    [ 그림 3-29] Emission spectrum of ZnS:Mn phosphor
    [ 그림 3-30] 900 ℃ 에서 pH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31] 소성 온도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32] 소성 온도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PL spectrum
    [ 그림 3-33] XRD patterns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 그림 3-34] 입 도 분리 전의 SEM image
    [ 그림 3-35] 입 도분리 후의 ZnS:Mn 형광체의 SEM images
    [ 그림 3-36] 입 자크기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PL 과 PLE spectrum
    [ 그림 3-37] SEM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 그림 3-38] SEM of ZnS:Mn phosphor used with surface activato
    [ 그림 3-39] FT-IR patterns of ZnS:Mn phosphors sintered at diffe
    [ 그림 3-40] 고상법으로 제조된 ZnS:Mn 의 FT-IR
    [ 그림 3-41] Sol-gel reaction
    [ 그림 3-42] Flow chart of the preparation of ZnS:Cu nanoparticle
    [ 그림 3-43]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4]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5]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bulk and
    [ 그림 3-46] Color coordinate of the ZnS:Cu nanocrystals
    [ 그림 3-47]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ZnS:Cu nanocrystals
    [ 그림 3-48] The SEM of the ZnS:Cu nanocrystals by sol-gel method
    [ 그림 3-49] FT-IR pattern of the ZnS:Cu nanocrystals
    [ 그림 3-50] PL intensity of the ZnS:Mn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1] PL intensity of the ZnS:Mn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2] Color coordinate of the ZnS:Mn nanocrystals
    [ 그림 3-53]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4]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5] Color coordinate of the ZnS:Eu nanocrystals
    [ 그림 3-56] 졸 - 겔법으로 제작한 ZnGa O :Eu 형광체의 합성 순서도
    [ 그림 3-57] ZnGa O :Eu 형광체의 X- 선 회절무늬
    [ 그림 3-58] 졸 - 겔법으로 합성한 약 50nm 크기의 ZnGa O :Eu 형광체
    [ 그림 3-59] Sol-gel 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60]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PLE 스펙트럼
    [ 그림 3-61]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형광체의 XRD pattern
    [ 그림 3-62] 졸 - 겔법으로 제조된 형광체의 XRD pattern
    [ 그림 3-63] PL spectrum : 1000 ℃ 에서 소성된 BaAl S :Eu
    [ 그림 3-64] XRD patterns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5] PL spectrum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6] XRD pattern : 1100 ℃ 에서 H + N 분위기 소성
    [ 그림 3-67] PL spectrum : 1100 ℃
    [ 그림 3-68] SEM : 1100 ℃
    [ 그림 3-69] DTA curve of ZnS:Mn nanocrystalline powders coated w
    [ 그림 3-70] XRD patterns of ZnS:Mn nanocrystalline powders coate
    [ 그림 3-71] Flow chart for the synthesis of Y O :Eu using tartar
    [ 그림 3-72] IR spectra of the powder at different temperature.
    [ 그림 3-73] The XRD spectra of the dry gel sintered
    [ 그림 3-74] Emission spectra of Y O :Eu at (a) 500 ℃ and (b) 800
    [ 그림 3-75] CIE color coordinates for Y O :Eu phosphor
    [ 그림 3-76] Emission intensity as a function of sintering temper
    [ 그림 3-77] SEM micrographs of Y O :Eu phosphors
    [ 그림 3-78] Emission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b)
    [ 그림 3-79] I.R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0] SEM image of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1] 수열합성법으로 제조한 ZnGa O :Eu 형광체의 합성 순서도
    [ 그림 3-82]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83]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한 약 20nm 크기의 ZnGa O :Eu 형광체
    [ 그림 3-84]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FT-IR 스펙트럼
    [ 그림 3-85]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86]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의 PLE 스펙트럼
    [ 그림 3-87]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광nthesis route of nanosized YVO :Eu p
    [ 그림 3-89] XRD patterns of nano sized and bulk YVO :Eu phosphor
    [ 그림 3-90] PL spectra excited at 320nm of nano sized and bulk Y
    [ 그림 3-91] Schematic diagram of the Cathodeluminescene measurem
