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S/SLS기반 스마트 원격 NDT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S/SLS-based Smart Wireless NDT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SungKyunKwan University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5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400022143
과제고유번호 1345170925
사업명 첨단 비파괴검사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10
키워드 셀프센싱.스캐닝 레이저 소스.다중 스케일 손상감지.유비쿼터스센싱.원전 배관 구조물.무선 센서 노드.self sensing.scanning laser source.multi-scale damage detection.ubiquitous sensing.pipe structure in nuclear power plant.wireless sensor node.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22143

초록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SS/SLS 기반 스마트 원격 NDT 시스템 개발’이며, 원자력 발전소 배관손상의 경제적인 비파괴 진단 신기술 개발을 위하여 다중 스케일 손상 진단 기법, 스마트 유비쿼터스 무선 센서 노드 개발, 레이저 스캐닝 기반 손상 영상화 기술 등을 개발하여 원전 배관에 개발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의 비파괴진단 신기술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다중 스케일 손상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스템은 단순화시키면서 손상의 정량화 및 분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레이저 스캐닝 시스

Abstract

Ⅳ. Results
○ Development of self sensing / multi-functional ubiquitous NDT sensor node
ㆍ Multi-scale sensing system based on self-sensing was proposed by combining the impedance and wave sensing systems.
ㆍ Equipment change is not necessary to detect various damages using the multi-scale sy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8
  • CONTENTS ... 13
  • 목차 ... 16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0
  • 제 1 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 20
  • 1. 기술적 필요성 ... 20
  • 2. 경제·산업적 필요성 ... 21
  • 3. 사회적 필요성 ... 22
  • 제 2 절 연구 개발의 목표 ... 23
  • 1. Self sensing / 다기능 유비쿼터스 NDT 센서노드 개발 ... 23
  • 2. SLS (Scanning Laser Source) 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 기반 원전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 23
  • 3. 스마트 원격 원전 배관 NDT 시스템 검증시험 및 보완 ... 23
  • 제 3 절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24
  • 1. 연구개발 추진전략 ... 24
  • 2. 연구개발 추진체계 ... 25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8
  • 제 1 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 28
  • 제 2 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 30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3
  • 제 1 절 Self sensing / 다기능 유비쿼터스 NDT 센서노드 개발 ... 33
  • 1. 압전센서 기반 멀티 스케일 계측 기법의 이론적 연구 ... 33
  • 2. 원전 배관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통합 계측 모듈 개발 ... 46
  • 3. 멀티스케일 무선 센서노드를 이용한 배관 손상 검색 성능 검증 실험 ... 54
  • 4. 환경 조건 영향 보상 및 센서 자가 진단 알고리즘 ... 81
  • 5. 요약 및 결론 ... 82
  • 제 2 절 SLS (Scanning Laser Source) 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 기반 원전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 84
  • 1. 서론 ... 84
  • 2. UWPI 시스템 및 초음파 전파 영상화 알고리즘 ... 85
  • 3. 초음파 전파 영상 기반 손상 진단 알고리즘 ... 87
  • 4. 손상 진단 알고리즘 검증 시험 ... 88
  • 5. 요약 및 결론 ... 111
  • 제 3 절 스마트 원격 원전 배관 NDT 시스템 검증시험 및 보완 ... 113
  • 1. 멀티스케일 계측 기반 운전 중 배관 손상 패턴 인식 실험 ... 113
  • 2. SLS 기반 배관 손상 진단 검증 실험 ... 117
  • 3. 요약 및 결론 ... 127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28
  •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128
  • 1. 정량적 달성도 ... 128
  • 2. 정성적 달성도 ... 129
  • 제 2 절 관련 분야 기여도 ... 130
  • 1. Self sensing / 다기능 유비쿼터스 NDT 센서노드 개발 ... 130
  • 2. SLS (Scanning Laser Source) 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 기반 원전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 130
  • 3. 스마트 원격 원전 배관 NDT 시스템 검증시험 및 보완 ... 130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31
  • 제 1 절 기술적 활용측면 ... 131
  • 제 2 절 사회·경제적 활용측면 ... 132
  • 제 3 절 향후 활용방안 ... 133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35
  • 제 7 장 연구시설ㆍ장비 현황 ... 137
  • 제 8 장 참고문헌 ... 138
  • 끝페이지 ... 145

표/그림 (12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