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부분의 LC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LCA application schemes on Construction industry area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지재성
참여연구자 안재환 , 유영석 , 홍준식 , 윤영한 , 김소정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12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건설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Korea Ins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100004327
과제고유번호 1500000629
사업명 건설기반기술혁신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1. 건설환경 기술개발 정책추진을 위한 국내 및 선전국의 기술 · 정책에 대한 현황조사 및 분석
o 국내 및 선진국 건설사엽(도로, 댐, 주거단지 등)의 친환경 기술동향 분석
o 친환경 건설사업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분석
o 선진국의 건설환경기술 개발 정책 프로그램 현황 조사 · 분석
o 국내 및 선진국 친환경건설 정책수럽관런 의사결정도구 활용 현황 및 분석
2. 국내외 건설부문 LCA 활용동향 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성 평가 및 적용방법론 제시
o 선진국의 건설사업분야 LCA 관련 적용사례 조사 및

Abstract

1. Examination and analysis about domestic and foreign new technology· policy for driving the construction-environment technology development
o Ana l y s i s of the green technology status in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industry (road, dam, and habitation site)
o Comp ar i s o n analysis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3
  • 요약문 ...4
  • SUMMARY ...9
  • 제목차례 ...13
  • 표차례 ...18
  • 그림차례 ...21
  • CONTENTS ...23
  • Lists of Table ...29
  • List of Figure ...32
  • 제1장 서 론 ...35
  • 제1절 연구개발 배경 ...37
  •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38
  • 제3절 연구 수행 범위 ...39
  • 제2장 국 내.외 전과정평가 기술개발 현황 ...41
  • 제1절 국내.외 건설환경 건설기술 및 동향 ...43
  • 1. 국내현황 ...43
  • 2. 국외현황 ...45
  • 3. 국내외 친환경건설 위한 의사결정도구(LCA) ...45
  • 가. 친환경건설의 전과정평가 ...45
  • 나. 국내 건설부문 전과정(Life Cycle) 개념의 활용 ...46
  • 다. 국외 현황 ...48
  • 라. 결과 ...50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51
  • 제l절 친환경 건설기술, 정책현황 및 전과정평가의 적용 ...53
  • 1. 국내 건설환경기술 정책 프로그램 현황 ...53
  • 가. 국내건설 ...53
  • (1) 건축 분야 ...53
  • (가) 환경 친화주거단지 평가모델 - 대한주택공사 ...53
  • (나) 건축물 환경 친화성 평가(KICTEAC)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5
  • (다) 한국 그린빌딩 등급평가(GB Rating System) - 한국그린빌딩위원회 ...56
  • (라) 친환경 건축설계 인증제도(Certif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Design) ...58
  • (마)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 건설교통부, 환경부 ...59
  • (바) 건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 에너지 관리공단 ...62
  • (2) 도로분야 ...66
  • (3) 수자원 분야 ...67
  • (가) 수자원사업 ...67
  • (나) 상하수도 사업 ...70
  • (다) 기 타 ...72
  • 나. 국외 건설 ...73
  • (1) 건축 분야 ...73
  • (가) 유 럽 - BREEAM ...73
  • (나) 일 본 환경공생 주택 인정제도 ...76
  • (다) 미 국 ...78
  • (라) 캐나다 ...83
  • 다. 평가항목 비교 분석 ...87
  • (1) 토지이용 및 교통 ...87
  • (2) 에너지와 환경오염 ...88
  • (3) 실내환경 ...89
  • (4) 수자원 ...89
  • (5) 재료 및 자원 ...90
  • (6) 장기내구성 ...90
  • (7) 기 타 ...91
