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류의 다중 생물지표를 이용한 수 생태계 위해성/건강도 평가 및 어류 스트레서 확인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Risk/Health Assessment in Aquatic Systems using Multiple Fish Bioindicators and Fish Stressor Identification Methodolo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Korea Institute of Toxicolog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03
과제시작연도 2007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환경기술진흥원
등록번호 TRKO201100003329
과제고유번호 1485006047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Integrative ecological risk/health assessment,Stressor identification,Fish multilevel bioindicator,Multiple stressor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 친환경적 수 환경 관리 및 쾌적한 생활환경 유지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고, 수질 및 수생생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총량관리규제법, 사전 환경성 검토 제도 및 친환경적 복원 성향 등의 강화로 정부의 효율적인 수 환경 관리체제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① 수 생태계내 어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스트레서를 발견하고, ② 그에 대한 원인 규명을 하여 생태계의 총체적 위해성/건강성을 진단ㆍ평가할 수 있고, ③ 손상된 수 생태계를 환경 친화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자료 제공이 시급하다. 정부는 이러한 다양한 스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the integrated ecological risk/health assessment methods for evaluations the ecological health of aquatic ecosystems and for diagnosi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stressors and biological effects in the aquatic ecosystem. The pale ch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초록 ... 3
  • Abstract ... 7
  • 목차 ... 8
  • 그림목차 ... 12
  • 표목차 ... 16
  • 제1장 서론 ... 19
  • 제1절 연구개발의 중요성 및 필요성 ... 19
  • 1. 기술의 배경 ... 19
  • 2. 기술의 중요성 ... 20
  • 가. 어류의 생물학적 조직수준 별 생물지표를 통한 총체적 생태계 위해성/건강성 평가 및 스트레서 확인의 중요성 ... 20
  • 나. 생태 건강성 평가 신기술을 통한 오염현황 파악 및 복원 기반 기술의 중요성 ... 21
  • 3. 국내 연구 및 문제점 ... 21
  • 4. 선진국의 기술수준 및 연구개발의 필요성 ... 22
  •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 23
  •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 23
  •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 25
  • 3. 국내.외의 연구현황 ... 27
  • 제3절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차별성 ... 28
  • 제2장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29
  • 제1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29
  • 1. 어류의 생물학적 조직수준 별 스트레서 평가모델 개발 및 최적 생물 지표 도출 ... 29
  • 2. 최적생물지표를 통합한 새로운 수 생태계 위해성/건강성 평가기법 개발 ... 31
  • 3. 국내 환경에 적합한 스트레서 확인기법 확립 ... 32
  • 제2절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평가방법 ... 34
  • 1.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34
  • 2. 연도별 세부내용 및 평가방법 ... 39
  • 3. 연도별 추진체계 ... 40
  • 가. 연구개발의 추진전략 ... 40
  • 나. 연차별 추진체계 ... 42
  • 제3장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계획 ... 43
  • 제1절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 43
  • 1. 주관연구기관 연구방법 ... 43
  • 가. 조사하천 및 조사지점 ... 43
  • 나. 조사 시기 ... 45
  • 다. 피라미의 채집 ... 46
  • 라. 피라미의 생물지표 (biomarker/bioindicator)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 ... 46
  • 마. 생화학적 생물지표 분석 ... 47
  • 바. 개체수준의 생물지표 ... 50
  • 사. 개체군 (population) 수준의 생물지표 분석 ... 50
  • 아. 통계분석 ... 52
  • 자. 갑천과 미호천의 주요 오염물질 현황분석 ... 52
  • 2. 위탁연구기관 연구방법 ... 55
  • 가. 모델 생태계 및 현장 생태계의 선정 및 조사 방법 ... 55
  • 나. 군집 수준의 다변수 어류 평가 지수 (Multi-metric Fish Assessment Index, MFAI) 모델 개발 및 보정 ... 57
  • 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 모델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개발 및 보정 ... 60
  • 라. 어류의 생체조직별 수은 농축 (Fish Bioaccumulation of Total Mercury) 분석 ... 62
  • 마.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모델 (Necropsy 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NHAI) ... 62
  • 3. 연구개발 결과 ... 65
  • 가. 주관연구기관 1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 65
  • 나. 주관연구기관 2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 77
  • 다. 주관연구기관 3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 106
  • 라. 위탁연구기관 1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 126
  • 마. 위탁연구기관 2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 133
  • 바. 위탁연구기관 3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 152
  • 제2절. 연구개발 결과 요약 ... 168
  • 1. 주관연구기관 ... 168
  • 가. 모델 생태계 및 경보종 (sentinel species) 선정 ... 168
  • 나. Sub-organism, 개체, 개체군 수준의 각 생물지표 개발, 분석 및 최적 생물지표 도출 ... 168
  • 다. 갑천과 미호천에 대한 각 생물학적 조직수준 별 생물지표 분석 ... 169
  • 라. 갑천과 미호천의 주요 오염물질에 대한 화학적 분석 ... 177
  • 마. 물리.화학적 스트레서와 각 생물지표 반응비교를 통한 민감도, 중복성 검토 및 분석 ... 178
  • 바. 생물학적 조직수준 (Level of Biological Organization) 별 생물지표 반응사이의 연계성 검토 및 분석 ... 178
  • 사. 주요 오염물질에 대한 생태독성 평가 ... 179
  • 아. 최적 생물지표를 통합한 수생태계 위해성/건강성 평가기법 개발 ... 179
  • 자. 스트레서 확인 기법 확립 ... 180
  • 차. 매뉴얼 제작 및 기술이전 ... 180
  • 2. 위탁연구기관 ... 180
  • 가. 스트레서 평가 모델의 모델 생태계 적용 (갑천) ... 180
  • 나. 스트레서 평가 모델의 현장 생태계 적용 및 평가 (미호천) ... 186
  • 3. 결론 및 제한점 ... 188
  • 가. 결론 ... 188
  • 나. 관리 방안 ... 189
  • 다. 전문가 수정보완 의견에 대한 본 연구의 제한점 ... 189
  • 제3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191
  • 1. 1차 연도 ... 191
  • 2. 2차 연도 ... 192
  • 3. 3차 연도 ... 193
  • 제4절. 연도별 연구성과 (논문.특허 등) ... 194
  • 1. 논문 발표 성과 ... 194
  • 2. 학술회의 발표 성과 ... 195
  • 제5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 198
  • 1. 기술적 측면 ... 198
  • 2. 환경적 측면 ... 198
  • 3. 경제적.산업적 측면 ... 198
  • 제6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198
  • 제4장. 참고문헌 ... 201
  • 끝페이지 ... 21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