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2단계 2차년도, 2007);평가 예측 분야
Integrated Preservation Study on the Marine Environments in the Saemangeum Area (2nd Year of End Phase, 2007);Prediction and Assess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석
참여연구자 이흥재 , 조철호 , 이하웅 , 장영석 , 송규민 , 유주형 , 장성태 , 홍창수 , 김계림 , 방인권 , 윤두원 , 명철수 , 도영철 , 전찬웅 , 김만섭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8-02
주관부처 국토해양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재단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tion
등록번호 TRKO200900074488
사업명 해양수산연구구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해수순환.수질.유출수.퇴적물이동.모델링.예측.Circulation.Water quality.Sediment transport.Outflow.Modeling.Prediction.

초록

$\circ$ 끝막이 이후의 환경 변화
- 방조제 건설의 영향으로 군산외항 부근 조류 약하게 강화
- 방조제 끝막이 이후 외해역 부유퇴적물 농도 감소
$\circ$ 갑문유출수 거동 특성
- 조류감소에 따라 갑문 주변의 상층으로 확장
- 시간이 지나면 남향으로 이동 확산
- 끝막이 이후 방조제 내부의 물질잔류시간 증가
$\circ$ 퇴적물이동 모델링
- 새만금 해역의 연직 1차원 재부유 모델 개발
- 실시간 바람자료를 이용한 3

Abstract

$\circ$ Marine environmental change after the Saemangeum dike closure
- Modification of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adjacent area
- Remote sensing of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circ$ Behavior of the sluice gate outflow
- Pathway of the outflow
- The

목차 Contents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1
  • 제 1 절 연구개발의 개요 ...23
  • 제 2 절 연구개발의 현황과 필요성 ...24
  • 1. 국내외 연구기술현황 ...24
  • 가. 지금까지의 연구개발 실적 ...24
  • 나. 현 기술상태의 취약성 ...25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25
  • 제 3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범위 ...26
  • 1. 최종 목표 ...26
  • 2. 당해 연도 목표 및 범위 ...26
  • 가. 목표 ...26
  • 나. 범위 및 주요내용 ...27
  • 제 2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9
  • 제 1 절 해수유동-수질 접합모델링 ...31
  • 1. 개요 ...31
  • 2. 인접해역의 조석변형 ...32
  • 3. 원격탐사에 의한 새만금해역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 분석 ...37
  • 가. 인공위성 원격탐사의 개요 ...37
  • 나. 연구해역 및 자료 ...38
  • 1) 연구해역 ...38
  • 2) 연구자료 ...39
  • 다. 연구방법 ...41
  • 1) 부유퇴적물 농도 분포도 제작을 위한 영상 처리 ...41
  • 2) 부유퇴적물 농도 알고리즘 ...44
  • 라. 연구결과 ...47
  • 1) 현장관측 결과 ...47
  • 2) 부유퇴적물 농도 분포 변화 모니터링 ...48
  • 마. 결과 및 토의 ...63
  • 4. 유출수 영향 분석 ...64
  • 5. 조석모니터 링과 새만금 방조제 내측 조위변화분석 ...69
