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류를 이용한 한국의 하천생태계 건강성 평가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Using Fish Multi-Metric Model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1 no.1, 2018년, pp.86 - 95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  이상재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하천의 생태건강도 평가, 보존 및 관리를 위해 현재 국가에서 이용되는 확립된 하천다변수 모델이 개발되기 이전의 초기에 개발된 어류를 이용한 생물통합지수에 기반을 둔 생태건강도 평가모델을 소개하는 것이다. 초기의 어류를 이용한 IBI 모델은 2004~2006년 사이에 개발되었고, 연구 초기에 건강성 평가모델은 10개 메트릭 모델로 구성되었고, 이후에 현재 국가에서 어류에 의거한 생태건강성 평가를 위한 8개 메트릭 모델로서 4대강 수계의 하천 및 강들에 적용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확립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어류조사법이 어떻게 확립되었고, 어떻게 메트릭 속성이 선정되었는지를 설명하며, 어류메트릭 모델 개발과 함께 내성도 길드 및 트로픽 길드가 어떻게 분류체계를 대별하게 되었는지를 제시한다. 초기에 제시된 10개의 메트릭 모델은 현재 쓰는 8개의 메트릭 모델로 전환되었고, 이 모델에서는 초기모델에서 포함된 M2 및 M7 메트릭이 제거되었다. 또한 초기에는 건강도의 기준이 6개 범주로 나누었으나, 현재는 4개 범주 (최상, 양호, 보통, 불량)로 대별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런 초기의 모델은 4대강의 여러 강 및 하천에 적용평가 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 모델 개발을 위해 어류 IBI 값들은 화학적 변수(BOD, COD: 유기물 오염 지표) 및 물리적 서식지 변수들과의 값들과 비교평가 한 후, 화학적 지표를 이용한 수질과 물리적 서식지 변수를 이용한 서식지 건강성을 비교 평가하여 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설명하였다. 이런 초기의 IBI 모델 개발 프로세스는 적용된 IBI 모델 및 메트릭 속성의 확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런 노력은 하천 및 수계 관리자들에게 뿐만 아니라 육수학자 및 어류 생태학자들에게 효율적인 생태계 보존 및 관리전략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itial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model,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s, before establishing the final and currently used model for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conservatio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상황에서 환경부는 2004~2007년까지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법 및 기준마련에 R&D를 투자하였고, 어류를 이용한 다변수 생태건강도 평가기법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초반에 연구된 어류를 이용한 생태 건강도 평가법에 대한 메트릭 선정, 모델 적용, 현장 조사법을 논의하고, 이를 적용해 평가한 등급체계(현재의 4등급체계가 아닌)와 수질특성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 초기의 어류를 이용한 IBI 모델은 2004~2006년 사이에 개발되었고, 연구 초기에 건강성 평가모델은 10개 메트릭 모델로 구성되었고, 이후에 현재 국가에서 어류에 의거한 생태건강성 평가를 위한 8개 메트릭 모델로서 4대강 수계의 하천 및 강들에 적용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확립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어류조사법이 어떻게 확립되었고, 어떻게 메트릭 속성이 선정되었는지를 설명하며, 어류 메트릭 모델 개발과 함께 내성도 길드 및 트로픽 길드가 어떻게 분류체계를 대별하게 되었는지를 제시한다. 초기에 제시된 10개의 메트릭 모델은 현재 쓰는 8개의 메트릭모델로 전환되었고, 이 모델에서는 초기모델에서 포함된 M2 및 M7 메트릭이 제거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어류를 이용한 수질평가기준(안) 도출을 위해 Table 1과 같은 다변수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 메트릭 결정(안)은 우리나라 수생태계의 지역적,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는 메트릭 모델로 수정 변경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하천의 생태건강도 평가, 보존 및 관리를 위해 현재 국가에서 이용되는 확립된 하천다변수 모델이 개발되기 이전의 초기에 개발된 어류를 이용한 생물통합지수에 기반을 둔 생태건강도 평가모델을 소개하는 것이다. 초기의 어류를 이용한 IBI 모델은 2004~2006년 사이에 개발되었고, 연구 초기에 건강성 평가모델은 10개 메트릭 모델로 구성되었고, 이후에 현재 국가에서 어류에 의거한 생태건강성 평가를 위한 8개 메트릭 모델로서 4대강 수계의 하천 및 강들에 적용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확립되었다.
  • 우리나라에서 수환경의 생태적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에 따르면, 전국 규모의 자연생태조사가 환경부 주도 하에 시행된 바 있다(MEK, 2006). 이 연구 취지는 생물종 분포도, 풍부도 산정 및 보호종의 조사를 목적으로 기초생태조사 및 생태계 파악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들 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류군에 의한 생물학적 수환경평가가 이루어졌다(Hwang et al., 2006; Won et al., 2006). 즉, 2000년 이전에 실제적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생물학적 수질평가법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으나, 최근에는 다각적인 연구계획들이 수립하여 생태건강도 평가에 적용하여 실효를 거두고 있는 실정이다(Ko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체의 생물학적 수질평가법은 무엇인가? 수체의 생물학적 수질평가법 (Biological assessment)은생물학적 통합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생태 건강성 평가 모델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Model,EHA)의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이는 1981년 미국 중부의 하천에서 어류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다변수 모델(Multimetric model) 개발에 의해 최초로 도입되었다. 그 후 1986년까지 각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다각적인 모델 수정작업이 12개 주 정부에서 실행되었고, 4년 뒤인 1991년에는 이미 35개 이상의 미국 주정부에서 생물학적 수질평가 지침서로 채택되어 하천의 수질평가 및 생태계 건강성평가에 실효를 거두고 있다.
생태 지표종 분석을 위해 채집종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생태 지표종 분석을 위해 채집종은 수질 오염도에 따라 쉽게 사라지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 or strong intolerant species, S), 내성종(Tolerant species, T)과 두 범주사이의 중간종(Intermediate species, I)으로 구분하였다. 지표종 구분방식은 US EPA(1993) 및 Barbour et al.
미국 외에, 캐나다, 영국, 호주, 일본, 독일, 프랑스, 인도, 남미 등의 다양한 나라에서의 모델(Judy et al., 1984; Koizumi and Matsumiya, 1997) 및 메트릭 속성 분석에 의거하여 어류의 메트릭 선정을 결정한 결과는? , 1984; Koizumi and Matsumiya, 1997) 및 메트릭 속성 분석에 의거하여 결정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기존의 원래의 Karr (1981)가 개발한 미국 환경부의 RBP메트릭 모델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나라마다의 생태적 특성에 맞게 모델을 수정 변경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건강도 평가모델 토착종 특성, 외래도입종 특성, 서식지상황, 및 어종분포특성에 의거하여 10개 메트릭을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K.G., D.H. Yeom and S.K. Lee. 2001a. Rapid Bio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9(4): 261-269. 

