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도국 원자력 수출 기반 조성 연구
Study to set-up the NPP export-base in developing countri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기초전력연구원
연구책임자 이은철
참여연구자 홍장희 , 전지한 , 최용원 , 임성원 , 신상화 , 우태호 , 김홍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05
과제시작연도 2007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재단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tion
등록번호 TRKO200900074192
과제고유번호 1355051780
사업명 원자력국제협력기반조성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원자력기술.원자력 국제협력.원자력정책.원자력 수출.원자력 개도국.Nuclear technology.International cooperation in nuclear technology.Nuclear policy.Nuclear export.Developing countries in nuclear.

초록

$\circ$ 원자력 산업의 세계 시장 진출 필요
- 화석연료의 가격 상승 및 환경 변화로 말미암은 원자력산업의 중요성 부각
- 2015년을 기점으로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전력 시장
$\circ$ 발전로분야 수출경쟁력 강화
- 원전설계 핵심코드 개발과제를 통해 예상되는 원전수출시점에 원천기술문제 해결
- RCP 및 NSSS I&C에 대한 공급사 차원의 협상 가능성과 국산화 계획
- 원전수출 전략품목으로 고유브랜드원전 개발 필요
- 원자력산업

Abstract

International certification on nuclear technology and concentration on niche market is important to set-up the NPP export-base in developing countries. And unified vendor should be organized to improve marketing ability. Unified vendor could be organized by business consolidation and system reorgani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 ...22
  • 제 2 장. 발전로분야 ...24
  • 제 1 절. 발전로분야 수출 현황 ...24
  • 제 2 절. 외국의 원전 개발 계획 ...25
  • 1. 베트남 ...25
  • 2. 인도네시아 ...26
  • 3. 태국 ...27
  • 4. 필리핀 ...28
  • 5. 터키 ...28
  • 6. 루마니아 ...29
  • 7. 우크라이나 ...30
  • 8. 카자흐스탄 ...30
  • 9. 요르단 및 아랍권 ...31
  • 10. 캐나다 ...32
  • 제 3 절. 국산 원전의 경쟁력 ...33
  • 1. OPR1000 ...33
  • 2. APR1400 ...33
  • 제 4 절. 해외 주요 발전로 사업자 현황 ...35
  • 제 5 절. 주요 세계적 원자력 기업 현황 ...36
  • 1. 아레바(AREVA) ...36
  • 2. 미쓰비시(MHI) ...41
  • 3. 도시바-웨스팅하우스 ...45
  • 4. GE-히타치 ...49
  • 5. 러시아 원자력 기업 ...52
  • 제 6 절. 세계 원자력기업 동향 분석 ...56
  • 1. 합병 및 제휴 ...56
  • 2. 일본 기업의 강세 ...57
  • 3. 미국 및 중국 시장 진출 전망 ...57
  • 4. 핵연료 공급 안정성 추구 ...57
  • 5. 원자력 사업 확대 ...58
  • 제 7 절. 원전수출 관련 부족기술 및 대응현황 ...58
  • 제 8 절. 국내 원전설계코드 현황과 문제점 해결 방안 ...59
  • 1. 원전설계 핵심코드개발 사업 개요 ...61
  • 2. 원전설계 핵심코드 개발 현황 및 문제점 ...63
  • 3. 문제점 해결 방안 ...64
  • 제 9 절. 발전로 수출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65
  • 1. 원전수출의 필요성 ...65
  • 2. 원자력수출 유형 및 전략품목 ...75
  • 3. 원자력수출산업화를 위한 세부과제 ...78