  • 가. 조석 모니터링 ...69
  • 나. 새만금 방조제 내측 조위변화분석 ...85
  • 6. 인공위성(NOAA) 영상에 의한 표층수온 분석 ...90
  • 7. 새만금 해양환경 통합예측 시스템 기반 조성 ...93
  • 가. 통합예측시스템 개념 설계 ...93
  • 나. 해수유동-수질 모델링 접합 ...95
  • 제 2 절 퇴적물이동 모델링 ...97
  • 1. 연구개요 ...97
  • 2. 연직 1차원 퇴적물확산모델 개발 ...97
  • 가. 연구개요 및 이론 ...97
  • 나. 실험자료 ...98
  • 다. 결과 ...100
  • 1) 마찰속도 산정 ...100
  • 2) 부유퇴적물 농도 ...100
  • 라. 토론 및 결론 ...109
  • 3. 3차원 퇴적물이동 모델링 ...112
  • 가. 연구개요 ...112
  • 나. 퇴적물이동 수치모형 실험 ...112
  • 다. 실험 결과 ...118
  • 4. 토론 및 결론 ...126
  • 제 3 장 연구개발결과의 목표달성도와 활용방안 ...129
  • 제 1 절 목표달성도 ...131
  • 1.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131
  • 2.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목표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 ...132
  • 제 2 절 기여도 및 활용방안 ...133
  • 1. 기대성과 ...133
  • 가. 기술적 측면 ...133
  • 나. 경제.산업적 측면 ...133
  • 2. 활용방안 ...133
  • 제 3 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및 향후조치에 대한 의견 ...134
  • 제 4 장 참고문헌 ...135
  • 표 2-1-1. 인접해역 조석변형 분석을 위한 실험조건 ...34
  • 표 2-1-2. 방조제 착공 이전과 끝막이 이후 군산 외항의 주요 분조별 조류 변화 비교 ...36
  • 표 2-1-3. 방조제 착공 이전과 끝막이 이후 곰소만의 주요 분조별 조류 변화 비교 ...36
  • 표 2-1-4. 사용된 Landsat 위성영상 목록 ...42
  • 표 2-1-5. 현장에서 관측된 부유퇴적물 농도 분석 결과 ...47
  • 표 2-1-6. 2004년 현장 관측값과 위성에서 분석된 부유물질 농도 비교 ...50
  • 표 2-1-7. 위성자료로부터 분석된 각 부분 해역별 부유퇴적물 농도 분석 결과 ...54
  • 표 2-1-8. 유출수 거동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조건 ...64
  • 표 2-1-9. 2002-2007년 새만금 조석관측 진행표. 정점 T2 (가력구간)에서는 2004년 4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방조제 내측에서 관측(T2-2)하였으며, 2002!2003년 (T2), 2006~2007년(T2-3) 기간에는 방조제 외측을 관측하였다. ...71
  • 표 2-1-10. 정점별 새만금 조석관측 개요. (P:압력, T:수온, C:전기전도도) ...73
  • 표 2-1-11. 군산외항 검조소에서의 월별 조화분석 결과 ...75
  • 표 2-1-12. T1에서의 월별 조화분석 결과 ...77
  • 표 2-1-13. T2, T2-2, T2-3에서의 월별 조화분석 결과 ...78
  • 표 2-1-14. T3에서의 월별 조화분석 결과 ...79
  • 표 2-1-15. T4에서의 월별 조화분석 결과 ...80
  • 표 2-1-16. T1에서의 갑문개방 상태에 따른 조화분석 결과 ...85
  • 표 2-1-17. T1에서의 갑문 전체개방 조건의 조화분석 결과 ...88
  • 표 2-1-18. T1에서의 갑문 부분개방 조건의 조화분석 결과 ...89
  • 표 2-2-1. 표층퇴적물 입경분포 ...103
  • 표 2-2-2. 새만금 퇴적물이동 실험 개요 ...112
  • 표 2-2-3. EFDC 퇴적물이동 모델에 사용된 퇴적물 계수 ...115
  • 표 2-2-4. 위도에서 관측한 파고-파향 발생빈도 백분율 (1996~2007) ...117
  • 그림 1-1-1. 예측시스템 분야의 단계별 연구 내용 ...24
  • 그림 2-1-1. 개선된 새만금영역모델의 영역과 수심 ...32
