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정보화종합지수 모델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nformatization Integrated Index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산원
National Computerization Agency
연구책임자 황종성
참여연구자 이규정 , 김성홍 , 김두현 , 정현민 , 김현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12
주관부처 정보통신부
사업 관리 기관 정보통신부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등록번호 TRKO201100005444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본 연구는 정보사회로의 발전에 따른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정보화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보화수준 측정에 적합한 지수모델 및 지표를 선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지표들을 통합하여 단일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이라는 가중치 적용방법을 활용하였다.
정보화수준을 측정하여 계량적으로 지수화하려는 시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국가정보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모델 및 지표 구성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연구가 필

Abstract

An informatization index can simply and clearly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 index calculates change in information society by a single value, which can be easily utilized. The benefits of informatization index are the abilities to measure the current state of informatizati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4
  • 요약문 ...5
  • Abstract ...13
  • Contents ...16
  • 차례 ...20
  • 표차례 ...20
  • 그림차례 ...21
  • 제1장 서 론 ...22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2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4
  • 제2장 정보화 수준 측정 관련 개념 연구 ...27
  • 제1절 정보화의 정의 ...27
  • 1. 정보 및 정보화의 정의 ...28
  • 2. 정보화 사회와 기타 정보화 관련 개념 정의 ...31
  • 가. 국가정보화 및 지역정보화 ...31
  • 나. 경제.산업.기업 정보화 ...33
  • 다. 행정정보화: 전자정부 ...36
  • 제2절 정보화지표 ...38
  • 1. 지표의 개요 ...38
  • 2. 정보화지표의 필요성 ...40
  • 3. 정보화지표의 기능 ...42
  • 4. 정보화지표의 요건 ...43
  • 제3장 정보화 수준측정에 관한 주요 연구 ...47
  • 제1절 국내 연구 ...49
  • 1. 한국전산원의 국가정보화지수 ...50
  • 2. 통계청의 정보와 통신 지표 ...53
  • 3. KADO의 개인정보화지수 ...55
  • 4. NIDA의 국민정보이용지수 ...56
  • 5. KISA의 국가정보보호수준 평가지수 ...57
  • 6. ITR의 기업정보화수준평가 ...58
  • 7. KIMI의 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 ...60
  • 제2절 외국 연구 ...62
  • 1. ITU의 디지털접근지수(DAI) ...63
  • 2. WEF의 네트워크 준비지수 ...64
  • 3. IDC/World Times의 정보사회지수 (ISI) ...66
  • 4. EIU의 e-비즈니스 준비도 지수 ...67
  • 5. UN의 전자정부 준비 지수 ...68
  • 6. UN의 온라인 참여지수 ...70
  • 7. IMD의 국가경쟁력 지수 ...71
  • 8. 세계경제포럼(WEF)의 세계경쟁력보고서 ...72
  • 9. OECD Communications Outlook 2003 ...73
  • 10. OECD Measuring the Information Economy 2002 ...74
  • 제3절 가중치 부여 현황 ...75
  • 1. 단순합산방식 ...75
  • 2. 상대적 비중에 따른 가중치 부여방식 ...75
  • 3. 전문가의 판단에 의한 방식 ...76
  • 4. 요약 ...77
  • 제4장 국가정보화종합지수 모델 개발 ...78
  • 제1절 국가정보화 수준 측정을 위한 지표 구성 ...78
  • 1. 지수모델의 구성 ...78
  • 2. 부문별 지표의 정의 및 측정방안 ...83
  • 가. 개인 분야 지표 ...83
  • 나. 기업 부문 지표 ...89
  • 다. 정부 분야 지표 ...97
  • 제2절 가중치 부여 방법 ...103
  • 1. AHP의 등장배경 및 개념 정의 ...103
  • 가. 계층적 구조의 설정 ...104
  • 나. 상대적 중요도의 설정 ...104
  • 다. 논리적 일관성의 유지 ...105
  • 2. AHP의 특징과 활용 분야 ...105
  • 3. AHP의 의사결정과정 ...107
  • 가.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107
  • 나.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108
  • 다. 쌍대비교 및 상대적 중요도 추정 ...109
  • 라. 논리적 일관성 검증(consistency test) ...112
  • 마. 우선순위 도출(prioritization) ...113
  • 바. 피드백(Feedback) ...115
  • 4. AHP 기법 적용 예 ...116
  • 가. 계층화 과정 ...117
  • 나. 기준 및 대안별 쌍비교 ...117
  • 다. 상대적 값의 산출 ...119
  • 라. 일관성(Consistency) 측정 ...120
  • 마. 종합화(Synthesization) ...122
  • 제5장 결 론 ...124
  • 제1절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124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26
  • [부록1] 지수모델 구성 및 지표 확대방안 ...130
  • 참고문헌 ...133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