  • 4. 국내 원자력산업체 통합방안(안) ...80
  • 제 10 절. 일체형 원자로 분야 ...86
  • 1. 중소형 원전의 수요 ...86
  • 2. SMART 개발 현황 ...88
  • 3. 인허가 체계 개발 ...89
  • 제 11 절. 발전로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 ...91
  • 1. 발전소 수출 틈새시장 공략 ...91
  • 2. 국산원전의 경쟁력 국제적 인증 노력 ...92
  • 3.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92
  • 4. 외국인의 전략적 국내 기업 채용 ...93
  • 5. 효과적인 입찰로비 ...94
  • 6. 경쟁사와의 정보전 우위 점유 ...94
  • 7. 경쟁사와의 제휴 방안 모색 ...95
  • 8. 정부차원의 지원강화 ...96
  • 9. 원천기술의 확보 ...96
  • 10. 분야별 틈새시장 공략 ...97
  • 11. 일체형원자로 수출 방안 모색 ...97
  • 제 3 장. 연구로 분야 ...100
  • 제 1 절. 연구로 관련 수출 개요 ...100
  • 제 2 절. 연구로 시장 전망 ...102
  • 1. 세계 연구로 현황 ...102
  • 2. 연구로 향후 전망 ...106
  • 3. 연구로 예상 수요 ...107
  • 4. 주요 경쟁국가와의 비교 ...108
  • 제 3 절. 주요 수출 대상국가 ...115
  • 1. 네덜란드 ...115
  • 2. 태국 ...117
  • 3. 베트남 ...119
  • 제 4 절. 수출 장애요인 및 해결 방안 ...122
  • 1. 기술적 부문 ...122
  • 2. 기술외적 부문 ...126
  • 제 5 절. 효과적인 연구로 수출을 위한 제언 ...130
  • 제 4 장. 비발전분야 ...132
  • 제 1 절. 비발전분야 수출입 현황 및 수출 가능(유망) 품목 ...132
  • 1. 비발전분야 수출입 현황 ...132
  • 2. 비발전분야 수출 가능(유망) 품목 ...134
  • 제 2 절. 수출장애 요인 분석 ...135
  • 1. 기술수출 및 생산 기업의 수출장애요인 ...135
  • 2. 국내 산업구조에 관한 수출장애요인 ...138
  • 제 3 절. 수출 기반 조성 방안 ...138
  • 1. 수출 기반 조성 전략 개요 ...138
  • 2. 수출 경쟁력 강화 방안 ...140
  • 3. 수출 활성화 방안 ...148
  • 제 4 절. 수출 활성화 지원 체계 방안 요약 및 결론 ...151
  • 제 5 장. 인력 양성 ...154
  • 제 1 절. 현 인력양성 현황 및 문제점 ...154
  • 1. 현 단기인력양성과정 현황 및 문제점 ...155
  • 2. 현 장기인력양성과정의 현황 및 문제점 ...160
  • 제 2 절. 체계적인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162
  • 1. 원자력 개발도상국 인력양성 재단 및 운영위원회 구성 ...162
  • 2. 단기 인력 양성 과정 ...164
  • 3. 장기 인력 양성 과정의 운영 ...166
  • 4. 사후관리 ...168
  • 제 3 절. 인력 양성 체계의 적용 방안 ...169
  • 1. 기술수출 가능국가에 대한 선택적 인력양성 지원 방안 ...169
  • 2. 개발도상국 전반에 대한 인력양성 지원 방안 ...169
  • 제 6 장. 결론 ...172
  • 제 7 장. 참고문헌 ...176
  • 부록 ...178
  • 표 1. APR의 가격경쟁력(건설(계획)중인 프로젝트별 건설단가 비교) ...35
  • 표 2. 신구 노심설계코드 명칭 ...61
  • 표 3. 신구 안전해석 코드 비교 ...62
  • 표 4. 안전해석코드 분할개발 기관별 담당 분야 ...62
  • 표 5. 현재 원전시장에 판매 중인 신형원자로 ...71
  • 표 6. CANDU 원자로 수출의 경제적 효과 ...72
  • 표 7. CANDU 원자로 수출시 분야별 경제적 효과 ...73
  • 표 8. 원자력 수출의 유형 ...76
  • 표 9. 원자력 수출 전략품목 ...76
  • 표 10. 세계 주요 개량형/차세대 원전 현황 ...78
  • 표 11. 1단계 추진방안별 장단점 ...84
  • 표 12. 국내 원자력 산업체 기능별 통합을 위한 정부의 역할 ...86
  • 표 13. 연구로제품의 국내 현황 및 수출 예상 금액 ...102
  • 표 14. 세계 연구용 원자로 현황 ...103
  • 표 15. 대륙별 연구로 현황 ...105
  • 표 16. 호주 OPAL 연구로와 하나로 및 수출시 사용될 코드 비교 ...125