  • 그림 2-1-2. 끝막이 이후 황해의 M2 분조 진폭변화 예측(한국해양연구원, 2004b). 회색은 진폭이 감소하는 영역을 의미. 단위는 cm ...33
  • 그림 2-1-3. 방조제 공사 이전 (F60, 흑색)과, 끝막이 이후 (F67, 회색)의 군산외항(a)과 곰소만 입구 (b)에서의 조류와 조석잔차류의 변화 비교 ...34
  • 그림 2-1-4. 조석잔차류와 조류의 변화 비교. (a) 방조제 공사 이전 (F60, 흑색)과 4호 방조제 연결 이후 (F63, 회색), (b) 4호 방조제 연결 이후 (F63, 흑색)와 끝막이 이후 (F65, 회색) ...35
  • 그림 2-1-5. 2005~2006 해양위성연구단 새만금 조사 정점도(+ : 위성연구단 조사 정점, $\Delta$ : 새만금 수질팀 조사정점) ...39
  • 그림 2-1-6. 영상처리 순서도 ...43
  • 그림 2-1-7. 560 nm에서의 원격반사도 값과 현장관측 부유퇴적물 농도 값 간의 상관관계 분석 ...45
  • 그림 2-1-8. (a) 현장에서 얻어진 원격반사도 값과 대기보정 된 위성영상에서 얻어진 원격반사도 값의 비교 (b) 현장관측 부유퇴적물 농도와 위성영상에서 얻어진 부유퇴적물 농도 값의 비교 ...46
  • 그림 2-1-9. 2005년 3월 26~27일 현장관측을 통해 얻어진 새만금 주변해역에서의 원격반사도 $(R_{rs})$ 스펙트럼 ...48
  • 그림 2-1-10. 통계값 분석을 위하여 선택된 다양한 지역의 위치 ...50
  • 그림 2-1-11. 각 해역별 평균 부유물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그래프 ...52
  • 그림 2-1-12. 부유물 농도 평균 값에 대한 조석별 시계열 그래프 ...53
  • 그림 2-1-13. 썰물 끝 시기(Ebb-end tide)와 밀물 시작 시기(Flood-start tide) 때의 부유물 농도 분포도 ...57
  • 그림 2-1-14. 썰물 시작 시기 (Ebb-start tide)와 밀물 끝 시기 (Flood-end tide) 때의 부유물 농도 분포도 ...60
  • 그림 2-1-15. 썰물과 밀물의 중간 시기 (Ebb-middle and Flood-middle tide) 때의 부유물 농도 분포도 ...61
  • 그림 2-1-16. F71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표층과 저층의 염분분포 변화 ...65
  • 그림 2-1-17. F70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표층과 저층의 염분분포 변화 ...67
  • 그림 2-1-18. 시나리오별 방조제 내부의 평균염분 변화와 방조제 내부 치환시간 분석. (a) F70, (b) F71, (c) F72) ...68
  • 그림 2-1-19. 2002년 8월 이후 조석관측 정점도 ...70
  • 그림 2-1-20. T1 정점에서의 월별 조화상수의 장기변화 특성 ...81
  • 그림 2-1-21. T2 정점에서의 월별 조화상수의 장기변화 특성 ...82
  • 그림 2-1-22. T3 정점에서의 월별 조화상수의 장기변화 특성 ...82
  • 그림 2-1-23. T4 정점에서의 월별 조화상수의 장기변화 특성 ...83
  • 그림 2-1-24. 군산외항 검조소에서의 월별 조화상수의 장기변화 특성 ...84
  • 그림 2-1-25. 2006년 T1정점 조위 변화 ...86
  • 그림 2-1-26. 2007년 T1정점 조위 변화 ...87
  • 그림 2-1-27. 위성영상(AVHRR)에서 추출된 SST 영역과 새만금 모델 영역. KODC에서 제공하는 정선관측자료를 표시하였다 ...90
  • 그림 2-1-28. 2004년~2007년 새만금 모델영역에서의 위성영상을 통한 월평균 표층수온 분포 ...91
  • 그림 2-1-29. 새만금 해양환경 통합예측시스템의 개념도 ...93
  • 그림 2-2-30. 독자연산 가능한 수질모델의 계산 흐름도 ...96
  • 그림 2-2-1. 2007년 5월에 4호방조제 전면에서 얻은 수리역학 시계열자료 ...102
  • 그림 2-2-2. 마찰속도 시계열자료. 새만금 4호방조제 전면에서 얻은 유속자료를 이용하여 레이놀즈항력 (RS), 총운동에너지(TKE), w'(W), 그리고 관성소산법 (IDM)으로 계산한 마찰속도는 Grant and Madsen의 해류-파랑상호작용모델로 예측한 해류에 기인한 마찰속도 u*GM_c와 일치한다. 파랑과 해류의 비선형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속도 u"GM_cw도 비교를 위하여 나타냈다 ...104