    [ 그림 3-92] CL spectrum from nano sized and bulk YVO :Eu phospho
    [ 그림 3-93] XRD pattern obtain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
    [ 그림 3-94] SEM image of Mn -doped ZnS nanoparticals
    [ 그림 3-95] Photoluminescence spectra for the samples made with
    [ 그림 3-96] Photoluminescent intensities plotted as a function o
    [ 그림 3-97] Relationship between PL intensity and the pH value
    [ 그림 3-98]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99]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100] Color coordinates of Y O :Eu phosphor
    [ 그림 3-101] SEM of Y O :Eu phosphor prepared at 1200 ℃
    [ 그림 3-102] XRD patterns of Y O :Eu phosphors using carbohydraz
    [ 그림 3-103] Brightness of (Gd Eu )O phosphor
    [ 그림 3-104]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
    [ 그림 3-105]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s synthesiz
    [ 그림 3-106]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at 1200 ℃
    [ 그림 3-107]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at 500 ℃
    [ 그림 3-108] Color coordinates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09] SEM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10] IR spectra of Gd O :Eu phosphor prepared at 1200 ℃
    [ 그림 3-111] Emission spectrum of LnPO :Tb phosphor
    [ 그림 3-112] SEM micrograph of (a) LaPO :Tb , (b) YPO :Tb , (c)
    [ 그림 3-113] X-ray diffraction pattern of YPO :Tb phosphor
    [ 그림 3-114]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 GdVO :Eu
    [ 그림 3-115]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 GdVO :Eu
    [ 그림 3-116] SEM photograph of YVO :Eu and GdVO :Eu prepared at
    [ 그림 3-117] XRD patterns of (a) YVO :Eu , (b) GdVO :Eu phosphor
    [ 그림 3-118] Emission spectrum of (a) YAlO :Eu , (b) GdAlO :Eu p
    [ 그림 3-119] SEM micrograph of as-prepared (a) YAlO :Eu, (b) GdA
    [ 그림 3-120] SEM micrograph of (a) YAlO :Eu, (b) GdAlO :Eu phosp
    [ 그림 3-121] X-ray diffraction pattern of (a) YAlO :Eu, (b) GdAl
    [ 그림 3-122] Emission spectra of the BaMgAl O :Eu
    [ 그림 3-123] Size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Ba Eu )MgAl O
    [ 그림 3-124] XRD pattern of (Ba Eu )MgAl O
    [ 그림 3-125] Synthesis processing BaMgAl O :Eu
    [ 그림 3-126] XRD pattern of BaMgAl O :Eu phosphor powder coated
    [ 그림 3-127] TEM micrograph of BaMgAl O :Eu phosphor particles c
    [ 그림 3-128] The emission spectra of BaMgAl O :Eu phosphor parti
    [ 그림 3-129] Schematic diagram of excitation, trapping and recom
    [ 그림 3-130] Energy band model for Photoluminescence
    [ 그림 3-131] EL 소자의 발광 원리
    [ 그림 3-132] Schematic representation to produce Electroluminesc
    [ 그림 3-133]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 그림 3-134]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diff
    [ 그림 3-135]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coated at di
    [ 그림 3-136] EDAX profiles a) coated and b) uncoated phosphors
    [ 그림 3-137] XRD curves of a) uncoated b) coated and c) SiO powd
    [ 그림 3-138] PL spectrum of uncoated and coated phosphor
    [ 그림 3-139]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at differ
    [ 그림 3-140] XRD pattern for the ZnS:Cu,Cl phosphor made after f
    [ 그림 3-141] XRD patterns of ZnS:Cu,Cl phosphor
    [ 그림 3-142] SEM photographs of the coated phosphor particles wi
    [ 그림 3-143] (CdSe)ZnS 양자점과 band diagram
    [ 그림 3-144] CdSe 양자점의 크기에 따른 UV-Vis. Absorption &
    [ 그림 3-145] (CdSe)ZnS 양자점의 UV-Vis. Absorption
    [ 그림 3-146] CdSe 와 (CdSe)ZnS 양자점의 발광 사진
    [ 그림 3-147] (CdSe)ZnS 코어 - 쉘 적색 반도체
    [ 그림 3-148] UV LED 와 적색 반도체 나노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149] 적색 반도체 양자점과 UV LED 를 결합하여 만든 적색 LED
    [ 그림 3-150] Screen printing process
    [ 그림 3-151] EL 소자의 단면
    [ 그림 3-152] PL/PLE spectra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3]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4]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l
