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2단계 1차년도, 2006);연안해저지형변화 예측 및 관리 방안
Integrated Preservation Study on the Marine Environments in the Saemangeum Area (1st Year of 2nd Phase, 2006);Projection and Management of Coastal Topographic Chang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희준
참여연구자 박영길 , 이상훈 , 김태경 , 김민지 , 김주호 , 양병천 , 이관홍 , 우승범 , 윤병일 , 박준석 , 심진경 , 김미리내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02
주관부처 해양수산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등록번호 TRKO200800000281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해저지형.표층퇴적물.부유퇴적물.자동관측시스템.수치모형.조간대.해수욕장.변산반도.seabed topography.surface sediments.suspended sediments.self-recording instruments.numerical modeling.tidal flat.beach.Byunsan Peninsula.

초록

${\circ}$ 1, 2호방조제 전면해역, 고군산군도 입구, 변산해수욕장 그리고 곰소만 입구에 대해 해양지질학적/퇴적학적인 현상을 규명하고 예측하고자 해저지형, 수리/퇴적역학 조사, 퇴적물이동 모델링 분야로 세분하여 각각 정밀조사 실시.
${\circ}$ 1, 2호방조제 전면해역에서는 끝막이공사 후 유속 감소로 변산반도쪽으로의 퇴적물 이동량이 급격히 감소.
${\circ}$ 변산해수욕장은 여름철 퇴적, 겨울철 침식 현상을 보여 왔으나 끝막이공사 후 여름철 퇴적량

Abstract

O Topography
- Carrying out topographical investigations off sectors 1 and 2 of the dyke (March)
- Carrying out topographical investigations in Gogunsan Archipelago (May)
- Seasonal mapping of bathymetry for Byunsan Beach (May and October)
- Carrying out topographical investigations in G

