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rc$ 고당지수 식사는 비만, 당뇨병, 심혈관계질환 및 암 발생의 위험을 높임. $\circ$ 국외는 당지수 측정방법이 확립되어 있고 표준안이 개발됨. $\circ$ 국내의 경우 당지수의 개념 및 분석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측정기관에서 분석하고 있고 일부 제품에 한해 다양한 표기방법으로 자율적으로 표기하고 있음. $\circ$ 전문 자문가의 의견으로서 당지수 도입의 필요성과 동시에 역기능에 대한 사전 준비의 필요성이 논의됨
$\circ$ 고당지수 식사는 비만, 당뇨병, 심혈관계질환 및 암 발생의 위험을 높임. $\circ$ 국외는 당지수 측정방법이 확립되어 있고 표준안이 개발됨. $\circ$ 국내의 경우 당지수의 개념 및 분석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측정기관에서 분석하고 있고 일부 제품에 한해 다양한 표기방법으로 자율적으로 표기하고 있음. $\circ$ 전문 자문가의 의견으로서 당지수 도입의 필요성과 동시에 역기능에 대한 사전 준비의 필요성이 논의됨. 한국표준 안 제정 및 측정기관 관리, 소비자의 올바른 판단을 돕는 교육과 홍보, 제도, 중소 식품회사 기술 지원 등의 후속 조치가 필요함. $\circ$ 당지수 분석은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계산으로는 추정하기 어려워 인체시험이 필요한데 국내의 당지수 분석법은 제외국의 표준안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타당하나 일부 차이가 존재함. $\circ$ 한국표준안 제정을 위해 피험자의 수와 특성, 채혈부위, 혈당분석방법, 채혈시간, 면적계산, 시험식품의 양, 기준식품의 선택과 측정횟수 등에 대해 정밀 정확성과 경제 실용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함. $\circ$ 비만을 포함한 성인을 대상으로 설탕의 당지수를 측정하는 임상시험 결과,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공복혈당과 당지수, 변이계수와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음. 제외국 기준의 음식에 대한 알러지가 없는 건강한 성인이면 피험자 자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circ$ 채혈부위는 손가락 끝 모세혈관으로 정밀성이 검증된 혈당측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며 혈당 변화를 잘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circ$ 한국형 표준(안)을 설계함. 표준 식품 측정 IAUC값으로 여러 식품을 측정할 경우 보다 비용 -효과적일 수 있으며 기존 표준식품 2회에서 3회로 측정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당지수 측정에 안정된 기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circ$ 피험자별 곡선하면적과 당지수값을 산출하고 당지수의 평균값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한국형 당지수 측정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함. $\circ$ 올바른 당지수 표시를 통하여 저당식이를 요구하는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식품 소비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식품 선택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무분별한 당지수 표시를 막아 소비자의 혼란 및 오인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circ$ 당지수 표시의 제도화를 통해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고 영양표시 개정안에 대한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Abstract▼
$\circ$ High GI diet is proved to increase the incidence of obesity, diabetes melitu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some cancers. $\circ$ Standards of methodology of GI measurement were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circ$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GI a
$\circ$ High GI diet is proved to increase the incidence of obesity, diabetes melitu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some cancers. $\circ$ Standards of methodology of GI measurement were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circ$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GI are not yet established in Korea. The confused and Inconsistent measurement and labeling are being performed in a few laboratories. $\circ$ Not only the necessity but also the dysfunc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GI was discussed through the advisory conference in which related professionals participated. $\circ$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in details; the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s for GI measurement, education programs for assisting consumers' right decision making and technical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industries. $\circ$ It is hard to measure the GI of the food simply by it's composition, and it is mandatory to test the GI in human subjects in vivo. Current methodology Performed in Korea was mostly based on the Standards of western countries, but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circ$ Defining the requirements including the number, preparati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participants, sampling site, analysis method, sampling time, calculating the area under curve, dosage of test food, choosing the reference food and the number of the test are needed for Korean standards which satisfies precision and accuracy as well as practic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irc$ Age, sex, body mass index or fasting blood glucose were identified to have no relation with the mean or coefficient of variation of glycemic index. Healthy adults with no known food allergy nor intolerance was thought to be feasible subjects. $\circ$ Measuring blood glucose level from the finger prick capillary whole blood using glucometer of which accuracy and precision was confirmed seemed to be practical and reasonable. $\circ$ Korean standards for measuring GI were suggested here. It is expected to be cost-effective that IAHC of reference food could be reusable for limited period and testing number was suggested to be at least 2 times in testing several numbers of testing foods for building more accurate reference value. $\circ$ Computerized program for calculating IAHC in measuring GI was developed. $\circ$ Proper labeling system and regulations could give a nutritional information to the consumers, Increase the adequacy of food decision and prevent confusion and misapplication. $\circ$ Implementation and systematization of GI labeling could enhance the consumers' confidence and give the relevant data for revision of nutritional labeling system.
목차 Contents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1
제 출 문...3
목 차...4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6
연구 결과보고서 요약문 ...6
Summary ...8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0
제 1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0
제 2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8
제 3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22
제 4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44
제 5 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46
제 6 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48
제 7 장 참고문헌 ...49
제 8 장 첨부서류 ...50
III.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73
제 1 장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74
제 2 장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80
제 3 장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85
제 4 장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26
제 5 장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130
제 6 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32
제 7 장 참고문헌 ...133
제 8 장 첨부서류 ...139
III.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62
제 1 장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63
제 2 장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170
제 3 장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171
제 4 장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39
제 5 장 제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252
제 6 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253
제 7 장 참고문헌 ...254
제 8 장 첨부서류 ...256
총괄 연구과제 요약 ...257
제1세부 연구과제 요약...260
제2세부 연구과제 요약...263
부 록...266
[부록 I] 식품 ? 당지수의 판단과 관련 분류...267
부속서 A...278
부속서 B...280
부속서 C...281
관련규격...283
[부록 II] 식품의 당지수...285
[부록 III] Glycemic index Table...29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