    [ 그림 3-155]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6]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s
    [ 그림 3-157]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8]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9] The coordination of emission spectra of
    [ 그림 3-160] 다양한 color 를 구현하는 형광체를 이 용한 ELD
    [ 그림 3-161] ELD 의 활용 예 ( 휴대폰 key-pad, back-light 등에 이 용 )
    [ 그림 2- 1] The PLE and PL
    [ 그림 2- 4] (a) Schematic representation
    [ 그림 2- 5] Decay curves of the spectra of nanocrystalline ZnS:M
    [ 그림 2- 7] The comparison of the
    [ 그림 2-10] Decay curve
    [ 그림 2-12] Energy-level diagram
    [ 그림 2-14] Relative luminescence,
    [ 그림 2-15] Exciton excitation
    [ 그림 2-16] Bandwidth of the
    [ 그림 2-18] Qualitative cc diagram
    [ 그림 2-20] Variation of the PL in
    [ 그림 2-22] 에서 site C 를 나타내는 solid line 은 아래 식과 different fillin
    [ 그림 2-22] The dependence of the
    [ 그림 2-23] PL-emission spectra
    [ 그림 2-25] QE of different samples
    [ 그림 2-27] Emission spectra of
    [ 그ticle size of
    [ 그림 2-33] SEM micrograph of (a)
    [ 그림 2-34] (a) Excitation spectra of SrAl O :0.1Eu obtained at
    [ 그림 2-35] Excitation and
    [ 그림 2-36] Decay kinetics of Tb
    [ 그림 2-38] Decay kinetics of Eu
    [ 그림 2-39] Luminescent intensity of Eu
    [ 그림 2-40] Photoluminescence spectra,
    [ 그림 2-42] Emission spectra of
    [ 그림 2-44] Room-temperature
    [ 그림 2-46] XRD patterns of
    [ 그림 2-47] Photoluminescence
    [ 그림 2-48] Excitation spectrum of the
    [ 그림 2-49] Excitation spectra (left)
    [ 그림 2-50] Excitation and emission
    [ 그림 2-51] PL spectra of ZnS:Mn [ 그림 2-52] PL spectra of ZnS:Mn
    [ 그림 2-53] SEM photograph of
    [ 그림 3- 1] (A) 상태 밀도에 따른 에
    [ 그림 3- 2] 분말 제조 방법에 따른 합성 방법
    [ 그림 3- 3] 졸 - 겔법의 응용
    [ 그림 3- 4] Auto ball milling method
    [ 그림 3- 5] 희토류 원소의 quenching 현상
    [ 그림 3- 7] (a) Luminance vs voltage for two annealed nanopartic
    [ 그림 3 -8] Luminous efficiency
    [ 그림 3- 9] 저온합성법을 이 용한 ZnS:Eu 의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10] 은 저온합성법으로 제조한 ZnS:Eu XRD pattern 이 다 . ZnS:Eu 는
    [ 그림 3-10] X-ray diffraction of ZnS:Eu
    [ 그림 3-11] 은 ZnS:Eu 의 PL spectrum 이다 . 다음과 같이 세 개의 emission pea
    [ 그림 3-11] ZnS:Eu 의 PL(Photoluminescence) spectra
    [ 그림 3-12] Schematic energy-level model of the ZnS nanocrystal,
    [ 그림 3-13] Eu 의 몰농도에 따른 PL spectrum
    [ 그림 3-13] 은 Eu 의 몰농도에 따른 PL spectrum 이 다 .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 그림 3-14] SEM image of Eu doped
    [ 그림 3-14] 는 ZnS:Eu 의 SEM 사진이다 . 사진을 통해 약 20nm 의 입 자크기를 확
    [ 그림 3-15] 의 XRD pattern 을 보면 합성된 ZnS:Mn nano-phosphor 의 결정 구
    [ 그림 3-15] Mn 농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6]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Mn
    [ 그림 3-16] 은 Mn 의 몰 농도에 따른 PL 과 PLE spectrum 이 다 . spectrum 을 통
    [ 그림 3-17] PL(E) spectra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18] 교반 시간에 따른 ZnS:Mn 의 XRD patterns
    [ 그림 3-17] 은 반응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교반 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PL 과
    [ 그림 3-18] 은 교반 시간에 따른 XRD pattern 을 나타낸 것이 다 . 전체적인 결정구
    [ 그림 3-19] Luminescence of ZnS:Mn at different synthesis time
    [ 그림 3-19] 와 [ 그림 3-20] 은 교반 시간과 Mn 의 몰농도에 따른 밝기를 나타낸 그
    [ 그림 3-20] Luminescence of ZnS:Mn at different Mn
    [ 그림 3-21] ZnS:Mn 의 저온에서의 건조와 진공에서 동결 건조한
    [ 그림 3-21] 은 건조방법을 공기 중에서와 진공 상태에서 동결 건조 하였을 때 측
    [ 그림 3-22] 는 저온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ZnS:Mn 의 SEM 사진이다 . 입 자의 크
    [ 그림 3-22] SEM image of Mn
    [ 그림 3-23] PL(E) of ZnS:Mn synthesized by SSR and room
    [ 그림 3-23] 은 주로 bulk 한 형광체 합성 방법으로 이 용되고 있는 고상법과 나노
    [ 그림 3-24] 저온 합성법과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ZnS:Mn PL
    [ 그림 3-25] Luminescence chart of ZnS:Mn phosphors
    [ 그림 3-26] Schematic diagram of the used spray pyrolysis proces
