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전 배관손상 비파괴 진단 신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dvanced Nondestructive Diagnosis Technology for NPP Piping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04
과제시작연도 2009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등록번호 TRKO201000011879
과제고유번호 1345108832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비파괴,원전 배관,상시감시,비접촉,이종금속 용접부,차세대 원전Nondestructive,NPP Piping,On-line Monitoring,Non-contact,Dissimilar metal weld

초록

<TEX>${\circ}$</TEX> 이종금속 용접부 미세 결함검출 기술개발
<TEX>${\bullet}$</TEX> 고감도 압전형 초음파 탐촉자 개발 : 중심주파수(1, 2.25, 5 MHz)
<TEX>${\bullet}$</TEX> 이종금속 표면적응형 위상배열 탐촉자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TEX>${\bullet}$</TEX> 닫힘 균열에서 초음파 비선형 거동에 대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TEX>${\bul

Abstract

<TEX>${\circ}$</TEX> Development of detection technology for flaws in dissimilar metal welds (DMWs)
<TEX>${\bullet}$</TEX> Development of high sensitive 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 : 1, 2.25, 5 MHz
<TEX>${\bullet}$</TEX> Development of flexible phas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초록 ... 4
  • 요약문 ... 6
  • SUMMARY ... 13
  • CONTENTS ... 20
  • 목차 ... 26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2
  •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32
  • 1. 과학기술, 사회적, 경제적 중요성 ... 32
  • 제 2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달성도 ... 36
  • 1. 사업의 최종 목표 ... 36
  • 제 3 절 추진전략 및 추진 체계 ... 37
  • 1. 연구개발 추진전략 ... 37
  • 2. 연구개발 추진체계 ... 39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41
  • 제 1 절 이종금속 용접부 미세 결함 검출 기술개발 ... 41
  • 제 2 절 증기발생기 전열관 원주방향 결함 신속 탐지 기술 개발 ECT & EMAT 기술) ... 44
  • 제 3 절 원자로 CRDM & BMI Penetration 관 용접부 균열/누출 상시감시 기술 ... 44
  • 제 4 절 2차 계통 곡관부 배관 두께감육 감시기술 ... 47
  • 제 5 절 차세대 원전설비 증기발생기 결함 검출 기술 ... 50
  • 제 6 절 Test Bed 설계 제작 및 검증 시스템 구축 기술 ... 51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54
  • [이종금속 용접부 미세 결함검출 기술개발] ... 54
  • 제 1 절 이종금속 용접부 탐상용 초음파 변환기 개발 ... 54
  • 1. 서론 ... 54
  • 2. 초음파 변환기 설계 및 제작 ... 55
  • 3. 초음파 변환기 시뮬레이션 ... 62
  • 4. 초음파 시험장치 ... 63
  • 5. 결과 및 고찰 ... 65
  • 6. 요약 및 결론 ... 75
  • 제 2 절 닫힘균열 및 미세열화손상 진단을 위한 비선형 초음파 기술 개발 ... 77
  • 1. 닫힘 균열에 의한 초음파의 비선형적 거동 모델링 ... 77
  • 2. 초음파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닫힘균열 평가 ... 90
  • 3. 초음파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미세 열화 평가 ... 101
  • 제 3 절 초음파 열화상 기술 ... 110
  • 1. 초음파 적외선 열화상의 결함 검출 방법 ... 110
  • 2. 위상잠금 초음파 적외선 열화상 ... 119
  • 3. 초음파 열화상 배관 적용시험 ... 120
  •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원주 방향 결함 신속 탐지 기술 개발] ... 122
