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산화단층엑스선검사에서의 환자선량 평가 연구
National Survey of Radiation Dose of Computed Tomography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연구책임자 정승은
참여연구자 정정임 , 이정휘 , 장기원 , 남용현 , 최원찬 , 김광균 , 조우일 , 심종훈 , 도경현 , 구현우 , 백상현 , 용환석 , 양동현 , 이영준 , 반수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8-11
과제시작연도 2008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0900073951
과제고유번호 1475003988
사업명 용역연구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전산화단층촬영.환자피폭선량.진단참고준위.전국조사.Computed tomography.CT radiation dose.Diagnostic reference level.National Survey.

초록

1. 현재 국내의 전산화 단층촬영장비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전국적 실태를 반영한 대상 장비를 선정하고 실제 CT 피폭선량인 CTDI를 팬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의료기관에서 CT 검사 부위별(두부, 흉부 ,복부) 임상에서의 촬영조건과 진단영상 정보를 조사하여 임팩트스캔과 CT-엑스포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효선량 계산 및 평가를 하였다.
3. 각국의 CT검사 부위별(두부, 흉부, 복부) 환자선량을 조사하고 권고 수준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4. 실측 및 계산하여 파악된 국내 현황과 외국 기준을 비교하여 진단 참고

Abstract

We survey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T scanners on a national basis, sampled CT scannersand directly measured CTDI of CT radiation dose using phantom, collected scanning parameters for CT examination of head, chest and abdomen and calculated effective dose using program ImPACT scan and CT-EXPO.

목차 Contents

  • 용역연구사업 연구결과보고서...1
  • 제출문...4
  • 목차...5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7
  •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 ...7
  • Summary ...9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1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1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5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20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38
  • 제5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44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46
  • 제7장 참고문헌 ...47
  • 제8장 첨부서류 ...50
  • III.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51
  • 제1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52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54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61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68
  • 제5장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71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73
  • 제7장 참고문헌 ...74
  • 제8장 첨부서류 ...76
  • IV.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77
  • 제1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78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82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88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15
  • 제5장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117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19
  • 제7장 참고문헌 ...120
  • 제8장 첨부서류 ...12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