  2. An, K.G., S.H. Jung and S.S. Choi. 2001b. An Evaluation on Health Conditions of Pyong-Chang River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4(3): 153-162. 

  3.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4. Choi, G.C. and W.G. Lee. 1994. One hundred kinds of freshwater fish we really should know. Hyeonamsa. 

  5. Choi, S., J.H. Han, J.W. Choi and K.G. An. 2017. Trophic Gradients of Two Minnow Species with Similar Eco-type and Their Relations to Water Chemistry and Multi-metric Biological Integrity.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10(3): 371-378. 

  6. Hwang, S.J., N.Y. Kim, D.H. Won, K.G. An, J.K. Lee and C.S. Kim. 2006.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using epilithic diatoms in major river systems (Geum, Youngsan, Seomjin River),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lity 22: 784-795. 

  7. Judy, R.D. Jr., P.N. Seeley, T.M. Murray, S.C. Svirsky, M.R. Whiworth and L.S. Ischinger. 1984. National Fisheries Survey. Vol. 1. Technical Report: initial findings.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FWS/OBS-84/06. 

  8.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9.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 A method and its rationale. pp. 28,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 Pub 5., IL, USA. 

  10.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11. Ko, D.G., J.W. Choi and K.G. An. 2016. Preliminary Ecological Assessments of Water Chemistry, Trophic Compositions, and the Ecosystem Health on Massive Constructions of Three Weirs in Geum-River Watershed.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9(1): 61-70. 

  12. Koizumi, N. and Y. Matsumiya. 1997. Assessment of stream fish habitat based on Index of Biotic Integrity.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Fisheries Oceanography 61: 144-156. 

  13. MEK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4. Researches for integrative assessment methodology of aquatic environments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 321-344. 

  14. MEK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5. Researches for integrative assessment methodology of aquatic environments (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 400-440. 

  15. MEK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6. Researches for integrative assessment methodology of aquatic environments (III) : Development of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and evaluation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Incheon, Korea. 

  16.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th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7.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 Users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Columbus, Ohio, USA. 

  18.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USA. 

  19. Son, Y.M. and H.B. Song. 2006. Freshwater Fishes of Geum River, Korea. Jisungsa Publishing. 

  20. U.S. EPA. 1983. Technical support manual: Waterbody surveys and assessments for conducting use attainability analyse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Washington, D.C. Volumes 1-3. USA. 

  21.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 - 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 

  22. Won, D.H., Y.C. Jun, S.J. Kwon, S.J. Hwang, K.G. An and J.K. Lee. 2006. Development of Konan Saprobic Index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lity 22: 768-783. 

  23. Yeom, D.H., S.A. Lee, G.S. Kang, J. Seo and S.K. Lee. 2007. Stressor identification and health assessment of fish exposed to wastewater effluents in Miho Stream, South Korea. Chemosphere 67: 2282-22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