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인지건강증진의 효과성 평가 및 관리지침 개발
Systematic Review of Lifestyle and Cognitive Health:Developing Recommendations for Cognitive Health Promo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아주대학교
Ajou University
연구책임자 이윤환
참여연구자 나덕렬 , 정해관 , 홍창형 , 백종환 , 김진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02
주관부처 보건복지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재단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tion
등록번호 TRKO200900074464
사업명 건강증진연구사업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인지건강(cognitive health)은 인지기능의 연속선상의 개념으로 인지기능의 저하, 장애, 치매의 전 과정을 포괄한다. 이 연구는 (1) 인지건강 예측요인에 대한 효과성 평가, (2) 근거의 융합, (3) 인지건강수칙 개발의 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학술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을 통해 인지건강의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총괄적인 검토를 하였으며, 체계적 고찰의 결과자료를 토대로 근거 수준을 평가하였다. 또한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인지건강수칙

Abstract

Study A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ifestyle behavioral factors predicting cognitive health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Public recommendations for maintaining cognitive health in later lif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vidence.
Met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 ...13
  • 제 1 절 연구의 목적 ...13
  • 1. 연구의 목적 ...13
  • 2. 구체적인 목표 ...13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13
  • 1. 노년기 인지기능의 보건학적 중요성 ...13
  • 2. 인지 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15
  • 3. 문제점 및 시사점 ...18
  • 제 3 절 연구의 범위 ...19
  • 1. 인지건강의 개념 ...19
  • 2. 연구의 틀 ...20
  • 제 2 장 국내 외 연구 현황 ...22
  • 제 1 절 국내 연구 ...22
  • 제 2 절 국외 연구 ...23
  • 제 3 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27
  • 제 1 절 연구방법 ...27
  • 1.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 ...27
  • 2. 인지건강과 생활습관의 관련성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정 ...29
  • 3. 근거의 융합(convergence) ...39
  • 4. 인지건강수칙 개발 ...41
  • 제 2 절 연구결과 ...42
  • 1. 체계적 고찰: 결과요약 ...42
  • 2. 결과의 결합 ...43
  • 3. 근거의 융합 ...123
  • 4. 인지건강수칙 개발 ...125
  • 제 4 장 연구목표 달성도, 연구의 제한점 및 대외기여도 ...142
  • 제 1 절 연구의 제한점 및 연구과제 ...142
  • 제 2 절 연구의 기여도 ...143
  • 제 5 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145
  • 참고문헌 ...147
  • 부록 ...151
  • 부록 I. 자료추출양식 (Data Abstraction Form) ...151
  • 부록 II. 체계적 고찰 참고문헌 목록 ...156
  • 표 1. 인지기능, 인지장애, 치매의 관련요인: 국내 주요연구 ...22
  • 표 2. 인지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Cognitive and Emotional Health Project (CEHP) ...24
  • 표 3. 인지기능과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적 생활습관 ...25
  • 표 4. 문제정의에 대한 검색용어(PubMed) ...31
  • 표 5. 연구의 질적 평가기준: 연구실행 ...37
  • 표 6. 생활습관별 인지기능과의 관련성: 체계적 고찰 결과요약 ...42
  • 표 7. 신체적 활동 종합표 ...45
  • 표 8. 금연 종합표 ...58
  • 표 9. 사회적 활동 종합표 ...68
  • 표 10. 인지적 활동 종합표 ...78
  • 표 11. 음주 종합표 ...85
  • 표 12. 체질량지수(적정체중, 비만 아님) 종합표 ...96
  • 표 13. 영양 종합표 ...103
  • 표 14. 인지기능 측정방법에 따른 생활습관과 인지건강의 관련성 ...121
  • 표 15. 혼란변수 보정 정도에 따른 생활습관과 인지건강의 관련성 ...122
  • 표 16. 치매예방의 5가지 행동수칙(보건복지가족부, 대한치매학회, 한국치매협회) ...126
  • 표 17. Healthy Brain Initiative 10대과제 ...127
  • 표 18. 미국 알쯔하이머협회(AA)의 권장사항: Maintain Your Brain(R) ...127
  • 표 19. AARP의 뇌건강수칙(Taking control of brain health): Staying Sharp Program ...129
  • 그림 1. 치매 유병률의 추이 ...14
  • 그림 2. 알쯔하이머 치매: 예방과 치료의 효과(2000-2005년도 예측) ...16
  • 그림 3. 연구의 틀 ...20
  • 그림 4. 연령별 치매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26
  • 그림 5. 문헌고찰의 유형 ...27
  • 그림 6. 체계적 고찰의 순서도 ...28
  • 그림 7. 문헌검색과정 ...33
  • 그림 8. EndNote를 이용한 검색자료 정리 및 관리(예) ...34
  • 그림 9. 체계적 고찰의 문헌검색 과정 ...35
  • 그림 10. 생활습관별 연구의 근거 수준 ...12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