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한의학연구원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연구책임자 |
이미영
|
참여연구자 |
김영은
,
오승은
,
박샛별
,
김영화
,
채병찬
,
도의정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9-02 |
과제시작연도 |
2008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
등록번호 |
TRKO200900074149 |
과제고유번호 |
1475003676 |
사업명 |
용역연구개발과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한약재.감별.염기서열.Oriental herbal medicine.screening.DNA.Base sequence.
|
초록
▼
본 연구는 방풍, 시호, 치자, 목단피, 현삼, 계지의 동속식물 및 혼용품등의 20점 이상 확보를 통한 분석의 객관성 확보를 통해 대상약재의 DNA분석에 의한 한약재 기원확인과 DNA fingerprinting 및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생리활성 및 분리분석의 후보약재에 대한 동정(identification)을 실시하였고, DNA 감별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풍(Saposhnikoviae Radix)은 방풍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사용하며, 중국 또한, S. diva
본 연구는 방풍, 시호, 치자, 목단피, 현삼, 계지의 동속식물 및 혼용품등의 20점 이상 확보를 통한 분석의 객관성 확보를 통해 대상약재의 DNA분석에 의한 한약재 기원확인과 DNA fingerprinting 및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생리활성 및 분리분석의 후보약재에 대한 동정(identification)을 실시하였고, DNA 감별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풍(Saposhnikoviae Radix)은 방풍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사용하며, 중국 또한, S. divaricata (Turcz.) Schischk.로 한국, 중국, 일본이 모두 같은 기원으로 되어있음. 방풍, 식방풍(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해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t Miquel) 50개 시료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기원확인 및 방풍류 악재를 감별할 수 있었다.
시호(Bupleuri Radix)는 대한약전(The Korea Pharmacopeia)에 시호 Bupleurum falcatum Linne 또는 그 변종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며, 중국에서는 시호(柴胡) B. chinense D.C. 협엽시호(狹葉柴胡) B. scorzonerifolium Willd.의 근을 건조하여 사용함. 본 연구에서는 시호류의 69개 시료를 대상으로 ITS 부위 분석을 통해 기원을 확인하고, 시호류 약재를 효율적으로 감별할 수 있었다.
치자(Gardeniae Fructus)는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잘익은 열매를 기원으로 하며, 중국은 G. jasminoides Ellis의 건조된 성숙과실을 기원으로 합 본 연구에서는 29개 시료를 대상으로 chloroplast DNA의 rbcL 부위분석을 통해 기원을 확인하고 치자를 효율적으로 감별할 수 있었다.
목단피(Moutan Cortex)는 대한약전(KP)에 목단 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의 뿌리껍질을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중국도 같은 기원을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1개 시료를 대상으로 목단의 염기서열을 통해 Paeonia 계통인 작약과 비교하였으며, 목단과 작약을 효율적으로 감별할 수 있었다.
현삼(Scrophulariae Radix)은 대한약전(KP)에서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중국은 S. ningpoensis Hemsal..의 건조된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삼류 22개 시료를 대상으로 ITS, trn L - F intergenic spacer와 rbc L 부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기원을 확인하고, 현삼을 북(중국)현삼(S. ningpoensis)과 토현삼(S. koraiensis)으로부터 감별 할 수 있었다.
계지(Cinnamomi Ramulus)는 대한약전(KP)에서 Cinnamomum cassia Blume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어린가지로 기원이 설정되어 있으며, 중국은 C. cassia Presl의 어린가지로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지류 80개 시료를 대상으로 trnL intron, ITS와 atpB - rbcL intergenic spacer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기원을 확인하고, C. cassia와 Cinnamomum 속 식물의 구별에 이용할 수 있는 감별마커를 제작하였다.
Abstract
▼
By securing the objectivity of analysis by having more than 20 plant samples in same genus and mixed products of Saposhnikoviae Radix, Bupleuri Radix, Gardeniae Fructus, Moutan Cortex, Scrophulariae Radix, and Cinnamomi Ramulus, the curr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origin of subjected oriental me
By securing the objectivity of analysis by having more than 20 plant samples in same genus and mixed products of Saposhnikoviae Radix, Bupleuri Radix, Gardeniae Fructus, Moutan Cortex, Scrophulariae Radix, and Cinnamomi Ramulus, the curr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origin of subjected oriental medicine by using DNA analysis and to establish DNA analysis method for each herbal medicine by using DNA fingerprinting and base sequence analysis, and the study aimed to develop more scientific and principal gene screening method instead of typical sensory evaluation method relying on 5 senses and chemical test methods.
As the Saposhnikoviae Radix, the roots and rhizomes of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are used, it is defined as S. divaricata (Turcz.) Schischk. in china, and the origin of it in Korea, China, and Japan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Through the ITS region analysis of 50 samples of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nd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t Miquel, the origin of these sample has been confirmed and the screening marker for S. divaricata was produced.
At the Korea Pharmacopeia, the origin of Bupleuri Radix is defined as the dried roots of Bupleurum falcatum Linne or its variety, and the dried roots of B. chinense D. C. and B. scorzonerifolium Willd. are used in China. At the current study, the origin of 69 samples of Bupleuri Radix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ITS region analysis and the screening marker for Bupleurum species was produced.
Gardeniae Fructus is originated from the well ripen fruit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and the dried ripen fruits of G. jasminoides Ellis is defined as the origin of it in China.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e origin of 29 Gardeniae Fructus and G. jasmonoides var. radicans samples through the rbcL region analysis and the screening marker for Gardeniae Fructus was produced.
At the Korea Pharmacopeia, the origin of Moutan Cortex is defined as the bark of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roots, and the same definition is used in China. The current study looked for the screening possibility of Moutan Cortex by using 31 samples.
At the Korea Pharmacopeia, the origin of Scrophulariae Radix is defined as the root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and the dried root of S. ningpoensis Hemsl. is defined as the origin in China.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e origin of 22 Scrophulariae Radix samples by using the ITS, trn LF intergenic spacer and rbcL region sequence analysis, and the marker that can distinguish S. ningpoensis from S. koraiensis was produced.
At the Korea Pharmacopeia, the origin of Cinnamomi Ramulus is defined as Cinnamomum cassia Blume or as the young branches of closely related plants of same genus, and the young branches of C. cassia Presl is defined as its origin in China.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e origin of 80 Cinnamomi Ramulus samples by using the trnL intron, ITS and atpB, rbcL intergenic spacer region sequence analysis, and the screening mark for C. cassia and for the plants of Cinnamomum genus was produced.
목차 Contents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7
-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7
- Summary ...9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1
- 제 1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1
- 제 2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4
- 제 3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23
- 제 4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87
- 제 5 장 총괄인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132
- 제 6 장 기타 주요변경사항 ...136
- 제 7 장 참고문헌 ...137
- 제 8 장 첨부서류 ...138
- III.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39
- 제 1 장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41
- 제 2 장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145
- 제 3 장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152
- 제 4 장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89
- 제 5 장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193
- 제 6 장 기타주요변경사항 ...196
- 제 7 장 첨부서류 ...197
- III.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99
- 제 1 장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201
- 제 2 장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205
- 제 3 장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210
- 제 4 장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36
- 제 5 장 제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238
- 제 6 장 기타 주요변경사항 ...240
- 제 7 장 참고문헌 ...241
- 제 8 장 첨부서류 ...24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