    [ 그림 3-27] 분무 열분해법을 이 용한 ZnS:Mn 형광체 합성 공정도
    [ 그림 3-28] 은 포집된 ZnS:Mn powder 의 spraying solution 의 pH 값 및 소성
    [ 그림 3-28] 소성된 ZnS:Mn 형광체의 광 발광 스펙트라
    [ 그림 3-29] Emission spectrum of ZnS:Mn phosphor for (a)
    [ 그림 3-30] 900 ℃ 에서 pH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31] 소성 온도 변화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30] 과 [ 그림 3-31] 은 ZnS:Mn 의 900 ℃ 에서 pH 값에 따른 XRD patter
    [ 그림 3-32] 소성 온도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PL spectrum
    [ 그림 3-33] 은 filer 의 위치에 따라서 포집된 형광체 입 자의 XRD pattern 을 나타
    [ 그림 3-33] XRD patterns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a)
    [ 그림 3-34] 는 SEM 사진으로써 , 분무 열분해법으로 만들어진 입자들은 다공성입
    [ 그림 3-34] 입 도 분리 전의 SEM
    [ 그림 3-35] 입도분리 후의 ZnS:Mn 형광체의 SEM images
    [ 그림 3-36] 입 자크기에 따른 ZnS:Mn 형광체의 PL 과 PLE
    [ 그림 3-37] 은 filter 가 위치한 부분에 따라 나타나는 입 자의 SEM 사진으로 (a) 는
    [ 그림 3-37] SEM of ZnS:Mn phosphor for filter part:
    [ 그림 3-38] SEM of ZnS:Mn phosphor used with
    [ 그림 3-39] FT-IR patterns of ZnS:Mn phosphors sintered at
    [ 그림 3-39] 는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ZnS:Mn 의 온도에 따른 FT-IR 이다 . 온
    [ 그림 3-40] 고상법으로 제조된 ZnS:Mn 의 FT-IR
    [ 그림 3-41] Sol-gel reaction
    [ 그림 3-42] Flow chart of the preparation of
    [ 그림 3-43]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3] 은 졸 - 겔법을 이 용해 stirring 시의 pH 의 값을 2 ~ 10 까지 변화시켜가
    [ 그림 3-44]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44] 는 여기 파장을 420nm 로 고정시켰으며 , ZnS:Cu nanocrystals 의 sulf
    [ 그림 3-45] PL intensity of the ZnS:Cu nanocrystals for bulk and
    [ 그림 3-45] 는 bulk size 형광체와 nanosize 형광체의 emission spectrum 을 비
    [ 그림 3-46] Color coordinate of the
    [ 그림 3-46] 은 thiourea 룰 sulfur solution 으로 하였고 용액의 pH 의 값을 7 로
    [ 그림 3-47]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ZnS:Cu
    [ 그림 3-48] The SEM of the
    [ 그림 3-48] 은 졸 - 겔법으로 제조된 nanocrystals 의 ZnS:Cu 형광체의 SEM 사진
    [ 그림 3-49] FT-IR pattern of the ZnS:Cu nanocrystals
    [ 그림 3-49] 는 가장 좋은 photoluminescence 의 특성을 보인 ZnS:Cu
    [ 그림 3-50] 은 졸 - 겔법을 이 용해 stirring 시의 pH 값을 2 ~ 10 까지 변화시켜가며
    [ 그림 3-50] PL intensity of the ZnS:Mn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1] PL intensity of the ZnS:Mn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1] 은 장을 420nm 로 고정시켰으며 sulfur solution 을 달리하고 값을 7 로 하
    [ 그림 3-52] Color coordinate of the ZnS:Mn
    [ 그림 3-52] 는 sulfur solution 을 thiourea 를 사용하고 용액의 pH 의 값을 7 로
    [ 그림 3-53]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3] 은 졸 - 겔법을 이 용해 stirring 시의 pH 의 값을 2 ~ 10 까지 변화시켜가
    [ 그림 3-54] PL intensity of the ZnS:Eu nanocrystals for differen
    [ 그림 3-54] 는 여기 파장을 420nm 로 고정시켰으며 , ZnS:Eu nanocrystals 의
    [ 그림 3-55] Color coordinate of the ZnS:Eu
    [ 그림 3-55] 는 sulfur solution 을 thiourea 를 사용하고 용액의 pH 의 값을 7 로
    [ 그림 3-56] 졸 - 겔법으로 제작한 ZnGa O :Eu 형광체의 합성 순서도
    [ 그림 3-57] 은 합성된 ZnGa O :Eu 시료들의 X- 선 회절 무늬를 보여준다 . 졸 - 겔
    [ 그림 3-57] ZnGa O :Eu 형광체의 X- 선 회절무늬
    [ 그림 3-58] 졸 - 겔법으로 합성한 약 50nm
    [ 그림 3-59] Sol-gel 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스펙트럼
    [ 그림 3-60]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PLE 스펙트럼
    [ 그림 3-61]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 그림 3-62] 졸 - 겔법으로 제조된
    [ 그림 3-62] 의 1) Eu doping 량은 0.05g 이 고 2) Eu doping 량은 0.05g 이
    [ 그림 3-63] 은 1000 ℃ 에서 N /H 혼합기체 분위기에서 3 시간 소성된 BaAl S :Eu
    [ 그림 3-64] 는 900 ℃ , 1000 ℃ , 1100 ℃ 로 N /H 혼합기체 분위기에서 3 시간 동안
    [ 그림 3-63] PL spectrum : 1000 ℃ 에서 소성된 BaAl S :Eu
    [ 그림 3-64] XRD patterns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5] PL spectrum : (4) 900 ℃ , (5) 1000 ℃ , (6) 1100 ℃
    [ 그림 3-66] XRD pattern : 1100 ℃ 에서 H + N 분위기 소성
    [ 그림 3-65] 에서 보면 , 900 ℃ 에서는 물질이 완전히 소성되지 못했기 때문에 발광
    [ 그림 3-66] 은 H /N 혼합가스 분위기에서 3 시간 동안 소성된 BaAl S :Eu 의
    [ 그림 3-67] PL spectrum : 1100 ℃ [ 그림 3-68] SEM : 1100 ℃ 에서 소성