  • 제 4 절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원주방향결함 신속 탐지기술 개발 ... 122
  • 1. 서론 ... 122
  • 2. 와전류 탐상 기술 개발 ... 123
  • 3. EMAT 기술 개발 ... 135
  • 4 결론 ... 138
  • [CRDM & BMI 관 균열/누출 상시감시 기술 개발] ... 139
  • 제 5 절 음향방출 탐지 광섬유 센서 ... 139
  • 1. 서론 ... 139
  • 2. FBG 광섬유 AE센서의 원리 ... 139
  • 3. 탄성파 검출 실험 ... 140
  • 4. 고감도 음향방출 광섬유 AE센서의 구현 ... 143
  • 5. 결론 ... 150
  • 제 6 절 LIBS 이용한 붕산 석출물 감시기술 개발 ... 152
  • 1. 서론 ... 152
  • 2. 레이저유도 플라즈마의 특성 ... 154
  • 3. 레이저유도 플라즈마 분광 시스템 구성 ... 158
  • 4. LIBS 시스템을 이용한 붕산 석출물 검출 ... 166
  • 5. 결론 ... 178
  • [2차계통 곡관부 배관 두께감육 감시 기술 개발] ... 179
  • 제 7 절 자기변형 유도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배관 곡관부 두께 감육 진단 기술 개발 ... 179
  • 1. 서론 ... 179
  • 2. SH파 모드 단절 현상을 이용한 배관 점진 감육 진단 기법 ... 180
  • 3. 배관에서 비틀림 유도초음파 변환을 위한 모듈형 자기변형 트랜스듀서 개발 ... 187
  • 4. 결론 ... 197
  • 제 8 절 유도초음파 위상배열 ... 198
  • 1. 서론 ... 198
  • 2. 빔 형성(Beamforming) 방법의 이해 ... 200
  • 3. 유도초음파 위상배열의 이해 ... 207
  • 4. 모의실험 및 실험 ... 213
  • 제 9 절 펄스 와전류 이용 기술 ... 219
  • 1. 서론 ... 219
  • 2. 펄스 와전류의 원리 ... 220
  • 3. 펄스와전류 장치 및 센서 ... 222
  • 4. 펄스와전류 시험 ... 223
  • 5. 결론 ... 235
  • 제 10 절 초음파 전파 영상화 ... 236
  • 1. 서론 ... 236
  • 2. 곡관 Testbed 감육 가시화 ... 239
  • 3. 배관 Testbed 용접부 균열 가시화 ... 240
  • 4. CRDM 용접부 레이저 초음파 손상 가시화 시스템 설계 ... 241
  • 5. CRDM 삽입용 레이저 초음파 스캐닝 시스템 개발 ... 242
  • [차세대 원전설비 증기발생기 튜브 결함 상시감시 기술] ... 244
  • 제 11 절 차세대 원전 증기발생기 결함 검출을 위한 탐촉자 설계 ... 244
  • 1. ECT 프로브 설계 ... 244
  • 2. 자왜도파탐촉자 ... 268
  • 3. EMAT 설계.제작 ... 289
  • [Test Bed 설계 제작 및 검증시스템 구축] ... 297
  • 제 12 절 Test Bed 설계 제작 및 검증시스템 구축 ... 297
  • 1. 개요 ... 297
  • 2. 테스트베드 설계 기준 ... 302
  • 3. 테스트 베드 개발 ... 309
  • 4. 결론 ... 318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319
  •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319
  • 1. 이종금속 용접부 미세 결함검출 기술개발 ... 319
  • 2.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원주 방향 결함 신속 탐지 기술 개발 ... 320
  • 3. CRDM & BMI 관 균열/누출 상시감시 기술 개발 ... 320
  • 4. 2차계통 곡관부 배관 두께감육 감시 기술 개발 ... 320
  • 5. 차세대 원전설비 증기발생기 튜브 결함 상시감시 기술 ... 321
  • 6. Test Bed 설계 제작 및 검증시스템 구축 ... 321
  • 제 2 절 관련분야 기여도 ... 322
  • 1. 이종금속 용접부 미세 결함검출 기술 ... 322
  • 2.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원주 방향 결함 신속 탐지 기술 ... 322
  • 3. CRDM & BMI 관 균열/누출 상시감시 기술 ... 322
  • 4. 2차계통 곡관부 배관 두께감육 감시 기술 ... 323
  • 5. 차세대 원전설비 증기발생기 튜브 결함 상시감시 기술 ... 323
  • 6. Test Bed 설계 제작 및 검증시스템 구축 기술 ... 324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25
  • 제 1 절 기술적 측면 ... 325
  • 제 2 절 경제.산업적 측면 ... 327
  • 제 3 절 활용방안 ... 328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29
  • 제 7 장 참고문헌 ... 331
  • 끝페이지 ... 34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