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개특보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시행 로드맵 작성 기획 연구
A Study for establishing roadmap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fog warning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시립대학교
University Of Seoul
연구책임자 김도경
참여연구자 이수범 , 이재규 , 김유진 , 박재영 , 이형록 , 양시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02
과제시작연도 2009
주관부처 기상청
사업 관리 기관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000000342
과제고유번호 1365000615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안개,안개특보,안개관측망,안개교통사고,안개예측기술Fog,Fog warning system,Fog observing network,Fog traffic accident,Fog prediction technique

초록

■ 안개특보 시행에 관한 해외사례 검토
-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등의 안개특보의 시행목적 및 발표기준, 발표단계 등을 검토하여 국내 안개특보 시행시 참고자료로 활용함.
■ 국내 안개특성 및 분류
- 안개의 일반적인 정의 및 생성조건 등을 파악하고 분류하였으며, 기상청 시정관측자료 및 안개 지속시간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안개의 분포특성에 검토함.
■ 안개발생에 따른 교통사고 특성 및 사례 조사
- 서해대교와 자유로 사고를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안개발생 원인 및 교통사고 원인에 대하여 조사함.

Abstract

$\circ$ Fogs can have an effect o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its severity by reducing visibility of drivers.
$\circ$ Large and small damages to human life are continuously taking place due to traffic accidents caused by fogs such as a 29-fold rear-end collision acc