    [ 그림 3-68] 은 (7) 의 조건에서 합성한 형광체의 SEM 사진이 다 . (7) 는 입 자 크기가
    [ 그림 3-69] DTA curve of ZnS:Mn (0.01wt%) nanocrystalline
    [ 그림 3-70] XRD patterns of ZnS:Mn (0.01wt%) nanocrystalline
    [ 그림 3-71] Flow chart for the synthesis of
    [ 그림 3-72] IR spectra of the powder at different
    [ 그림 3-73] The XRD spectra of the dry gel sintered at different
    [ 그림 3-74] Emission spectra of Y O :Eu at (a) 500 ℃ and (b) 800
    [ 그림 3-75] CIE color coordinates for
    [ 그림 3-76] Emission intensity as a function of sintering
    [ 그림 3-77] SEM micrographs of Y O :Eu phosphors
    [ 그림 3-78] Emission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b)
    [ 그림 3-79] I.R spectra of a)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0] a) SEM image of Pure Eu(TNB) phen complex
    [ 그림 3-81] 수열합성법 (Hydrothermal method) 으로 제조한
    [ 그림 3-82] 는 합성된 ZnGa O :Eu 시료들의 X- 선 회절 무늬를 보여준다 . 수 :Eu 형광체의 XRD patterns
    [ 그림 3-83]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한 약
    [ 그림 3-84]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FT-IR 스펙트럼
    [ 그림 3-84] 는 nano size ZnGa O :Eu 와 bulk ZnGa O :Eu 의 FT-IR 스펙트
    [ 그림 3-85]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형광체의 PL
    [ 그림 3-86]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ZnGa O :Eu 의 PLE 스펙트럼
    [ 그림 3-87] ZnGa O :Eu 의 합성법에 따른 광 발광 소멸 시간 곡선
    [ 그림 3-88] Microemulsion synthesis route of nano
    [ 그림 3-89] XRD patterns of nano sized and bulk YVO :Eu
    [ 그림 3-90] (a), (b) 는 광 발광 및 여기 스펙트럼이 다 . 320 nm 로 여기시킨 나노와
    [ 그림 3-90] (a) PL spectra excited at 320nm of nano sized
    [ 그림 3-90](a) 의 광 여기 스펙트럼을 보면 나노크기 YVO :Eu 의 V-O 여기 밴드
    [ 그림 3-91] Schematic diagram of the Cathodeluminescene
    [ 그림 3-91] 는 직접 제작한 CL(cathodoluminescene) 장비 개략도이 다 . ITO 기판위
    [ 그림 3-92] CL spectrum from nano sized and bulk YVO :Eu
    [ 그림 3-93] XRD pattern obtained with (a) the different
    [ 그림 3-94] (a) SEM image of Mn -doped ZnS nanoparticals (b) The
    [ 그림 3-95] Photoluminescence spectra for the samples made with
    [ 그림 3-96] Photoluminescent intensities plotted as a
    [ 그림 3-97] Relationship between PL intensity and the pH
    [ 그림 3-98]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99] Emission spectra of Y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98] 은 기존의 합성방법과 연소합성법으로 1200 ℃ 으로 소성 시 제조된 형
    [ 그림 3-100] Color coordinates of Y O :Eu phosphor
    [ 그림 3-101] SEM of Y O :Eu phosphor prepared at
    [ 그림 3-101] 은 carbohydrazide 를 이용한 Y O :Eu 는 연소합성법에 의해서 그 결정
    [ 그림 3-102] XRD patterns of Y O :Eu phosphors using
    [ 그림 3-103] Brightness of (Gd Eu )O phosphor prepared
    [ 그림 3-104]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
    [ 그림 3-105] Emission intensity of (Gd Eu )O phosphors
    [ 그림 3-106]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107] Emission spectra of Gd O :Eu phosphors prepared
    [ 그림 3-108] Color coordinates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09] SEM of Gd O :Eu phosphor prepared
    [ 그림 3-110] IR spectra of Gd O :Eu phosphor
    [ 그림 3-111] Emission spectrum of
    [ 그림 3-112] SEM micrograph of (a) LaPO :Tb ,
    [ 그림 3-113] (a), (b), (c) X-ray diffraction pattern of
    [ 그림 3-114]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GdVO :Eu after
    [ 그림 3-115] Emission spectra of (a) YVO :Eu , (b) GdVO :Eu as
    [ 그림 3-116] SEM photograph of (a) YVO :Eu at
    [ 그림 3-117] XRD patterns of (a) YVO :Eu , (b) GdVO :Eu
    [ 그림 3-118] Emission spectrum of (a) YAlO :Eu , (b)
    [ 그림 3-119] SEM micrograph of as-prepared (a) YAlO :Eu,
    [ 그림 3-120] SEM micrograph of (a) YAlO :Eu, (b)
    [ 그림 3-121] X-ray diffraction pattern of (a) YAlO :Eu ,
    [ 그림 3-122] Emission spectra of the BaMgAl O :Eu (a) made
    [ 그림 3-123] Size and particle
    [ 그림 3-124] XRD pattern of (Ba Eu )MgAl O obtained
    [ 그림 3-125] Synthesis processing BaMgAl O :Eu
    [ 그림 3-126] XRD pattern of BaMgAl O :Eu phosphor
    [ 그림 3-127] TEM micrograph of