목차 Contents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37
  • 제 1 절 연구개발의 개요...39
  • 제 2 절 연구개발의 현황과 필요성...40
  • 1. 국내외 연구기술현황...40
  • 가. 하구 환경...40
  • 나. 퇴적물 이동...44
  • 다. 해저면 경계층...45
  • 라. 퇴적물이동 수치모형...48
  • 마. 비치(beach) 연구...50
  • 바. 국내 연구 동향...51
  • 2. 연구개발의 필요성...53
  • 제 3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범위...55
  • 1. 2단계 목표 및 범위...55
  • 가. 해저지형 조사분석...55
  • 나. 수리/퇴적역학 특성 관측...55
  • 다. 퇴적물 이동 모델링...55
  • 2. 2단계 1차년도 목표 및 범위...55
  • 제 2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59
  • 제 1 절 해저지형 및 퇴적물 특성...61
  • 1. 조사내용 및 방법...61
  • 가. 해저지형조사 및 육상측량...61
  • 나. 퇴적물 특성...65
  • 2. 결과...66
  • 가. 해저지형...66
  • (1) 1, 2호 방조제 외해역...66
  • (가) 2006년의 해저지형...66
  • (나) 장기 해저지형 변화(1982${\sim}$2006년)...66
  • (다) 단기 해저지형 변화(2003년 5월${\sim}$2006년 3월)...69
  • (2) 고군산군도 해역...74
  • (가) 2006년의 해저지형...74
  • (나) 장기 해저지형 변화(1982년${\sim}$2006년)...79
  • (3) 변산해수욕장...79
  • (가) 2006년 5월의 정밀지형...79
  • (나) 2006년 10월의 정밀지형...83
  • (다) 단기 지형 변화(2004년 10월${\sim}$2006년 10월)...83
  • 나. 퇴적물 특성...98
  • (1) 1, 2호 방조제 외해역...98
  • (가) 2006년 3월의 표층퇴적물...98
  • (나) 표층퇴적상 변화(2003년 5월${\sim}$2006년 3월)...101
  • (2) 고군산군도 해역...107
  • (가) 2006년 5월의 표충퇴적물...107
  • (3) 변산해수욕장...111
  • (가) 2006년 5월의 표층퇴적물...111
  • (나) 2006년 10월의 표층퇴적물...115
  • (다) 표층퇴적물 특성 변화(2005년 3월${\sim}$2006년 10월)...120
  • 3. 결론...127
  • 가. 1, 2호 방조제 외해역...127
  • 나. 고군산군도 해역...127
  • 다. 변산해수욕장...127
  • 제 2 절 곰소만의 퇴적환경 및 퇴적층서...129
  • 1. 지역개관...129
  • 2. 수리환경...129
  • 3. 해저지형...132
  • 4. 퇴적물의 입도 특성...132
  • 5. 퇴적환경...137
  • 가. 만 입구...137
  • 나. 만 중부...145
  • 다. 만 안쪽...148
  • 6. 퇴적층서 및 곰소만의 진화...150
  • 7. 곰소만의 퇴적학적 중요성...154
  • 8. 결론...154
  • 제 3 절 퇴적물이동 모니터링...157
  • 1. 자동관측시스템(TISDOS) 개요...157
  • (1) 조간대와 연안역에서의 TISDOS 구조...157
  • 2. 현장계류(TISDOS)...159
  • 3. 1, 2호 방조제 외측해역...167
  • 가. 정점 S12-1(2006년 1월)...167
  • (1) 수심...167
  • (2) 해류...167
  • (3) 파랑 및 수온...167
  • (4) 부유물질 농도 및 염분...167
  • (5) 해저면 고도변화...171
  • 나. 정점 S12-2(2006년 1월)...171
  • (1) 수심...171
  • (2) 해류...171
  • (3) 파랑 및 수온...171
  • (4) 부유물질 농도...171
  • (5) 해저면 고도변화...174
  • 다. 정점 S12-1(2006년 3월)...174
  • (1) 수심...174
  • (2) 해류...174
  • (3) 파랑...174
  • (4) 부유물질 농도...179
  • (5) 해저면 고도변화...179
  • 라. 정점 S12-2(2006년 3월)...179
  • (1) 수심...179
  • (2) 해류...179
  • (3) 파랑 및 수온...184
  • (4) 부유물질 농도 및 염분...184
  • (5) 해저면 고도변화...184
  • 마. 정점 S12-3(2006년 3월)...188
  • (1) 수심...188
  • (2) 해류...188
  • (3) 파랑 및 부유물질 농도...188
  • (4) 해저면 고도변화...188
  • 바. 정점 S12-1(2006년 10월)...193
  • (1) 수심...193
  • (2) 해류...193
  • (3) 파랑 및 수온...193
  • (4) 부유물질 농도...193
  • (5) 해저면 고도변화...200
  • 사. 정점 S12-2(2006년 10월)...200
  • (1) 수심...200
  • (2) 해류...200
  • (3) 파랑 및 수온...200
  • (4) 부유물질 농도 및 염분...200
  • (5) 해저면 고도변화...206
  • 아. 정점 S12-3(2006년 10월)...206
  • (1) 수심...206
  • (2) 해류...206
  • (3) 파랑 및 수온...206
  • (4) 부유물질 농도...211
  • (5) 해저면 고도변화...211
  • 4. 곰소만 입구...211
  • 가. 정점 GS1...211
  • (1) 수심...211
  • (2) 해류...211
  • (3) 파랑 및 수온...215
  • (4) 부유물질 농도...215
  • (5) 해저면 고도변화...215
  • 나. 정점 GS2...215
  • (1) 수심...215