  • 표 17. RI의 주요 국가별 수입 내역 ...132
  • 표 18. RI의 주요 국가별 수출 내역 ...133
  • 표 19. 비 발전분야의 수출 유망 품목 ...134
  • 표 20. 비 발전분야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 ...139
  • 표 21. 원자력연구개발사업 기술실시계약 및 기술료 징수 실적 ...148
  • 표 22. 원자력연구개발사업 기술 확산 실적 ...148
  • 표 23. 원자력관련 KOICA 연수생 초청사업의 국가별 인원 분포 ...156
  • 표 24. 한국원자력 연구원의 단기 인력 양성 과정 ...157
  • 표 25.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의 단기 인력 양성 과정 ...158
  • 표 26. 한국수력원자력의 단기 인력 양성 과정 ...159
  • 표 27. 국내 각 대학 원자력관련 학과의 외국인 유학생 현황 ...160
  • 그림 1. 베트남의 국가 윈전 도입 계획 ...25
  • 그림 2. 인도네시아의 국가 원전 도입 계획 ...26
  • 그림 3. 태국의 국가 원전 도입 계획 ...27
  • 그림 4. 국내 원전산업 대응 시나리오 ...66
  • 그림 5. 국제 원자력 산업의 재편 ...68
  • 그림 6. 원전 건설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74
  • 그림 7. 핵공학관련 학과 등록자수 ...74
  • 그림 8. 원전 수출의 기대효과 ...75
  • 그림 9. 원자력 수출 산업 추진 전략 ...80
  • 그림 10. 국내 원자력 산업체 기능별 통합방안 ...82
  • 그림 11. 고유 강점 분야 수출역량 제고 방안 ...82
  • 그림 12. 국내 원자력 산업체 기능별 통합방안(안) ...83
  • 그림 13. 대통령직 인수위의 국내 원전 산업체 통합 방안 ...83
  • 그림 14. 현재 추진 중인 SMART 사업의 사업기간별 업무 ...89
  • 그림 15. 운전 중인 연구로 수의 변화 ...104
  • 그림 16. 운전 중인 연구로의 운전 이력 분포 ...104
  • 그림 17. 운전 중인 연구로의 출력별 현황 ...106
  • 그림 18. 소형 연구로의 예상운전 기간 ...110
  • 그림 19. 재료 시험로의 예상운전 기간 ...114
  • 그림 20. 미래의 경영전략상 해외수출 비중 정도 ...135
  • 그림 21. 수출에 비중을 크게 두는 이유 ...135
  • 그림 22. RT 수출과 관련하여 수출대상국의 승인, 통괄 등 관련절차 이해정도 ...136
  • 그림 23. 수출대상국에 대한 시장개척 방법 ...136
  • 그림 24. 해외 수출을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 ...136
  • 그림 25. 수출시 전략물자 해당 여부 판정에 관한 애로사항 ...137
  • 그림 26. 수출 촉진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분야 ...137
  • 그림 27. RT제품수출지원센터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업체로서 우선 추진 과제 ...137
  • 그림 28. 수출실적이 없거나, 수출을 계획하고 있는 업체의 수출 계획 시 우선 추진 과제 ...138
  • 그림 29. 원자력기술수출지원단의 구성 ...140
  • 그림 30. AtomXport.com 웹사이트 메인화면 ...141
  • 그림 31. 원자력기술수출지원단 내 정보네트워크팀 신설(안) ...143
  • 그림 32. 수출 경험업체 요구시 수출 정보 교환 체계 ...147
  • 그림 33. 수출 미경험업체 요구시 수출 정보 교환 체계 ...147
  • 그림 34. 기술 실용화 추진팀 업무 흐름도 ...150
  • 그림 35. 원자력관련 KOICA 연수생 초청사업 수의 추이 ...155
  • 그림 36. 원자력관련 KOICA 연수생 초청 국가 분포 ...155
  • 그림 37. 국내 각 대학 원자력관련 학과의 외국인 유학생 국가 분포 ...161
  • 그림 38. 원자력 개발도상국 인력양성 재단의 운영 ...163
  • 그림 39. 원자력 개발도상국 인력양성 재단의 구성 ...164
  • 그림 40. 단기 인력 양성 과정의 운용 개요 ...164
  • 그림 41. 단기 인력 양성 분야의 연계와 특성화 ...165
  • 그림 42. 장기 인력 양성 과정의 운용 개요 ...167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