    [ 그림 3-128] The emission spectra of
    [ 그림 3-129] Schematic diagram of excitation, trapping and
    [ 그림 3-130] Energy band model for
    [ 그림 3-131] EL 소자의 발광 원리
    [ 그림 3-132] (a) 는 ZnS 한 개의 입 자 (particle) 에 대하여 전계 (electric fi
    [ 그림 3-132] Schematic representation to produce
    [ 그림 3-133]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 그림 3-134]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 그림 3-135] SEM micrographs of ZnS:Cu,Cl phosphors coated with
    [ 그림 3-136] EDAX profiles a) coated and b) uncoated phosphors
    [ 그림 3-138] PL spectrum of uncoated and coated phosphor
    [ 그림 3-139] PL spectrum of ZnS:Cu,Cl phosphors coated at
    [ 그림 3-140] XRD pattern for the ZnS:Cu,Cl phosphor made after f
    [ 그림 3-141] XRD patterns of ZnS:Cu,Cl phosphor : a) after first
    [ 그림 3-142] SEM photographs of the coated phosphor
    [ 그림 3-143] (CdSe)ZnS 양자점과 band
    [ 그림 3-144] CdSe 양자점의 크기에 따른 UV-Vis. Absorption &
    [ 그림 3-145] (CdSe)ZnS 양자점의 UV-Vis. Absorption &
    [ 그림 3-146] CdSe 와 (CdSe)ZnS 양자점의 발광 사진
    [ 그림 3-147] (CdSe)ZnS 코어 - 쉘 적색 반도체
    [ 그림 3-147] 에 습식화학 합성법에 의하여 만든 (CdSe)ZnS 코어 - 쉘 적색 반도체
    [ 그림 3-148] UV LED 와 적색 반도체 나노
    [ 그림 3-149] 적색 반도체 양자그림 3-151] EL 소자의 단면
    [ 그림 3-152] PL/PLE spectra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3]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4]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 그림 3-153] 은 주파수를 400Hz 로 고정시키고 ZnS:Cu 형광체의 전압에 따른
    [ 그림 3-154] 는 전압을 고정시키고 ZnS:Cu 형광체의 주파수에 따른 emission
    [ 그림 3-155]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400Hz :
    [ 그림 3-155] 는 주파수를 400Hz 로 고정시켰을 때의 ZnS:Cu 형광체의 전압에 따
    [ 그림 3-156]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at fixed 100V :
    [ 그림 3-156] 은 전압을 고정시키고 20 ㎛ 이 하의 ZnS:Cu 형광체의 주파수에 따른
    [ 그림 3-157] 과 [ 그림 3-158] 은 각각 I-V 와 I-F 의 크기에 대한 특성을 보이 며 크
    [ 그림 3-157] I-V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8] I-F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그림 3-159] The coordination of emission spectra
    [ 그림 3-159] 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색좌표를 나타낸 그래프이 다 . 전압에 따
    [ 그림 3-160] 다양한 color 를 구현하는 형광체를
    [ 그림 3-161] ELD 의 활용 예 ( 휴대폰 key-pad, back-light 등에 이 용 )
    표목차
    < 표 1- 1> 형광체와 전자분야 이 용 현황
    < 표 1- 2> 연구 범위
    < 표 2- 1> 일반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2> 주요 형광체 업체와 시판되고 있는 형광체
    < 표 2- 3> 최근의 nano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4> Ultrasonic velocities and elastic module of single cr
    < 표 2- 5> Comparison between the wavelengths of nano-scale powd
    < 표 2- 6> Fluorescence branching ratios and fluorescence lifeti
    < 표 2- 7> 국내 형광체 주요 연구 기관 및 연구 현황
    < 표 3- 1> nano powder 의 합성법
    < 표 3- 2> 졸 - 겔법을 이 용한 ZnS 계 형광체의 합성표
    < 표 3- 3> ZnS:C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4> ZnS:Mn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5> ZnS:E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6> Dependence of doped concentration of Mn on the lumine
    < 표 3- 7> Dependence of the coating polymers on the luminescent
    < 표 3- 8> Dependence of calcined temperature on the luminescent
    < 표 3- 9>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Mn concentrati
    < 표 3-10>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hydrothermal s
    < 표 3-11> Result of EDAX
    < 표 3-12> Phot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p
    < 표 3-13>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coated phos
    < 표 3-14> The emission spectrum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 표 1- 1> 형광체와 전자분야 이 용 현황
    < 표 1- 2> 연구 범위
    < 표 2- 1> 일반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2> 주요 형광체 업체와 시판되고 있는 형광체
    < 표 2- 3> 최근의 nano 형광체를 연구하는 주요 기관
    < 표 2- 4> Ultrasonic velocities and elastic module of single cr
    < 표 2- 5> 에서 보이 는 바와 같이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에서 크기효과