  • 라. 결론 및 요약 ...91
  • 2. 국내외 친환경 건설기술 및 동향 ...93
  • 가. 국내 현황 ...93
  • (1) 환경친화적 건설 기술의 동향 ...93
  • (2) 국내 친환경건설 및 건설산업 기술 현황 ...93
  • (3) 국내 친환경건설 및 건설산업 기술의 전망 ...106
  • 나. 국외 현황 ...107
  • (1) 미국 : 국가건설목표 (National Construction Goals) ...107
  • (2) 영국 : 건설재인식 운동 (Rethinking Construction) ...108
  • (3) 일본 : 건설기술5개년 계획 ...109
  • 다. 결론 및 요약 ...110
  • 3. 국내외 친환경건설 위한 의사결정도구 (LeA) ...112
  • 가. 친환경건설의 전과정평가 ...112
  • (1) 의사결정도구와 전과정평가(LCA)의 개념 ...112
  • (2) 환경영향평가와 전과정평가 ...112
  • (3) 건설분야의 전과정적 개념 도입 ...114
  • 나. 국가별 건설부문 전과정평가(LCA) 활용 ...115
  • (1) 국 내 ...115
  • (가) 건설교통부 ...115
  • (나) 환경부 ...116
  • (다) 한국도로공사 ...116
  • (라) 대한주택공사 ...117
  • (마) 기 타 ...117
  • (2) 유럽 연합 ...118
  • (가) 덴마크 ...121
  • (나) 영국 ...122
  • (다) 스웨덴 ...122
  • (라) 핀란드 ...124
  • (마) 일본 동향 ...128
  • 다. 결론 및 요약 ...143
  • 4. 건설부분의 전과정 (LCA) 적용 필요성 ...145
  • 5. 건설분야 전과정평가(LCA) 적용.수행 방법론 ...147
  • 가. 전과정 평가(LCA) 방법론 ...147
  • (1) 전과정평가(LCA)의 개요 ...147
  • (2) 전과정평가(LCA)의 구성 ...148
  • (가) LCA의 목적 및 범위 설정 ...149
  • (나) 목록분석 ...151
  • (다) LCA 영향평가 ...155
  • (라) 결과해석 ...174
  • 6. 첨부자료 ...178
  • 제2절 건설사업의 LCA를 위한 Database(LCI DB) 구축 ...195
  • 1. LCI DB 구축의 개요 ...195
  • 가. DB의 분류 ...197
  • 나. 적산방법 ...198
  • 다 산업연관방법 ...199
  • 라. 조합방법 ...202
  • 2 건설단계에서의 LCI DB 구축 ...204
  • 가. 건설자재 및 건설장비 생산단계 ...204
  • (1) 분석 대상 건설자재 및 장비 선정 ...205
  • (2) 고려대상 에너지 산업 ...217
  • (3) 건설자재 및 장비에 대한 에너지원별 투입량 산정 ...218
  • (4) 건설자재 및 장비의 LCI DB ...226
  • 나. 건설장비 사용단계 ...229
  • 3. 해체 및 재활용단계에서의 LCI DB 구축 ...233
  • 4. Case Studv ...235
  • 가. 연구방법 ...235
  • 나. 아스콘 포장 (1 km) 목록분석 ...236
  • 다. 콘크려트 포장 (1 km) 목록분석 ...237
  • 라. 도로 포장 영향평가 결과 ...238
  • 5. 결 론 ...240
  • 6. 첨부자료 ...241
  • 제3절 건설환경 기술개발 중기계획(안) 수립 ...274
  • 1. 개 요 ...274
  • 가. 계획수립 배경 및 필요성 ...274
  • 나 계획의 의의 및 성격 ...274
  • 다. 계획의 주요 내용 및 추진체계 ...277
  • 2. 건설환경 기술개발 동향 및 기술수준 ...278
  • 가. 건설환경기술의 범위 ...278
  • 나. 국내 관련 기술개발 동향 및 기술수준 ...282
  • 다. 해외 관련 기술개발 동향 및 기술수준 ...289
  • 라. 여건변화와 전망 ...290
  • 마. 잠재력과 한계 (SWOT 분석) ...293
  • 3. 건설환경 기술 예측 및 세부추진과제 선정 ...296
  • 가. 건설환경 기술 과제 선정 영역 및 선정 절차 ...296
  • 나. 세부추진과제 선정 ...299
  • 4. 건설환경 기술개발 추진 목표 및 방향 ...302
  • 가. 비전 및 기본방향 ...302
  • 나. 추진목표 ...303
  • 5 분야별 세부 추진 전략 ...305
  • 가. 건설환경 기술개발 프로그램 ...305
  • 나. 기술개발 추진 전략 ...306
  • 6. 추진체계 및 관리 ...308
  • 가. 추진기반 구축 ...308
  •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의 기여도 ...319
  •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321
  • 제2절 대외 기여도 ...322
  •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325
  • 제1절 추가연구의 펼요성 ...327
  • 제2절 활용계획 ...328
  • 제6장 연구개발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29
  • (1) 유럽 연합 ...331
  • (2)덴마크 ...333
  • (3) 영국 ...334
  • (4) 스웨덴 ...334
  • (5) 핀란드 ...335
  • (6) 일본 ...336
  • 제7장 참고문헌 ...337
  • 별 첨 ...34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