목차 Contents

  • 제출문...1
  • 보고서 요약서...2
  • 요약문...4
  • SUMMARY...6
  • CONTENTS...9
  • 목차...14
  • 제 1 장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8
  • 제 2 장 안개특보관련 해외사례 검토 ...20
  • 제 1 절 미국 ...20
  • 1. 시행 목적 ...20
  • 2. 발표단계 ...23
  • 3. 발표기준 ...25
  • 4. 안개관측 현황 ...29
  • 제 2 절 영국 ...31
  • 1. 시행목적 ...31
  • 2. 발표단계 ...32
  • 3. 발표기준 ...33
  • 제 3 절 일본 ...36
  • 1. 시행목적 ...36
  • 2. 발표단계 ...36
  • 3. 발표기준 ...37
  • 4. 정보전달 체계 및 역할 ...39
  • 가. 시의 역할 ...39
  • 나. 현의 역할 ...39
  • 다. 시민의 역할 ...40
  • 라. 디지털 지상파 TV ...41
  • 제 4 절 프랑스 ...41
  • 1. 시행목적 ...41
  • 2. 발표기준 ...41
  • 3. 안개관측 현황 ...42
  • 제 3 장 국내현황 분석 ...45
  • 제 1 절 안개 특성 및 분류 ...45
  • 1. 안개의 정의 및 발생원인 ...45
  • 가. 안개의 정의 ...45
  • 나. 안개발생의 원인 ...46
  • (1) 안개의 생성조건 ...46
  • (2) 안개생성의 메카니즘 ...47
  • (3) 안개발생의 지역 환경요소 ...47
  • 다. 안개의 종류 및 특성 ...48
  • (1) 냉각에 의한 안개 ...49
  • (가) 복사안개(輻射霧) ; Radiation Fog) ...49
  • (나) 역전안개(逆戰霧) ; Inversion Fog) ...49
  • (다) 이류안개(移流霧) ; Advection Fog) ...49
  • (라) 활승안개(滑昇霧) ; Upslope Fog) ...49
  • (2) 증발에 의한 안개 ...50
  • (가) 증발안개(蒸氣舞) ; Evaporation Fog) 혹은 증기안개 ...50
  • (나) 전선안개 ...50
  • 라. 안개의 분류 ...51
  • (1) 기상청 분류 ...51
  • (2) 국제분류 ...53
  • (가) 시정에 따른 분류 ...53
  • (나) 미국 H.C Willet(1928)의 분류 ...53
  • (다) 영국과 유럽 Byers(1959)의 분류 ...54
  • 제 2 절 국내 안개발생 현황 ...55
  • 1. 기상관측소 기준 안개발생 현황 ...55
  • 2. 고속도로 안개발생 현황 ...55
  • 3. 지속시간 및 시정거리에 따른 안개발생 현황 ...59
  • 제 3 절 국내 안개대응 교통안전시설물 현황 조사 ...61
  • 1. 국내 가변전광표지(VMS)현황 검토 ...61
  • 가. 고속도로 가변전광표지 현황 ...61
  • 나. 일반국도 가변전광표지 현황 ...64
  • 2. 안개 잦은 지점 예고표지 ...71
  • 3. 안개 시정표지 ...71
  • 4. 시선유도등(LED, 레이져) ...71
  • 5. 안개 위험경보(경광등, 경음기) ...72
  • 6. 차로 이탈방지시설 ...72
  • 7. 안개 차단시설(방무벽) ...72
  • 8. 낮은 조명등 ...72
  • 제 4 절 안개발생시 사고 특성 및 사례 조사 ...73
  • 1. 안개발생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례I(서해대교) ...73
  • 가. 안개발생 원인 ...73
  • 나. 사고원인 ...74
  • 2. 안개발생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례II(자유로) ...75
  • 가. 안개발생 원인 ...75
  • 나. 사고원인 ...76
  • 제 5 절 국내 기상관측 운영 현황 ...76
  • 1. 기상청 기상관측운영현황 ...76
  • 2. 유관기관 기상관측 현황 ...79
  • 가. 해상관제센터 ...79
  • 나. 국토관리청 ...79
  • 다. 환경부 대기오염측정망 ...87
  • (1) 관련근거 ...87
  • (2)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현황 ...87
  • 제 4 장 현행 안개특보의 문제점 ...90
  • 제 1 절 안개 예측 기술의 부재 ...90
  • 1. 안개예측 방법론 ...90
  • 가. 통계적 방법 ...90
  • 나. 역학적 수치모델을 이용한 방법 ...91
  • 2. 안개예측을 위한 관측 항목 ...91
  • 제 2 절 기반시설 부족으로 인한 관측간 확보의 어려움 ...93
  • 1. 국내 기반시설 설치현황 ...93
  • 제 3 절 안개특보 기준의 효용성 문제 ...94
  • 1. 현행 특보기준 검토 ...94
  • 2. 항공의 특보발표 기준 ...95
  • 3. 해상에서 특보발표 기준 ...96
  • 제 5 장 안개특보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세부시행 방안 ...98
  • 제 1 절 기반시설 확충방안 ...98
  • 1. 기상청 안개관측망 확충 방안 ...99
  • 제 2 절 특보기준의 재정립 ...100
  • 1. 시정거리 ...100
  • 2. 지속시간 ...102
  • 제 3 절 안개 예측기술의 성능향상 방안 ...103
  • 제 4 절 유관기관 협력방안 ...104
  • 1. 기상자료 재공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방안 ...105
  • 2.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방안 ...105
  • 가. 도로 ...105
  • 나. 해상 ...105
  • 3. 정보전달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방안 ...106
  • 가. 가변전광표지(VMS)를 이용한 정보제공 ...106
  • 나.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정보제공 ...107
  • 다. 방송매체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안 ...107
  • 4. 방제활동 실시를 위한 유관기관 협력방안 ...107
  • 제 5 절 안개특보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108
  • 1. 유관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108
  • 2. 기상관측망 확충을 위한 협조체제 마련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111
  • 3. 표준화 관련 법제도 정비 ...120
  • 4. 특보 발효시 법적 조치사항 ...123
  • 제 6 절 안개특보 발효시 국민행동 요령 ...131
  • 제 7 절 안개특보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시행 로드맵 작성 ...132
  • 제 6 장 결론 및 향후 연구방안 ...133
  • 제 7 장 참고문헌 ...135

표/그림 (8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