    < 표 2- 5> Comparison between the wavelengths of nano-scale powd
    < 표 2- 6> Fluorescence branching ratios and fluorescence lifeti
    < 표 2- 7> 국내 형광체 주요 연구 기관 및 연구 현황
    < 표 3- 1> nano powder 의 합성법
    < 표 3- 2> 졸 - 겔법을 이 용한 ZnS 계 형광체의 합성표
    < 표 3- 3> ZnS:C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3> 은 상대휘도와 색좌표를 pH, sulfur solution 에 따라 나타내었고 기준
    < 표 3- 4> 는 상대휘도와 색좌표를 pH, sulfur solution 에 따라 나타내었고 기준
    < 표 3- 4> ZnS:Mn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5> ZnS:Eu nanocrystals 에 대한 상대 휘도 및 색좌표
    < 표 3- 5> 는 상대휘도와 색좌표를 pH, sulfur solution 에 따라 나타내었고 기준
    < 표 3- 6> Dependence of doped concentration of Mn on the lumine
    < 표 3- 7> Dependence of the coating polymers on the luminescent
    < 표 3- 8> Dependence of calcined temperature on the luminescent
    < 표 3- 9>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Mn concentrati
    < 표 3-10>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different hydrothermal s
    < 표 3-11> Result of EDAX
    < 표 3-12> Phot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p
    < 표 3-13>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coated phos
    < 표 3-14> The emission spectrum properties of ZnS:Cu phosphor
    목차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개요
    1 . 기술의 개요
    2. 기술개발의 필요성
    제 2 절 기술 개발 효과
    1 . 국내외 특허 및 현존 기술과의 관련성
    2. 현존 기술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3. 기술개발과정에서의 애로사항
    4. 문제점 및 애로사항 해결방안
    5.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6. 개발기술의 경제성
    제 2 장 문헌조사
    제 1 절 목재 가스화 공정의 구성
    제 2 절 기술개발 현황
    1 . 국외
    2. 국내
    제 3 절 벌목재 발생량 및 처리 현황
    1 . 주 ㆍ 간벌 목재
    2. 임목폐기물
    제 3 장 열중량분석기 (TGA) 를 이용한 가스화 실험
    제 1 절 서 론
    제 2 절 실험장치 및 방법
    제 3 절 실험결과 및 고찰
    제 4 절 결 론
    제 4 장r> 제 1 절 서 론
    제 2 절 실험장치 및 방법
    제 3 절 실험결과 및 고찰
    1 . 원료 분석결과
    2. 생성물 분포
    제 4 절 결 론
    제 5 장 Bench-Scale Updraft 가스화 반응기에서의
    제 1 절 서 론
    제 2 절 실험장치 및 방법
    1 . 실험장치
    2. 실험방법
    제 3 절 실험결과 및 고찰
    1 . 실험결과
    2. 고찰
    제 4 절 결 론
    제 6 장 생성 합성 가스의 이용 방안 및 보급형 가스화
    제 1 절 합성가스 이용 방안
    1 . 발열량에 의한 가스 분류
    2. 저발열량 가스 (Low Calorific Value Gases)
    3. 저발열량 가스 (Low Calorific Value Gases) 연소시스템
    4. Engineering aspects of Low Calorific Value Gases combustor
    5. 생성 합성 가스의 이용 방안
    제 2 절 보급형 가스화 반응기의 기본 설계 도면
    제 7 장 결 언
    참고문헌
    그림목차
    [ 그림 -1] 목재의 열화학적 가스화에 의한 에너지회수 공정
    [ 그림 -2] 태양열 집열판을 활용한 바이 오매스 건조시설
    [ 그림 -3] 연소 배기가스를 활용한 바이오매스의 공기예열 및 건조시설
    [ 그림 -4] 다공 바닥판 건조기
    [ 그림 -5] Band conveyer 건조기
    [ 그림 -6] Rotary cascade 건조기
    [ 그림 -7] 디스크형 및 드럼형 파쇄기
    [ 그림 -8] 은 햄머밀 파쇄기로서 햄머를 장착한 회전자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햄머와 외벽
    [ 그림 -8] 햄머밀 파쇄기
    [ 그림 -9] 목재 파쇄공정
    [ 그림 -10] Updraft 고정층 가스화 반응기의 개략도
    [ 그림 -10] 에서와 같이 updraft 고정층 반응기에서는 원료를 반응기 상부에서 투입 하며
    [ 그림 -11] Downdraft 고정층 가스화 반응기의 개략도
    [ 그림 -10], [ 그림 -11] 에서와 같이 고정층 반응기에서는 원료가 일정한 높이 로 누적된
    [ 그림 -12] 과 같이 끝이 없는 밴드모양으로 구성된 grate bars 가 축을 중심으로 반응기
    [ 그림 -12] Travelling grate 원리
    [ 그림 -13] Spreader-stokers 가 장착된
    [ 그림 -14] 경사형 moving bed grate 장치
    [ 그림 -15] 경사형 3 단 moving grate 를 장착한 연소로
    [ 그림 -16] 유동층 가스화 반응기의 개략도
    [ 그림 -17] 순환유동층 가스화 반응기의 개략도
    [ 그림 -18] Entrained flow 가스화 반응기의 개략도
    [ 그림 -19] 저압 공기 가스화 BIGCC 개략도
    [ 그림 -20] 바이 오매스 가스화에 의한 수소생산 공정 흐름도
    [ 그림 -21] 합성가스로부터 액상 탄화수소를 생산하는 BIG-FT 공정의 흐름도
    [ 그림 -22] 전국 권역별 임목폐기물 재활용량
    [ 그림 -23] TGA 반응기의 개략도
    [ 그림 -24] 실험에 이 용한 TGA 반응기의 사진
    [ 그림 -25] 는 다양한 최종온도에서 실시한 나무시료의 TG 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 낙엽
    [ 그림 -25] 우드칩의 TG 곡선 (N flow: 90ml/min, air flow: 90ml/min)
    [ 그림 -26] TGA 실험에서 반응시간에 따른 우드칩 원료의 누적무게감소율
    [ 그림 -27] 낙엽송의 등온 가스화에 대한 kinetic plots
    [ 그림 -28] 참나무의 등온 가스화에 대한 kinetic plots
    [ 그림 -29] 사과나무의 등온 가스화에 대한 kinetic plots
    [ 그림 -30] 벌목재의 등온 가스화에 대한 Arrhenius plot