  • (2) 해류...221
  • (3) 파랑 및 수온...221
  • (4) 부유물질 농도...221
  • (5) 염분 및 해저면 고도변화...221
  • 다. 정점 GS3...221
  • (1) 수심...227
  • (2) 해류...227
  • (3) 파랑 및 수온...227
  • (4) 부유물질 농도...227
  • (5) 해저면 고도변화...227
  • 5. 퇴적물이동...233
  • 가. 1, 2호 방조제 전면해역...233
  • (1) 2006년 1월...233
  • (2) 2006년 3월...233
  • (3) 2006년 10월...233
  • 나. 곰소만 입구...238
  • 6. 결론(TISDOS 관측)...238
  • 가. 1, 2호 방조제 전면해역...238
  • (1) 2006년 1월...238
  • (2) 2006년 3월...243
  • (3) 2006년 10월...243
  • 나. 곰소만 입구...244
  • 7. 선상관측...245
  • 가. 조사방법...245
  • 나. 고군산군도 입구...245
  • (1) 2006년 4월 관측자료...245
  • (가) 해류...245
  • (나) 부유물질...251
  • (다) 수온 및 염분...261
  • (2) 2006년 10월 관측자료...266
  • (가) 해류...266
  • (나) 부유물질...277
  • (다) 수온 및 염분...277
  • 다. 곰소만 입구...282
  • (1) 2006년 8월 관측자료...282
  • (가) 해류...282
  • (나) 부유물질...292
  • (다) 수온 및 염분...292
  • 8. 결론(선상관측)...298
  • 가. 고군산군도 입구...298
  • (1) 2006년 4월...298
  • (2) 2006년 10월...299
  • 나. 곰소만 입구...299
  • (1) 2006년 8월...299
  • 9. 종합결론...300
  • 제 4 절 퇴적물 부유 모델...301
  • 1. 연구개요...301
  • 2. 이론...301
  • 가. 부유퇴적물 확산방정식...301
  • 나. 마찰속도 산정...302
  • 3. 실험자료...307
  • 4. 결과...307
  • 가. 마찰속도 산정...307
  • 나. 부유퇴적물 농도...311
  • 5. 토론 및 결론...317
  • 제 5 절 파랑과 조류에 의한 퇴적물 이동 수치모델...318
  • 1. 연구개요...318
  • 2. 해수유동 실험...318
  • 가. 실험 목적...318
  • 나. 실험 개요...319
  • 다. 사용모델...320
  • (1) 모델 개요...320
  • (2) 지배 방정식...321
  • (가) 연속 방정식...321
  • (나) 운동 방정식...321
  • (다) 상태 방정식...321
  • (라) 물질보존 방정식...321
  • (3) 경계조건...323
  • (가) 수평경계조건...323
  • (나) 수직경계조건...324
  • 라. 모형 수립...324
  • (1) 모델 구성...324
  • (2) 실험조건...325
  • (가) 초기조건...325
  • (나) 개방경계조건...326
  • (다) 모델 보정 및 검증...326
  • 마. 모형 결과...327
  • (1) Case 1 (배수 갑문 차단)...328
  • (2) Case 2 (배수 갑문 유출입량 고려)...333
  • 3. 파랑 산정 실험...339
  • 가. 실험 개요...339
  • 나. 수치모형 수립 (SWAN 모형)...339
  • (1) 모델 개요...339
  • (2) 적용 방법...341
  • 다. 신규 심해파에 의한 파랑 산정...343
  • (1) 개요...343
  • (2) 실험 결과...347
  • 라. 평상시 파랑 산정...353
  • (1) 파랑제원...353
  • (2) 실험결과...353
  • 4. 퇴적물이동 실험...365
  • 가. 실험 개요...365
  • 나. 사용 모델...365
  • (1) 모델 특징...365
  • (2) 지배 방정식...365
  • (가) 저면전단응력...367
  • (나) 재부유와 퇴적...369
  • (다) 퇴적물의 침식...370
  • 다. 모델 구성...371
  • 라. 실험 조건...371
  • (1) 입력조건...371
  • (가) 초기 및 경계조건...371
  • (나) 퇴적작용...372
  • (다) 침식작용...373
  • (2) 외력조건...373
  • (가) 조석...373
  • (나) 갑문 유량...373
  • (다) 파랑...374
  • (3) 실험안...374
  • 마. 실험 결과...374
  • 6. 요약 및 제언...381
  • 가. 실험 결과의 제한 사항...381
  • 나. 퇴적물 이동 수치해석의 한계...382
  • (1) 정량적 검증의 부재...382
  • (2) 파랑-유동 모형간 동적 접합의 부재...382
  • (3) 실제적 바람자료의 부재...382
  • 제 3 장 연구개발결과의 목표달성도와 활용방안...385
  • 제 1 절 목표달성도...387
  • 1. 중과제 목표달성도...387
  • 2. 세부과제별 목표달성도...390
  • 제 2 절 기여도 및 활용방안...391
  • 1. 해저지형...391
  • 2. 퇴적물이동 모델링...392
  • 제 3 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및 향후조치에 대한 의견...393
  • 1. 해저지형...393
  • 2. 퇴적물이동 모델링...394
  • 제 4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과학기술정보...395
  • 제 1 절 관련 과학기술 정보...397
  • 1. 해저지형 분야...397
  • 2. 퇴적물 모델링 분야...403
  • 제 2 절 참고문헌...404
  • 1. 해저지형분야...404
  • 2. 퇴적물이동 모델링 분야...41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