  • 그림 2-2-3. 마찰속도의 일대 일 대응 ...105
  • 그림 2-2-4. 부유퇴적물 농도 프로파일. +는 OBS관측값을 나타내고 'Single $200{\mu}m$'는 200um의 단일입경,'Single Armor $200{\mu}m$'는 2000m의 단일입경에 armoring을 고려하였으며, 'Single'과 'Single Armor'는 각각 $120{\mu}m$의 단일입경과 armoring으로 고려한 것이며, 'Multiple'은 7개 입경등급,'Multiple Armor'는 7개 입경등급에 armoring을 고려한 것이다. 이들은 2층 Rouse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이 가운데 'Multiple Armor'는 식 (2-2-2)에 주어진 표준농도를 사용하고 다른 모델은 식(2-2-3)에 주어진 표준농도를 사용하였다. 'GG Multiple'은 3층Rouse식에 다중입경 및 식 (2-2-2)의 표준농도를 사용한 모델이며, 'GG Multiple Armoring'은 'GG Multiple'에 armoring효과를 더한 모델이다 ...106
  • 그림 2-2-5. 단일입경 부유퇴적물 농도의 모델결과과 관측값 비교. 입경은 $120{\mu}m$이며 Smith(1977)의 표준농도를 이용함. 실선 - OBS 15 cm; 점선 - OBS 30 cm; o - 모델 15 cm; x - 모델 30 cm ...107
  • 그림 2-2-6. 단일입경 부유퇴적물 농토의 모델결과과 관측간 비교. 입경은 $200{\mu}m$이며 Smith(1977)의 표준농도를 이용함, 실선 - OBS 15 cm; 점선 -OBS 30 cm; o - 모델 15 cm; x- 모델 30 cm ...108
  • 그림 2-2-7. 다중입경 부유퇴적물 농토의 모델결과과 관측값 비교. Smith(1977)의 표준농도를 이용함. 실선 - OBS 15 cm; 점선 - OBS 30 cm; o - 모델 15 cm; x - 모델 30 cm ...110
  • 그림 2-2-8. 다중입경 부유퇴적물 농토의 모델결과과 관측값 비교. 3층 Rouse식, 다중입경, 그리고 armoring을 고려. 실선 - OBS 15 cm; 점선 - OBS 30 cm; o - 모델 15 cm; x - 모델 30 cm ...111
  • 그림 2-2-9. 새만금 퇴적물이동모델 격자망도 (300$\times$300m 등격자). 해사채취를 가정한 웅동이가 4호방조제 전면에 나타나 있다. ...116
  • 그림 2-2-10. 파랑장미 (파랑은 위도에서 1996-2007 관측) ...117
  • 그림 2-2-11. 창조류 벡터도 (조석만 고려) ...119
  • 그림 2-2-12. 낙조류 벡터도 (조석만 고려) ...120
  • 그림 2-2-13. 최강낙조시 의 해저면 마찰속도 ...120
  • 그림 2-2-14. 격자 (130, 140)에서 해저면 부유퇴적물 농도 시계열자료 ...121
  • 그림 2-2-15. 해저면 근처의 퇴적물 농도 (모델 run 마지막 시간) ...121
  • 그림 2-2-16. EFDC모델을 5일 구동한 결과로 나타난 지형변화 ...122
  • 그림 2-2-17. 해사채취에 의한 웅덩이가 존재한 경우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지형 변화의 차이 ...122
  • 그림 2-2-18. 창조류 벡터도 (조석과 파랑 고려) ...123
  • 그림 2-2-19, 낙조류 벡터도 (조석과 파랑 고려) ...123
  • 그림 2-2-20. 최강낙조시 마찰속도 (조석과 파랑 고려) ...124
  • 그림 2-2-21. 격자 (130, 140)에서 마찰속도 비교 ...124
  • 그림 2-2-22. 해저면 근처의 퇴적물 농도 (모델 run 마지막 시간) (조석+파랑) ...125
  • 그림 2-2-23. EFDC모델을 5일 구동한 결과로 나타난 지형변화 (조석+파랑) ...125
  • 그림 2-2-24. 조석과 파랑을 고려한 경우 해사채취 웅덩이 유무에 따른 지형 변화의 차이 ...12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