    [ 그림 -31] 과 같은 실험실 규모의 고정층 가스화 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주요 반응조건에
    [ 그림 -31] 고정층 마이 크로반응기의 개략도
    [ 그림 -32] 고정층 마이 크로반응기의 사진
    [ 그림 -33] 목재 원료별 가스화 생성물의 분석
    [ 그림 -33] 은 가스화 결과 얻은 생성물의 분포를 목재시료별로 나타낸 것이 다 . 고상 생성
    [ 그림 -34] 생성물 분포에 대한 반응온도 영 향
    [ 그림 -35] 생성물 분포에 대한 승온속도 영향
    [ 그림 -36] 생성물 분포에 대한 holding time 영 향
    [ 그림 -37] 생성물 분포에 대한 원료의 수분함량 영 향
    [ 그림 -38] 생성물 분포에 대한 원료의 입 도 영 향
    [ 그림 -39] 목재 원료별 생성가스 조성
    [ 그림 -40] 생성가스 조성에 대한 반응온도 영 향
    [ 그림 -41] 생성가스 조성에 대한 승온속도의 영 향
    [ 그림 -42] 생성가스 조성에 대한 원료의 입 도 영 향
    [ 그림 -43] 생성가스 조성에 대한 원료의 수분함량 영향
    [ 그림 -44] 1 톤 / 일 고정형 주 ㆍ 간벌 목재 가스화반응장치 개략도
    [ 그림 -45] 목재 가스화 실험용 Bench-scale updraft 가스화 반응기의 설계도
    [ 그림 -46] 목재 가스화 실험용 Bench-scale updraft 가스화기
    [ 그림 -47] 목재 투입 장치 사진
    [ 그림 -48] 제어장치 사진
    [ 그림 -49] Tar 흡착탑 및 진공 펌프 사진
    [ 그림 -48] 의 제어장치를 통하여 Conveyor 와 이 중 damper 시스템의 동작모드와 속
    [ 그림 -50] IR 가스분석기 사진 [ 그림 -51] ID fan 사진
    [ 그림 -52] Air compressor 사진
    [ 그림 -53] 연도 사진
    [ 그림 -54] 에 conveyor 운전시간에 따른 원료 투입 속도를 측정하여 그 검량선을 나타
    [ 그림 -55] 주 ㆍ 간벌 목재 ( 좌 ), 임목폐기물 ( 우 )
    [ 그림 -56] 목재 파쇄에 의한 우드칩 제조장치 사진
    [ 그림 -57] 가스화 실험 원료로 이 용한 우드칩 사진
    [ 그림 -56] 에서와 같이 간 ㆍ 벌목 목재는 주로 나무 줄기와 잔가지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
    [ 그림 -58]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1)
    [ 그림 -59]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2)
    [ 그림 -60]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3)
    [ 그림 -61]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4)
    [ 그림 -62]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5)
    [ 그림 -63]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6)
    [ 그림 -64]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7)
    [ 그림 -65]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8)
    [ 그림 -66] 우드칩 가스화 결과 (Run-9)
    [ 그림 -67] "Swiss roll" burner
    [ 그림 -68] Cyclone combustor
    [ 그림 -69] Swirl burner/cyclone combustor 의 체계도
    [ 그림 -70] Combination of waste gas and natural gas
    [ 그림 -71] Tubular refractory combustor concept
    [ 그림 -72] Concept of the high temperature air combustion boiler
    [ 그림 -73] Details of the high temperature air combustion boiler
    [ 그림 -74] 보급형 바이 오 가스화 반응기 전체 조립도
    [ 그림 -75] 바이 오 가스화 반응기 상세 도면
    [ 그림 -76] 바이 오 가스화 반응기 하부 상세 도면
    [ 그림 -77] 투입 시설의 상세 도면
    [ 그림 -78] 반응기 설치 Rack
    표목차
    < 표 -1> 주요 가스화 반응기의 장 ㆍ 단점
    < 표 -2> 합성??농도
    < 표 -3> 에 나타내었다 .
    < 표 -3> 미국의 주요 바이 오매스 가스화 기술개발 내용 (1990 년대 이 후 )
    < 표 -4> 중국의 주요 바이 오매스 가스화장치
    < 표 -5> 중국의 주요 바이오매스 가스화 실증화 사업
    < 표 -6> 행정구역별 산림면적 ( 단위 : ha)
    < 표 -7> 행정구역별 입 목축적 ( 단위 : m )
    < 표 -8> 행정구역별 , 임상별 산림면적 ( 단위 : ha)
    < 표 -9> 연도별 , 임상별 입 목축적 ( 단위 : m )
    < 표 -10> 행정구역별 , 임상별 입 목축적 ( 단위 : m )
    < 표 -11> 주벌 및 간벌 허가현황 (2002 년 ) ( 단위 : ha, m )
    < 표 -12> 연간 입목 벌채허가 실적 ( 단위 : 천 m )
    < 표 -14>. 수종별 벌채비율을 보면 , 소나무가 총 벌목량의 51% 이 상이고 , 낙엽송 6%,
    < 표 -13> 연도별 입 목 벌채허가 실적 ( 단위 : m )
    < 표 -14> 지역별 , 임상별 입 목벌채 허가실적 ( 단위 : ha, m )
    < 표 -15> 국산목 가격시세 ( 단위 : 원 /m )
    < 표 -16> 벌목재 가격산출 ( 우드칩 생산공장 도착가 기준 )
    < 표 -17> 산림면적 감소로 인한 임목폐기물 발생량 추정치
    < 표 -18> 피해목 발생량
    < 표 -19> 총 임목폐기물 발생량 추정치
    < 표 -20> 마이 크로반응기를 이 용한 목재 가스화 실험의 주요 변수
    < 표 -21> 목재 가스화 원료의 공업분석 및 발열량 분석 결과
    < 표 -22> 소나무 가스화에 대한 운반가스 영 향
    < 표 -23> 에 이 들의 공업분석과 발열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 우드칩 원료 및 액상 생
    < 표 -23> 목재 원료의 공업 분석 및 발열량 분석 결과
    < 표 -24> 의 운전조건 별로 실시한 실험의 결과를 [ 그림 -58] ~ [ 그림 -66] 에 각 운전모
    < 표 -24> Updraft 고정층 가스화 반응기의 운전모드에 따른 운전조건
    < 표 -25> 우드칩 가스화 실험 결과에 대한 질량수지 ( 단위 : kg/h)
    < 표 -26> 우드칩 가스화 실험에 대한 에너지수지 및 가스화 효율
    < 표 -27> 대표적인 저발열량 가스와 특성
    < 표 -28> 세계적 상용화 공정의 생성가스 조성 및 발열량
    < 표 -29> Relative thermal value compared with 50/50 CO/H mixtur
    < 표 -30> Typical concentrations of nonhydrocarbon impurities in
    < 표 -31> 생성 합성 가스 이용 방안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